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GK 2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1초

돼지 PGK 2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 및 성장 형질과의 연관성 구명 (Associ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in the PGK 2 Gene with Growth Traits in Pigs)

  • 장홍철;김상욱;임다정;김재영;조규호;김명직;이지웅;최봉환;김태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15-22
    • /
    • 2011
  • 자돈의 생시 체중은 자돈의 이유 체중 및 생존율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또한 출하 시까지 돼지의 성장률 뿐만아니라 출하 일령 단축 및 출하 체중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돼지 7번 염색체의 PGK 2 (phosphoglycerate kinase 2) 유전자의 promoter 영역 및 transcription 영역에 해당하는 DNA 염기서열을 유전체 구조분석을 통해 20개의 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ism)를 발굴하였고, 발굴된 SNP 중 PGK 2 유전자의 전사 조절 영역 내 g.122 T>G 다형을 재래돼지와 Landrace를 이용한 $F_2$ 집단 268두 자돈의 성장 형질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시 체중(p<0.01) 및 3주령 체중(p<0.001)에서 통계적으로 고도의 유의적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PGK 2 유전자의 promoter 영역 내 성장 형질 관련 SNP는 건강한 자돈 및 종돈을 조기 선발하기 위한 유전자 marker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Pichia PGK1프로모터의 분석과 P. pastoris에 있어 외래단백질발현을 위한 Episomal벡터의 제조 (Deletion Analysis of Pichia PGK1 Promoter and Construction of an Episomal Vector for Heterologous Protein Expression in P. pastoris)

  • 이성재;홍인표;백선열;최신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84-190
    • /
    • 2007
  • 대략 2 kb의 크기를 가진 Pichia pastoris phosphoglycerate kinase gene (PGK1)의 프로모터부분을 266bp의 작은 크기로 최소화하여 P. pastoris에 있어 episomal의 새로운 항시적 발현벡터를 제조하였다. P. pastoris의 새로운 항시적 발현벡터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Pichia발현벡터인 pGABZB의 GAP프로모터부분을 연속적으로 일정 부분이 절단된 PGK1프로모터에 beta-galactosidase유전자가 결합된 부분으로 치환하였다. LacZ유전자를 reporter유전자로 사용하였을 때에 PGK1프로모터의 발현세기는 다른 항시적 프로모터인 GAP프로모터 보다는 낮았지만 TEF1프로모터 보다는 높았다. 본 논문에서 PGK1 프로모터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서 Pichia에서 외래발현을 위한 새로운 episomal발현벡터인 pPGKZ-E를 제조하였으며 이 것은 P. pastoris에 있어 발현세기를 선택할 수 있는 발현벡터선택의 폭을 넓게 하였다.

당 생합성 효소 PGK 유전자 프로모터 변이와 물렁증 저항성 멍게의 선별 (Gene Promoter Variation of Phosphoglycerate Kinase, a Glucose Metabolism Enzyme, is a Biomarker for Selection of Disease-resistant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 조현국;허영백;정재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0-196
    • /
    • 2013
  • 멍게의 물렁증 발병으로 인해 멍게 양식에 커다란 타격을 받고 있는 가운데 물렁증 발병에 대한 분자적인 접근을 위해 정상 멍게와 물렁증 걸린 멍게에서 DEG 법을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멍게의 당 생합성 효소인 PGK가 물렁증에 걸린 멍게 개체에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PGK에 대한 유전자 서열을 확보함과 동시에 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부위인 프로모터를 클로닝 하였다. 프로모터 부위의 단일 염기 다형성 분석을 통해서 -106과 -254 위치의 염기에서 다형성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물렁증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멍게와 다른 개체군의 멍게와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많은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염기의 차이가 PGK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 각각의 멍게 개체군에서 genomic DNA와 total RNA를 분리하여 genotyping과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06과 -254 위치의 염기가 AA와 GT인 개체에서 PGK의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물렁증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멍게를 선발육종하기 위한 분자적인 마커의 개발에 활용됨으로써 물렁증 발병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재조합 효모의 유가배양에서 Exoinulinase생산을 위한 Promoter의 선별 (Selection of Constitutive Promoter for Exoinulinase Production in Fed-Batch Culture of Recombinant Yeast)

