• 제목/요약/키워드: PI-Phospholipase C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M_1$$M_2$ 무스카린성 수용체에서 아미노산 Triplet Repeat의 Site-Mutagenesis가 수용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te-Mutagenesis of an Amino Acid Triplet Repeat at $M_1$ and $M_2$ Muscarinic Receptors on Receptor Function)

  • 이석용;이상복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1-321
    • /
    • 1996
  • $M_1$$M_2$ 무스카린성 수용체의 두 번째 transmembrane domain의 C-말단에는 leucine(L), tyrosine(Y), threonine(T)로 구성된 3중체(triplet)가 있다. 이 3중체는 $M_2$ 무스카린성 수용체에서는 두 번째 transmembrane domain과 첫 번째 세포외 고리사이의 연접부위에서 LYT-LYT의 반복구조로 존재하며 $M_1$ 무스카린성 수용체에서는 흥미롭게도 LYT-TYL의 역상구조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site-directed mutagenesis방법을 사용하여 이와 같은 특이한 구조적차이가 두 subtype의 수용체의 기능상 차이와 관련한 역할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M_1$ 수용체에서는 LYTTYL서열을 $M_2$ 수용체의 서열에 해당하는 LYTLYT로 mutation시켰으며 $M_2$ 수용체에서는 LYTLYT8서열을 $M_1$ 수용체의 서열에 해당하는 LYTTYL로 mutation시켰다. 이와같은 mutation은 $M_1$$M_2$ 수용체에서 효능제 carbachol의 수용체 결합친화력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았다. 또한 $M_1$ 수용체에서의 mutation은 cyclic AMP 증가작용에 대한 coupling은 변화시키지 않고 phosphoinositides (PI) hydrolysis 촉진작용과 세포내 $Ca^{2+}$ 농도 상승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또한 $M_2$ 수용체에서의 mutation은 adenylate cyclase 억제에 대한 coupling은 변화시키지 않고 PI hydrolysis 촉진을 약간 증가 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M_1$$M_2$ 수용체에서 LYTTYL/LYTLYT 아미노산 서열의 차이는 두 수용체의 PI hydrolysis에 대한 coupling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두 수용체 사이에서 ligand 결합과 신호전달계의 차이를 구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Panaxatriol from Panax ginseng C. A. Meyer on Phosphoinositide Breakdown Induced by Thrombin in Platelets

  • Park, Kyeong-Mee;Rhee, Man-Hee;Shin, Han-Jae;Song, Yong-Bum;Hyun, Hak-Chul;Park, Ki-Hyun;Cho, Hyun-Jeong;Choi, Sun-A;Kang, Hyo-Chan;Kim, Kyoung-Jin;Kim, Hyeong-Soo;Kang, Hee-Jin;Ok, Woo-Jeong;Lee, Dong-Ha;Park, Hwa-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07-113
    • /
    • 2008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naxatriol (PT) on phosphoinositides (PIS) breakdown and $Ca^{2+}$-elevation in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Thrombin (5U/ml), a potent platelet agonist which activates phospholipase $C_{\beta}$ via protease activated receptor (PAR), hydrolyzed PIS in platelet membrane. The phosphatidylinositol 4, 5-bisphosphate $(PIP_2)$ was hydrolyzed after 10 sec of the thrombin-stimulation, and both the phosphatidylinositol 4-monophosphate (PIP) and phosphatidylinositol (PI) were brokendown after 30 sec of the thrombin-stimulation. However, PT inhibited the thrombin-stimulated hydrolysis of $PIP_2$, PIP, and PI. On the other hand, thrombin increased the level of phosphatidic acid (PA) which is phosphorylated from diacylglycerol (DG) generated by PIS-hydrolysis. However, Pr inhibited the thrombin-increased PA level non-significantly. Thrombin increased cytosolic free $Ca^{2+}([Ca^{2+}])_i$) up to 72% as compared with control $(30.8{\pm}0.9 nM)$ in intact platelet. However, PT (100 ${\mu}g/ml$) inhibited the thrombin-elevated $[Ca^{2+}]_i$ to 100%. These results suggest that PT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platelet aggregation-mediated thrombotic disease by inhibiting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via suppression of the $[Ca^{2+}]_i$ level and PIS break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