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B congener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1초

PCBs의 식물에 대한 침착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CBs Deposition on Plants)

  • 김태욱;여현구;최민규;천만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9-107
    • /
    • 2001
  • 경기도 안성시에 소재한 한경대학교에서 1999년 7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식물과 대기중에서 PCBs의 농도 분포 및 침착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기중 총 PCB 중 tri-CBs(PCB 28)과 tetra-CBs(PCB 52)가 차지하는 분율은 49%로 염소화가 덜 된 성분이 대기중에 존재하는 PCB congeners의 주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2. 두 식물간의 PCB congeners별 상관계수(r)는 0.83 (P<0.01)으로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른 식물일지라도 주변 환경중에 잔류하는 PCB congeners별 오염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passive sampler 역할을 하였다. 3. 두 식물종과 대기에서 PCB 110/PCB 52의 평균비는 각각 2.4(뽕), 부추(2.0) 및 0.5(대기)로 식물에서 PCB 110/PCB 52의 평균비가 대기 보다 높았는데 이는 PCB 110이 PCB 52에 비해 친지질성을 비롯한 생물학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 되었다.

  • PDF

낙동강 유역에 서식하는 붕어와 황소개구리 체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의 축적도와 분포특성 (Accumulation Level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Crucians and Leopard Frogs from the Nakdong River Basin)

  • 문지용;이성인;송희영;이경진;최경희;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7권4호
    • /
    • pp.347-3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과 그 유역에 서식하는 붕어와 황소개구리 체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의 축적도와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낙동강의 구미부터 하구언까지 모두 5개 지점에서 붕어와 황소개구리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근육 부분을 최종 분석시료로 하였다. PCBs의 정량분석은 GC-MSD 시스템으로 처리하였으며, PCBs 총농도를 대변할 수 있는 62개 congener를 분석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붕어에서는 모두 24개의 congener가 검출되었고 총 PCBs 농도는 0.74~5.41 ng/g wet weight 범위로 나타났다. 황소개구리에서는 낙동강 하구언 1개 지점에서 단지 2개의 congener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도 0.24 ng/g wet weight로서 붕어보다 약 22배 정도 낮게 검출되었다. 전체적으로, PCB 153이 가장 높게 검출된 congener이고, penta- 및 hexa-CBs가 총 PCBs의 78%를 차지하였다.

대기 시료 중 PCBs 전 이성체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ll PCB Congeners in Air Samples by HRGC/HRMS)

  • 김경수;송병주;김종국
    • 분석과학
    • /
    • 제16권4호
    • /
    • pp.309-3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 대기 시료를 대상으로 PCBs 209개 전 이성체를 분석하였다. 추출한 시료는 황산 실리카겔 및 활성탄 컬럼으로 정제하였으며 DB-5 컬럼 ($60m{\times}0.25mm{\times}0.25{\mu}m$)을 이용하여 고분해능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및 고분해능 질량분석기 (HRGC/HRMS)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기 시료 중 PCBs 농도는 $0.003{\sim}0.163pg-TEQ/m^3$의 범위를 보였다. DB-5 컬럼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162개의 피크가 검출되었고, 그 중 37개의 피크는 하나 이상의 이성체가 중복된 피크로 정성되었다. 또한, 독성을 가지고 있는 coplanar-PCB 중에서도 IUPAC No. 118/106과 105/127번의 분리가 어려워 coplanar-PCB 농도를 과대평가 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원 시료 (Kanechlor와 소각로 배가스)와 대기 시료와의 coplanar-PCB 이성체 분포를 비교한 결과, PCB-81, 77, 126와 169이성체는 소각로 시료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활성탄에 의한 광유내 PCB Congeners의 흡착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dsorption of PCB Congeners in Mineral Oil by Activated Carbon)

  • 유건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39-245
    • /
    • 1997
  • 광유로부터 polychlorinated biphenyls(PCBs)를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반응을 연구하였다. 염소원자의 치환이 비교적 적은 PCBs로 구성되어 있는 Aroclor 1242의 흡착 효율은 95% 이상이었으나, 많은 염소원자들로 치환된 Aroclor 1260은 상당히 낮은 75%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관찰된 차이점은 평면이나 비평면 구조를 갖고 있는 PCBs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기인한다. 실제로 평면구조 PCBs의 농도는 Aroclor 1260에서보다도 Aroclor 1242에서 훨씬 높다. PCBs의 독성은 주로 평면 구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탄에 의한 평면구조 PCBs의 우선적인 흡착은 활성탄의 처리를 통해 독성의 감소가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독성 감소의 효율은 Toxicity Equivalence Factor(TEF)를 써서 평가하였다.

