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3초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PMMA, PET, ABS의 초발수 효과 (Plasma treatment on PMMA, PET & ABS for Superhydrophobicity)

  • 최경린;노정현;이준희;김완두;임현의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582-1584
    • /
    • 2008
  • This paper reports a simple fabrication method for creating the superhydrophobic polymer surface using a plasma etching. Generally, it is necessary for the superhydrophobic surfaces to have a rough structure on surface with the composition of the low surface energy. In this study,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with superhydrophobic surface were fabricated using $O_2$ plasma etching and vapor deposition with the fluoroalkylsilane self-assembled monolayers. The plasma treated polymer surfaces are covered with the nano-pillar shaped structures after treatment for $1{\sim}2min$. And these samples with FOTS SAMs coating are showed the superhydrophobicity having the water contact angle of around $150^{\circ}$ and sometimes around $180^{\circ}$ depending on the treatment time. Furthermore the nanostructured polymer is transparent for the visible light.

  • PDF

초임계추출법을 이용한 브롬계 난연제 화합물 환경성 평가 추출효율 분석 연구 (Quantitative Extraction Analysis of Brominated Flame Retardant Substances Using Supercritical-Fluid Method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 오민경;윤상화;이영관;한재성;원성호;남재도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13-18
    • /
    • 2008
  • 전기 전자재료 중 고분자에 포함된 브롬계 난연제의 분석에 있어 용출이 어려운 4가지 재질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에 대하여 추출방법 및 헥산/에세톤, THF, 톨루엔, THF/톨루엔에 대한 용매 특이성과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각 고분자에서의 deca-BDE(decabromo diphenyl ether)의 함량을 속슬렛, 초음파. 가속용매, 마이크로파,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사용하여 이들 방법의 효율을 정량분석 하였다. 초음파 추출은 낮은 고분자의 용해도 때문에 낮은 추출효율을 보여 사용한 고분자의 경우에 있어서 추출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3가지 방법에서는 톨루엔 사용시 약 80% 이상의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초임계 유체 추출은 고분자의 난연제 추출에 시도되지 않았던 방법이었으나, 본 실험에서 PP와 PC의 추출에서는 100%에 가까운 매우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연신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타-자이렌 아디프아미드) 블렌드의 형태구조 (Morphology of Sty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xylene adipamide) Blends)

  • 남주영;박수현;이광희;정지원;박동화
    • 폴리머
    • /
    • 제27권4호
    • /
    • pp.313-322
    • /
    • 2003
  • 상용화제와 교환반응 촉진제 도입에 따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폴리(메타-자이렌 아디프아미드) (MXD-6) 블렌드의 형태구조 변화와 일축 연신한 블렌드 시료의 변형 형태구조를 조사하였다. 연신시료는 피브릴 구조의 분산상을 보여주었으며, 피브릴 구조는 연신비 증가에 따라서 점차 미세하게 변형되었다. 교환반응 촉진제나 상용화제의 첨가는 계면 접착력 향상에 기여하기보다는 분산상과 연속상 간에 결함을 야기함으로써 피브릴 구조의 균일성을 감소시켰다. H$_{v}$ 모드의 광산란을 이용하여 블렌드 조성과 연신비에 따른 고차구조 변화를 알아보았다. H$_{v}$ 산란패턴으로부터 결정들이 스택을 이루며, 스택은 연신 방향에 대하여 특정한 각도로 배향됨을 알 수 있었다. 분산상과 연속상 내의 결정은 연신비 증가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배향되어, 연신비가 6.0인 경우에는 매우 높은 배향 수준을 보여주었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 물성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naphthalate)/Poly(butylene terephthalate) Blends)

  • 김효갑;강호종
    • 폴리머
    • /
    • 제30권1호
    • /
    • pp.22-27
    • /
    • 2006
  •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N/PBT) 블렌드의 물성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PBT를 PEN에 블렌딩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PBT의 용융점도에 의하여 PEN의 용융점도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EN과 PBT의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하여 추가적인 용융점도 감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윤활제로 calcium stearate(CaST)를 첨가하면 CaST는 윤활제로서의 역할과 함께 PEN과 PBT의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여 용융점도가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이용한 반응 용융가공은 PEN과 PBT그리고 이들 블렌드의 분자량을 감소시키며 그 결과 기계적 물성 감소를 초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블렌드 유연기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esterific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PET/PEN Blend Flexible Substrate)

  • 김재현;김환기;염주선;강호종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49-253
    • /
    • 2011
  • PET/PEN 블렌딩에 의하여 발현되는 형태학적 변화가 PET/PEN 블렌드 유연기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PET와 PEN의 용융 블렌딩에 따른 two phase 형태학적 변화는 블렌드의 유연기관으로서의 치수안정성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PET/PEN 필름의 가공조건에 따른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은 블렌드의 two phase 형태와 결정화도를 변화시키며 이러한 거시적 형태학적 변화는 유연기관으로서의 PET/PEN 필름의 치수안정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결정화도가 높을수록 상호에스테르 교환반응이 낮을수록 PET/PEN 블렌드 필름의 치수안정성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다.