  • 김이경;고지현;김연희;김성구;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6-211
    • /
    • 2001
  • Klyyveromyces marxianus exoinulinase를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구성적으로 과발현 생산하기 위해, 구성적 promoter인 GAPDH, ADH1, PGK 및 ENOI promoters 하류에 exoinulinase 유전자 (INUI)의 ORF를 in frame으로 연결한 각각의 plasmi에 YIGP, pADHI,-INU, pPGK-INU 및 pENO-INU 를 구축하였다. 이들 각 plasmid를함유한 형질전환주 4종을 포도당 농도 5% 배지에서 회분배양한 결과 균체증식은 promoter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exoinulinase 발현수준과 plasmid 안정성은 사용한 promoter 에 크게 좌우되었다. 즉 exoinulinase 발현수준은 GAPDH PGK ADH1 ENO1 promoter 각각 1.70, 1.67 1.29, 0.80 unit/ml 였으며 plasmid 안정성은 GAPDH promoter 계의 55%를 제외하고 모두 8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plasmid 안정성과 exoinulinae 발현수준을 고려하여 ADH1 및 PGK 발현계를 선정하여 유가배양하였다 Yeast extract와 포도당을 간헐적으로 공급한 유가배양 결과, 두 발현계에서 약 30 g-DCW/1의 균체농도를 얻었지만, ADHI promoter 계에서는 3.70 unit/ml 의 최대 exoinulinase 활성과 96%의 plasmid 안정성을 보여TRh 반면에 PGK promoter 계는 각각 2.70 unit/ml/와 8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lasmid 안정성과 긴 배양시간을 고려할 때 비선택적 영양배지를 사용하는 고농도세포 유가배양에서 ADH1 promoter가 exoinulinase 의 구성적 과발현, 생산에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struction of Yeast Vectors Potentially Useful for Expression of Eukaryotic Genes as ${\beta}$-galactosidase Fusion Proteins

  • Chung, Kyung-Sook;Choi, Won-Ja;Lee, Hee-Won;Kim, Kyu-Won;Yoo, Hyang-Sook
    • BMB Reports
    • /
    • 제29권4호
    • /
    • pp.359-364
    • /
    • 1996
  • By both in vitro hydroxylamine mutagenesis of the wild type 3-phosphoglycerate kinase gene (PGK) promoter DNA and insertion of the leu2-d gene, we have created yeast expression vectors potentially useful for production of eukaryotic genes in yeast. The guanine (G) to adenine (A) change at the -3 position from the ATG start codon of the PGK promoter-based vector rendered a 6~7 times elevated expression of the adjacent eukaryotic gene, and insertion of the leu2-d gene in the vector containing the mutated PGK promoter further enhanced the expression of the gene. When expression of the AIDS virus HIV1-gagP17 gene in a lacZ fusion form was examined with this new vector, a 15 times higher level of expression than that from the original PGK promoter was observed. Northern and Southern analysis showed that this elevated expression is due to the production of a high copy number of mRNA by leu2-d gene functioning and by efficient translation of the produced mRNA. Thus, the vector that contained the A at the -3 position from the ATG start codon in the promoter region and the leu2-d gene shows increased expression capability and will be potentially useful for production of eukaryotic genes in yeast.

  • PDF

외래 유전자의 효율적인 발현 조절을 위한 개선된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의 구축 (Construction of Improved Tetracycline-Inducible Expression System for the Effective Regulation of Transgene Expression)

  • 구본철;권모선;김태완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1호
    • /
    • pp.63-69
    • /
    • 2009
  •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struct a more efficient tetracycline-inducible gene expression system by replacing previous key elements with more advance ones. At the beginning, we substituted PGK (phophoglycerate kinase) promoter for CMV (cytomegalovirus) promoter to control "$rtTA2^sM2$" which has been known for high induction efficiency in response to tetracycline. With this modification, expression of the EGFP marker gene under the induction condi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Next, we replaced "TRE" fragment with a modified version named "TRE-tighf" which has been reported to have higher affinity and specificity to the transactivator by minor base change of the "TRE" DNA fragment sequence. Use of "TRE-tighf" instead of "TRE" resulted in more than 10 fold increment in terms of induction efficiency and significant decrement of background expression in non-inducible condition. By combining PGK promoter and "TRE-tight" fragment, we could upgrade previous tetracycline-inducible system to show more stringent turn on/off gene switch ability and stronger expression of the gene of our interest. Use of this newly developed system must be very helpful to the studies of gene expression, especially to the transgenic animal study in which non-controllable constitutive expression of the transgene has been one of the urgent problems to be solved.