  • PDF

Polychlorinated Biphenyl의 토양 미생물 Aspergillus niger에 의한 생분해 경로 (Biodegradation Pathway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by Soil Fungus Aspergillus niger)

  • 김창수;임도형;금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3
    • /
    • 2016
  • Polychlorinated biphenyl은 현재 대부분의 사용 금지된 염소계 농약과 함께, 대부분의 환경 매질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잔류성 유기물로서, 209종의 이성질체가 존재하며, 내생호르몬 교란 효과 등, 다양한 생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물질군의 환경 중, 분해소실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토양 등의 복잡한 매질을 주요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또한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보다는 Aroclor 등, 혼합물 위주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한편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중, 구조적 특성이 상이한 5종의 이성질체를 합성하여, 토양 중 일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미생물인 Aspergillus niger에 의한 대사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Biphenyl 및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중, biphenyl, PCB-1, 및 PCB-3은 A. niger에 의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대사되어 배양 7일 후, 38-65% 내외의 모화합물이 수용성 대사물로 전환되었으나, PCB-38의 경우, 극소량의 대사물이 형성되었고(2%), PCB-126은 모화합물의 대사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염소 치환기가 ortho-위치에 존재하는 PCB-1과 para-위치에 존재하는 PCB-3의 대사속도를 비교한 결과, PCB-3의 대사 속도가 현저히 큰 값을 보였으며, 이는 biphenyl ring의 3차원 형태와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미생물 반응 중, 형성된 주요 대사물은 mono- 및 di-hydroxy PCB로 사료되며, 해당 물질의 독성화학적 성상은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Reductive Dechlorination of Low Concentration Polychlorinated Biphenyls as Affected by a Rhamnolipid Biosurfactant

  • Kim, Jong-Seol;Frohnhoefer, Robert C.;Cho, Young-Cheol;Cho, Du-Wan;Rhee, G-Yul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9호
    • /
    • pp.1564-1571
    • /
    • 2008
  • We investigated whether the threshold concentration for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dechlorination may be lower in biosurfactant-amended sediments compared with biosurfactant-free samples. At PCB concentrations of 40, 60, and 120 ppm, the surfactant amendment enhanced the PCB dechlorination rate at all concentrations and the rate was also faster at higher concentrations. On a congener group basis, dechlorination proceeded largely with group A (congeners with low threshold) in both surfactant-free and -amended sediments, accumulating mainly group C (residual products of dechlorination) congeners, and surfactant enhanced the dechlorination rate of group A congeners. Since the PCB threshold concentration for the inoculum in the experiment was lower than 40 ppm, we carried out another experiment using sediments with lower PCB concentrations, 10, 20, and 30 ppm. Sediments with 100 ppm were also performed to measure dechlorination at a PCB saturation concentration. Comparison between the plateaus exhibited that the extent of dechlorination below 40 ppm PCBs was much lower than that at a saturation concentration of 100 pp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dechlorination between surfactant-free and -amended sediments. Moreover, surfactant did not change the congener specificity or broaden the congener spectrum for dechlorination at PCB concentrations below 40 ppm. Taken together, it seems that at a given PCB concentration, dechlorination characteristics of dechlorinating populations may be determined by not only the congener specificity of the microorganisms but also the affinity of dechlorinating enzyme(s) to individual PCB congeners.

Dual Column-HRGC/ECD를 이용한 식품 중 PCBs 오염 실태조사 (Analysis of PCBs in Food by Dual Column-HRGC/ECD)

  • 서정혁;김정미;홍무기;김창민;최동미
    • 분석과학
    • /
    • 제16권2호
    • /
    • pp.166-173
    • /
    • 2003
  • HRGC/ECD를 이용한 congener specific analysis 방법으로 국내 유통식품 중 PCBs의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Indicator PCB인 IUPAC #28, #52, #101, #118, #138, #153 및 #180 7종을 대상물질로 하였으며,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고등어, 조기, 멸치, 오징어, 바지락을 대상시료로 선정하여 서울, 부산, 광주 3개 지역에서 수집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균질화하여 알칼리 분해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지방을 분해하고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여 dual column-HRGC/ECD로 분석하였으며 검출된 시료에 대해서는 HRGC/MSD로 재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고등어 등 어류 시료에서 미량수준 (0.0002~0.001 mg/kg)의 PCBs가 검출되었으며 주요 검출물질은 PCB #101과 PCB #118이었다.