DMF 처리한 초극세 PET 섬유의 물성 및 염색성 (Physical and Dyeing Properties of PET Ultramicrofiber Treated with DMF)

  • 정동석;이문철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277-283
    • /
    • 2002
  •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filaments of regular(monodenier 2.08d) and ultramicrofiber (monodenier 0.05d) were treated with dimethylformamide(DMF) to observe the structure change of the PET such as shrinkage, density, X-ray diffraction of the UMF treated with DMF were measured. Also, dyeing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see the effects of DMF. The dyeability was improved by DMF treatments, and the equilibrium dye uptake increased in spite of the increase in the density and birefringence and crystallinity. The heat shrinkage appeared in PET UMF treated PET UMF treated with DMF at $80^\circ{C}$ by TMA, DSC, and Reovibron analysis and $T_m$ peak was shown by DSC analysis.

액정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복합재료 연구 (On the Composit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Liquid Crystalline Polyester)

  • 최재곤;방문수;한철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76-83
    • /
    • 1997
  • 열방성 액정고분자(TLCP)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용매 중에서 블렌딩하였으며, 이들 블렌드는 capillary rheometer die를 통하여 $287^{\circ}C$에서 섬유상 압출물로 가공되었다. 블렌드와 제조된 복합재료의 열적 성질, 기계적 성질, 모폴로지는 DSC, 편광현미경, SEM 및 인장시험에 의하여 조사되었다. 블렌드의 결정화 동력학은 등온 DSC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타로부터 Avrami식을 이용하여 결정화 속도 및 결정성장 메카니즘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블렌드내의 액정상은 가공온도조건하에서 거대상분킥나 열분해현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액체질소 속에서 절단된 섬유 단면의 SEM 관찰에 의하면, 섬유내 TLCP domain은 $0.1{\mu}m$에서 $0.2{\mu}m$정도의 크기로 분산되었고, 두 상 계면에서의 접착은 잘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TLCP/PET in-situ 섬유상 복합재료의 인장강도와 모듈러스는 TLCP 함량이 많을수록, draw ratio가 높을수록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Isosorbide가 함유된 바이오 기반 PET와 polycarbonate 블렌드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sosorbide based PET/polycarbonate blends)

  • 박지수;남병욱;박준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216-1221
    • /
    • 2014
  • PEIT는 옥수수와 같은 재생 가능한 자원에서 유래한 isosorbide monomer를 이용하여 bio-contents를 함유하고 있는 PET이다. 하지만 isosorbide contents가 향상될수록 기계적물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지고 있는 polycarbonate를 이용하여 PEIT의 단점을 보완하고, 또한 PEIT를 이용하여 PC의 인장신율 향상을 통해 성형가공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축압출기를 통해 제조한 PEIT/PC 블렌드에서 polycarbonate가 모폴로지, 유리전이온도거동, 열적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FE-SEM, DMA, TGA, UTM 및 Izod impact tester를 통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가진 polycarbonate는 PEIT와 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PEIT25PC75 조성에서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의 향상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온 plasma 기술에 의한 PET 극세사직물의 날염성 개선(I) (Improvement of Printing Properties of PET Micro Filament Fabrics Using Low Temperature Plasma Technology(I))

  • 조규민;이종훈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
    • /
    • 1995
  • In order to improve dyeability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micro filament fabrics, the effect of the prior oxygen low temperature plasma on the subsequent dyeing(deep dyeing, printing) was examined in various conditions. The apparent concentration of dyed PET micro filament fabrics was increased by $O_{2}$plasma treatment. Higher discharge power levels and higher reactor pressure values created more significant effect. The wetta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O_{2}$ plasma treatment.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introducing hydrophilic group on the surface of material can improve the apparent concentration of PET micro filament fabrics.

  • PDF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ament의 후처리 조건이 염색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ftertreatment Conditions on the Dyeability of PET Filament)

  • Lee, Dae-Soo;Han, Myeong-Hee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7
    • /
    • 1990
  • The crystallinity and dyeability of PET filament were studied when the conditions of drawing and heat-setting were varied. The crystaltinity of PET filament was increased as the drawing ratio and heatsetting temperature were increased. The dye uptake and dyeing rate of PET filament were decreased as the drawing ratio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heat-setting temperature, however, the dye uptake and dyeing rate were decreased at an early stage, showing the minimum at $160^{\circ}C-180^{\circ}C$ and then increased above that temperature. The thermal shrinkage of PET filament was decreased as the drawing ratio was increased, while increasing as the heat-setting temperature was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