배종양 세포와 체세포 간의 융합 세포에서 X 염색체 재활성화의 조절과 성염색체에 대한 상염색체 비율의 결정 (Control of X Chromosome Reactiv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Ratio of Sex Chromosome to Autosome in Embryonal Carcinoma Cell-Somatic Cell Hybrids)

  • 이광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75-88
    • /
    • 1996
  • OTF9-63 (OTF9)와 P19S1O1A1 (P19) 배종양 세포들의 체세포에 존재하는 불화성 X 염색체의 재활성과 유발 능력을 조사하였다. 배종야 세포와 체세포들의 융합에 의해 얻어진 HATr 클론들의 형태, 염색체 복제 양상을 비롯하여 X 염색체에 존재하나 그 위치는 상당히 먼 유전자들인 Hprt와 Pgk-1의 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OTF9 세포는 불활성 X 염색체를 재활성화 시킬 수 있는데 반해 P19 세포는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유합세포는 장기간 배양되었을 때 성염색체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결국 1:2의 성염색체:상염색체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배종양 세포-체세포 융합세포의 이용은 초기 배발생 과정에서 시작되어 난자형성 과정의 감수분열 전까지의 유지되는 X 념색체의 재활성화 기작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제공한다.

  • PDF

Bacillus lentimorbus WJ5의 감마선유도 돌연변이체들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방사선 관련 유전자의 microarray 분석 (Microarray Analysis of Radiation Related Gene Expression in Mutants of Bacillus lentimorbus WJ5 Induced by Gamma Radiation)

  • 이영근;장화형;장유신;허재호;형석원;정혜영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72-47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으로 유도된 돌연변이체들에서 공통으로 발현되는 방사선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연구하기 위하여, B. lentimorbus WJ5 의 방사선 유도 돌연변이체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를 DNA microarray로 동시에 탐색하였다. DNA microarray는 B. lentimorbus WJ5 genome을 무작위로 절단하여 2,000 단편으로 구성하였으며, 감마선 $(^{60}/Co)$으로 유도된 7 돌연변이체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관찰하였다. 클러스터 분석결과 발현된 408 유전자 중 27개가 감마선 유도 돌연변이체 모두에서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되었다. 특히, 복구(mutL, mutM) 에너지 대사 (acsA, sdhB, pgk, yhjB, citB), protease (npr), 산화자극에 대한 환원 (HMM)관련 유전자들이 동시에 증가되었다. 이는 감마선 유도 돌연변이체들에서 자발적인 직/간접 복구 관련 유전자의 발현 증가는 방사선 노출 직후 보이는 stress response와는 다른 현상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돼지 태아 섬유아 세포의 효과적인 배양 (Efficient Culture of Porcine Fetal Fibroblasts)

  • 김혜민;이상미;박효영;문승주;강만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79-184
    • /
    • 2007
  • 체세포의 배양 방법은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형질 전환 돼지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태아 섬유 아세포의 효율적인 배양 방법을 수려하였다. 돼지 태아 섬유 아세포는 임신 33일째 태아로부터 제조하였으며, 돼지 태아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혈청과 배지 종류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5% ES screened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의 배양은 15% FBS보다 세포수의 증가가 훨씬 더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태아 섬유아 세포는 DMEM/F-12와 다르게 ES midified DMEM과 DMEM 배지에서 $7{\sim}8$번째 계대까지 증식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배양 조건에서 PGK-neo 벡터(pKJ2)를 돼지 태아 섬유아 세포에 도입한 다음 12일간 $300\;{\mu}g/ml$ G418이 포함된 배지에서 선별하여 colony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 이용된 배양 시스템이 transgenic vector를 도입시킨 돼지 체세포의 screening에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DNA에 결합하는 항암제의 작용기전 (Mechanism of Action of Anticancer Drug Aziridinylbenzoquinones: Involvement of DT-diaphorase)

  • Lee, Chong-Soo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제2회 추계심포지움
    • /
    • pp.147-172
    • /
    • 1994
  • Aziridinylbenzoquinones such as 3, 6-diaziridinyl-1, 4-benzoquinone (DZQ) and its 2, 5-methyl analog (MeDZQ) require bioreductive activation in order to elicit their anticancer activities. To determine the involvement of DTD in the activation of these drugs, we have used a ligation-media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map the intracellular alkylation sites in a sing1e copy gene at the nucleotide level. We have performed this analysis in two human colon carcinoma cells, one proficient (HT-29) and one deficient (BE) in DT-diaphorase (DTD) activity. In the DTD proficient HT-29 cell line, DZQ and MeDZQ were found to alkylate both 5'-(A/T)G(C)-3' and 5'-(A/T)A-3' sequence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nucleotide preferences observed when DZQ and MeDZQ are activated by purified DTD to reactive metabolites capable of alkylating DNA in vitro [Lee, C. -S., Hartley, J. A., Berardini, M. D., Butler, J., Siegel., D., Ross, D., & Gibson, N. W. (1992) Biochemistry, 31: 3019-3025]. Surprisingly in the DTD-deficient BE cell line a pattern of alkylation induced by DZQ and MeDZQ similar to that observed in the DTD-proficient HT-29 cells wa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reductive enzymes other than DTD can be involved in activating DZQ and MeDZQ to DNA reactive species in viv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