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DSI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Is Not Byword fo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 Time to Replace a Misconception

  • Lee, Chang-Hyun;Chung, Chun Kee;Jang, Jee-Soo;Kim, Sung-Min;Chin, Dong-Kyu;Lee, Jung-Kil;Korean Spinal Deformity Research Society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v.60 no.2
    • /
    • pp.125-129
    • /
    • 2017
  • Lumbar degenerative kyphosis (LDK) is a subgroup of the flat-back syndrome and is most commonly caused by unique life styles, such as a prolonged crouched posture during agricultural work and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floor. Unfortunately, LDK has been used as a byword for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and this sometimes causes confusion.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evaluate the exact territory of LDK, and to introduce another appropriate term for degenerative sagittal deformity. Unlike what its name suggests, LDK does not only include sagittal balance disorder of the lumbar spine and kyphosis, but also sagittal balance disorder of the whole spine and little lordosis of the lumbar spine. Moreover, this disease is closely related to the occupation of female farmers and an outdated Asian life style. These reasons necessitate a change in the nomenclature of this disorder to prevent misunderstanding. We suggest the name "primary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PDSI), which encompasses degenerative sagittal misalignments of unknown origin in the whole spine in older-age patients, and is associated with back muscle wasting. LDK may be regarded as a subgroup of PDSI related to an occupation in agriculture. Conservative treatments such as exercise and physiotherapy are recommended as first-line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PDSI, and surgical treatment is considered only if conservative treatments failed. The measurement of spinopelvic parameters for sagittal balance is important prior to deformity corrective surgery. LDK can be considered a subtype of PDSI that is more likely to occur in female farmers, and hence the use of LDK as a global term for all degenerative sagittal imbalance disorders is better avoided. To avoid confusion, we recommend PDSI as a newer, more accurate diagnostic term instead of LDK.

Application of USDM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for South Korea Using a Bundle of Drought Indices (SPI, SC-PDSI, SPEI, EDDI, EDI) (다양한 가뭄지수(SPI, SC-PDSI, SPEI, EDDI, EDI)를 활용한 미국의 USDM 가뭄판단기준 적용)

  • Nam, Won-Ho;Svoboda, Mark D.;Fuchs, Brian A.;Hayes, Michael J.;Tadesse, Tsega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17-418
    • /
    • 2018
  • 미국 국립가뭄경감센터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NDMC)는 다양한 가뭄지수를 통합하여 미국 전역의 가뭄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가뭄대응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의사결정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1999년에 개발되어 현재까지 운영 중인 미국가뭄모니터 (United States Drought Monitor, USDM)는 미국 전역에 대하여 가뭄단계를 표시한 지도 (U.S. Drought Monitor map)를 매주 생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http://droughtmonitor.unl.edu/). 가뭄지표(drought index)는 가뭄의 현황과 시공간적인 전개 과정을 분석하고 정량적 가뭄심도 평가 및 가뭄대응계획 수립을 위한 도구로써 다양하게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개발된 다수의 가뭄지수는 대상과 평가방법에 따라 가뭄을 표현하는 특성이 서로 다르다. 하나의 가뭄지수로는 가뭄특성을 온전히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단일 가뭄지수에 의존하기 보다는 다수의 가뭄지수를 이용하되, 여러 가뭄지수 간의 특징을 고려하여 각 가뭄지수가 갖는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사용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USDM은 파머가뭄심도지수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Soil Moisture Model (NOAA Climate Prediction Center, CPC), 미 지리조사국의 하천유량 주간보고 (USGS Weekly Streamflow),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등의 주요 가뭄판단지표를 선정하고, 가뭄판단의 기준으로써 각 가뭄지수의 가뭄심도 (drought severity) 및 백분위수 (percentiles)로 등급을 구분하였다. 가뭄등급은 '정상 상태 (none)'를 포함하여 '비정상적인 건조 (abnormally dry, D0)'에서 최악의 가뭄상태를 의미하는 '이례적인 가뭄상태 (exceptional, D4)'에 이르는 6 단계로 구분하고, 정상상태를 제외한 5 단계의 통합가뭄단계로 표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상청,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에서 기상/수문/농업관련 가뭄지수의 위험지도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각 지표별로 상이한 기준으로 가뭄을 판단하고 있다. 각각의 가뭄지표에 대한 가뭄판단기준은 해당 국가의 장기적으로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가뭄단계 및 가뭄판단기준의 재설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PI, SC-PDSI, 표준강수증발산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EDDI), 유효가뭄지수 (Effectvie Drought Index, EDI)의 다양한 가뭄지수를 활용하여 USDM의 가뭄심도 및 가뭄판단기준을 적용하고자한다.

  • PDF

The Drought Monitoring by Soil Moisture Index of SWAT Model (SWAT 모형의 토양수분지수를 이용한 가뭄감시)

  • Hwang Tae Ha;Jang Dae Woon;Seo Byung Ha;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55-861
    • /
    • 2005
  • 가뭄은 홍수와는 달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지역의 경제에 타격을 주며, 생태계 및 환경을 파괴하는 자연재해로서 인간에게 오랫동안 고통을 준다. 이와 같은 가뭄에 대비하고 가뭄을 관리하기 위해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들을 이용해 가뭄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그중 Palmer의 가뭄심도(PDSI)가 가뭄감시와 관리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순환의 고려없이 기후적인 조건만을 이용하는 단점과 한계성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지적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토양, 토지이용, 기후자료를 입력자료로 하는 분포형 장기유출모형인 SWAT모형을 이용하였다. 즉, SWAT 모형을 이용해 토양수(soil water, SW)를 구정하고, 이로부터 계산된 토양수분결핍을 근거로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SMI)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토양수분결핍에 기초한 토양수분지수는 가뭄감시와 관리에 그 적용성 및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Climate Information and GCMs Seasonal Forecasts Based Short-term Forecasts for Drought (기상자료 및 GCMs 예측결과를 활용한 단기 가뭄 예측)