Polychlorinated Biphenyl의 작물-토양간 흡수 이행성 (Translocation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Carrot-Soil Systems)

  • 임도형;임다솜;금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3-210
    • /
    • 2016
  • Polychlorinated biphenyls는 잔류성 환경 오염물질로서 내생호르몬 대사 교란 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물질의 환경 동태에 관한 연구는 토양 중, 분해소실과 관련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한편 생물과 관련 연구는 동물 중, 대사 및 독성 작용에 대한 연구를 대상으로 실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연구는 주로 Aroclor 등, 혼합물을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따라서 개별 이성질체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해도 및 염소 치환체의 위치가 상이한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 5종을 합성하여, 토양 중 분포 및 당근으로의 이행에 관련한 분해-소실 및 생물농축 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Biphenyl 및 polychlorinated biphenyl 이성질체의 토양 중 반감기는 biphenyl, PCB-1, PCB3, PCB-77 및 PCB-126에 대하여 각 20.2, 16.0, 11.6, 46.5 및 198.0일이었으며, 지용성이 강한 이성질체일수록, 반감기가 길게 나타났다. 한편 당근 중 biphenyl, 및 polychlorinated biphenyls 농도는 PCB-126을 제외한 시료에서 식재 후, 10-20일 내외에 최고 농도에 도달하여, 0.4-2.6 mg/kg의 농도가 식재 후 90일까지 유지되었으며 당근-토양간 PCB의 농도비는 90일 경과 시료의 경우 biphenyl, PCB-1, PCB-3, PCB-77, 및 PCB-126에 대하여 각각 1.7, 8.1, 1.9, 1.8, 5.9로 나타났다. 일정 경과 시간 후 농도비가 상기와 같이 유지되는 현상은 당근의 비대생장에 따른 희석효과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당근에 흡수된 PCBs의 총량은 재배기간 중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PCB-126의 경우, 90일 경과시 토양 잔류량 대비, 1.1%가 당근에서 검출되었다.

해양바이오물질이 PCB의 독성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on the Toxicity of Environmental Pollutants)

  • 이현교;김혜영;양재호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2-107
    • /
    • 2007
  • 산업의 발달과 함께 환경오염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도는 날로 증가하고 있다. PCB는 우리 주변에 널리 퍼져 있고 먹이사슬을 통해 체내에도 축적되어 인체의 위해성이 우려되는 대표적인 환경오염물질이다. PCB의 노출은 성장기의 두뇌에서 가장 큰 신경독성을 나타내며 영아 및 유아는 상대적으로 높게 노출되어 위험집단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PCB의 신경독성에 구조-활성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PCB에 의한 독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해양활성물질의 사용가능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PCB노출에 따른 신경세포의 신호전달 체계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Protein Kinase C (PKC)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PKC의 전체적인 활성을 [$^3H$]PDBu로 분석한 결과 ortho-position(PCB-105, -123)을 가지고 있는 PCB가 non-ortho (pCB-77, -81) 구조보다 신경에 미치는 영향은 더 높았다. Westem blot 결과 PKC isofonn 중에는 PKC-beta II 및 epsilon의 경우 ortho-position PCB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PKC의 변화는 성장기 신경세포에서 신호전달기작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거나 차단 할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하고자 다양한 키토산을 처리하였다. 그 결과 1백만 달톤 이상의 고분자 키토산의 경우 PCB에 의한 신호전달 기작 변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는 환경오염 등에 의한 독성예방에 키토산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Distribution of Organochlorines and PCB Congeners In Korean Human Tissues

  • Park, Mee-Jung;Lee, Sang-Ki;Yang, Ja-Yeol;Kim, Ki-Wook;Lee, Su-Yeon;Lee, Won-Tae;Chung, Kyu-Hyuck;Yun, Yeo-Pyo;Yoo, Young-Ch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7호
    • /
    • pp.829-838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idual amounts of organochlorines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in Korean human tissues (blood, adipose tissue, liver, kidney cortex, and lung),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autopsied cadavers of 40 men and 40 women (from teens to seventies of age). ${\alpha}-BHC,\;{\beta}-BHC,\;{\gamma}-BHC,\;{\delta}-BHC$, p,p'-DDT, p,p'-DDD, p,p'-DDE, endrin, dieldein, aldrin, and 7 marker PCBs (28, 52, 101, 118, 138, 153, and 180) were determined in human tissues. The levels of organochlorines and PCB congeners indicated that they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in Korean human body. Positive correlations in terms of age were observed for the following cases: p,p'-DDE, p,p'-DDT, ${\Sigma}-DDT$, PCB 118, PCB 138, PCB 153, and ${\Sigma}-PCB$ in the adipose tissue, and p,p'-DDE in the lung. Concentration of these compounds showed a significant age-related increase. Accumulation of these compounds in aged people revealed that these compounds were more slowly eliminated in our environment and risk assessment was necessary for further proper ac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PCBs between genders were found for PCB 118 in the adipose tissue and PCB 138 in the liver.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issues were detected with p,p'-DDE and ${\beta}-BH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