  • Kwon, Hyun-Han;Moon, Jang-Won;Song, Hyun-Sup;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86-1190
    • /
    • 2009
  • 강수량이 예년에 비해 적은 양상은 여름강수량에 대한 부족으로 기인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마기간의 강수와 태풍으로 인해 발생하는 강수가 전체 강수량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여름강수량이 적게 나타나게 되면 가을 가뭄 및 봄 가뭄에 대한 발생 압력도 그 만큼 커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기존 연구들이 단순히 강수량을 가정하거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가뭄을 전망하는데 그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가뭄전망을 위해서 전지구기후모형(GCMs)의 3개월 기상예측 결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즉, APEC 기후예측 센터로부터 제공 받은 3개월 GCM Multi-Model Ensemble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가뭄상태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Large-scale의 기후예측 시스템과 기상관측지점의 강수 및 온도를 연결시켜 가뭄을 전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다. GCM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2009년도 매월 강수량 및 평균 온도를 추정하여 PDSI 가뭄지수 산정에 이용하였다.

  • PDF

Evaluation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using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를 이용한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 평가)

  • Kwon Hyung-Joong;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8 no.2
    • /
    • pp.37-43
    • /
    • 2006
  •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MSWSI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 was suggested based on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With the available data of spatially distributed observation station of precipitation, dam storage, stream water level and natural groundwater level, South Korea was divided into 32 regions. This was conducted to represent the calculated index as a spatially distributed information. Monthly MSWSI was evaluated for the period of 1974 and 2001.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is result with PDS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nd SPI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and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index in our hydrological drought situation.

Development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Method Based on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기반의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평가기법 개발)

  • Kwon Hyung-Joong;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261-266
    • /
    • 2006
  • 전국의 수문학적인 가뭄평가를 위하여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MSWSI 개발하였다. MSWSI의 적용을 위하여 가뭄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인자가 동일한 지역 즉, 댐, 하천, 지하수, 강수 유역으로 전국을 32개 및 112개의 유역으로 분할하여 적용함으로서 준분포형으로 수문학적 가뭄을 평가하는 동시에 개발된 가뭄평가 기법의 유역분할 개수에 따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각 유역에 MSWSI를 적용하여 공간적으로 준분포형의 수문학적 가뭄 정보를 획득하였으며, 시간적으로 1974년부터 2001년까지의 1개월 및 1주 간격으로 평가하여 가뭄평가 분석시간 단위에 따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과거 가뭄사상년도(1994, 1995, 2001년)의 가뭄조사 기록에 대하여 본 연구 결과를 검증하였으며,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PDSI와 개발된 수문학적인 가뭄평가지수의 결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Drought analysis of Cheongmicheon watershed using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기상학적, 농업학적, 수문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한 청미천 유역의 가뭄 분석)

  • Won, Kwang Jai;Chung, Eu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9 no.6
    • /
    • pp.509-518
    • /
    • 2016
  • This study assessed drought of Cheongmicheon watershed from 1985 to 2015 according to duration. In order to quantify drought, we used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SPI) based on precipitation and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SPEI) based on precipitation and evapotranspiration were applied as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and Stream Drought Index(SDI) based on simulation of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model were applied as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As a result, in case average of extreme and averaged drought, 2014 and 2015 have the most vulnerable in all drought indices. Variation of drought showed different trend with regard to analysis of frequency. Also, the extreme and averaged drought have high correlation between drought indices excluding between PDSIs. However, each drought index showed different occurrence year and severity of drought Therefore, drought indic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used to analysis drought.

Estimation on Drought Indicator Using Various Time Series (다양한 시계열을 이용한 가뭄지표 산정)

  • Im, Gyeong-Jin;Sim, Myeong-Pil;Seong, Gi-Won;Lee, Hyeon-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4 no.6
    • /
    • pp.673-685
    • /
    • 2001
  • In this study, the drought indicator is calculate from the rainfall, daily highest temperature, streamflow and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for water plan and drought management in a relatively wide region. Three levels of drought severity, called drought watch, drought warning, and drought emergency, are established for these series which determine exceedance levels. The 25% nonexceedance level is used for drought watch, 10% for drought warning, and 5% for drought emergency to figure how well the drought indicators represent the past-drought and that those can be used for drought monitoring. As a result, 9-month and 12-month precipitation, and PDSI series shows the best consistency and high correlation indicate droughts. Because the results are based on the gauged data and simply calculated, the suggested indices can be used for basic data for drought monitoring system of a basin.

  • PDF

Drought Assessment of Agricultural District using Modified SWSI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농촌용수구역 단위의 가뭄 평가)

  • Kwon, Hyung-Joong;Lim, Hyuk-Ji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1
    • /
    • pp.22-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gricultural drought using modified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 in Ango and Anseo agricultural district. Precipitation, reservoir inflow and storage data were used for input data of modified SWSI. Precipitation data was obtained from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reservoir storage data was obtained from KARICO(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and reservoir inflow data was simulated by SLURP(Simple LUmped Reservoir Parametric). SWSI based agricultural drought index was evaluated for the period of 1983 and 2001. As results, for the drought periods(July-1994, June-1995, May-2001) agricultural drought indices represented extremely drought states.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PDSI and SWSI and checked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index in our agricultural drought situ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