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 OF SLOPE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25초

무주-장수지역에 적용된 급경사지재해 대응공법 현장조사 (Field survey of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 in Muju-Jangsu area)

  • 송영석;조용찬;채병곤;김경수;김만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053-1059
    • /
    • 2009
  • In this study,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s for a natural terrain are systematically classified to survey the mitigation methods and develop a data base system. Also, field survey sheets which can be recorded the features of mitigation methods installed in the natural slope are developed. The slope hazards mitigation methods in the natural slope are classified as hillside part method and valley part method. The slope part sheet and the valley part sheet are also drawn up for field survey. As the result of the filed survey of mitigation methods about 50 points in Muju and Jangsu area, grass painting and slope covering methods are dominant in case of slopes part. In case of valley part, slit dam, concrete check dam and slope foot barrier are applied simultaneously.

  • PDF

주왕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Chuwangsan Area)

  • 박인협;문광선;류석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주왕산지역 금은광이-주왕계곡에 이르는 계곡부(해발 470~78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밀도와 흉고단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소나무, 생강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생강나무 둥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종다양도는 계곡상부와 사면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74.4~84.2%,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68.0~96.3%로써 해발고보다 사면부위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사면하부의 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사면중, 상부의 소나무-굴참나무군집, 계곡정부의 소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모형실험을 이용한 균질한 사질토 사면의 붕괴형상 분석 (Analysis of the Failure Mode in a Homogeneous Sandy Slope Using Model Test)

  • 송영석;박준영;김경수
    • 지질공학
    • /
    • 제32권2호
    • /
    • pp.209-2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따른 사면 내 지반특성 변화와 사면붕괴 형상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인공강우장치와 모형토조를 이용한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균질한 모래를 대상으로 모형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계측장치를 이용하여 강우침투에 의한 사면 내 포화양상을 조사하였다. 모형사면은 30°의 경사면에 35°의 사면경사로 조성하였고 강우강도는 50 mm/hr를 적용하였다. 토층의 깊이는 모형토조의 크기를 고려하여 35 cm로 선정하고 TDR센서는 깊이별로 설치하여 시간에 따른 지반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강우 시 모형사면은 강우침투로 인하여 지표에서 지중으로, 선단부에서 정상부로 포화가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즉, 강우의 침투로 인하여 사면의 선단부가 먼저 포화되고 이후 지속적인 강우로 인하여 포화의 영역이 사면의 선단부로부터 정상부로 확대됨을 알 수 있다. 모형사면의 붕괴는 사면의 선단부에서부터 붕괴가 시작되어 이후 사면의 정상부로 확장되는 진행성 사면붕괴가 발생되었으며, 최종 사면붕괴시점에서 붕괴면적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면은 원호활동의 형태로 발생되었다. 한편, 사면 내 모관흡수력이 흙-함수특성곡선(SWCC)에서 산정된 공기함입치(AEV)에 이르게 되면 사면붕괴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산 국립공원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Odaesan National Park)

  • 박인협;류석봉;김례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6-132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지역 구곡동-호령봉 계곡부(해발 800~1,50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철쭉꽃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젓나무, 느릅나무, 생각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신갈나무, 철쭉꽃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난티나무 등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종다양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56.3~73.4%,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61.9~71.8%로써 사면부위보다 해발고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계곡 중,하부의 사면 중,하부에 위치하는 젓나무-활엽수군집, 계곡 중,하부의 사면상부와 계곡상부의 사면 중,하부에 위치하는 신갈나무-침엽수군집, 계곡상부의 사면상부와 계곡정부의 신갈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nl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Sangbuun, lirisan National Park)

  • 박인협;최윤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57-464
    • /
    • 2003
  • 지리산국립공원 상부운 계곡부(725~1,09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계곡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교목층의 밀도는 감소하는 반면, 평균 수고, 흉고직경, 흉고단면적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계곡 하부에 인간의 간섭이 비교적 심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때죽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대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굴참나무, 소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고로쇠나무. 개암나무 등이었다 계곡정부를 포함한 해발고대별 종다양도의 범위는 0.571~l.194이었으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것은 종수와 균재도가 모두 감소하기 때문이었다. 사면부위별 종다양도는 1.172~1.285이었으며 , 사면 하부에서 중, 상부로 갈수록 종수와 종다양도가 감소하였다. 수종별 상대중요치에 의한 Cluster분석 결과 계곡하부의 사면 하부와 계곡중부의 사면 상, 중, 하부 및 계곡상부의 사면중, 상부에 위치하는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 계곡하부의 사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 계곡상부의 사면하부와 계곡정부에 위하는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등 3개 유형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의 섬유(纖維) 경사도(傾斜度)와 비틀림 (Slope of Grain and Twist of Major Softwood Species)

  • 강선구;심상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45-52
    • /
    • 1993
  • Surveyed results on the slope of grain and the twist of sawn lumber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Pinus densiflora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lope of grain of Pinus koraiensis has a Z-grain in the stem axis. The slope of grain was found to be the lowest at near to the pith and then constantly increased. At the height of 0.2m from the base of stem. a cross section of 35 annual rings was found to have a repeatedly increasing and decreasing slope of grain and then constantly decreased. At the height of 1.2m to 7.2m from the base of stem, the slope of grain increased conspicuously until the 10th annual ring, after which it increased near to the bark with repeatedly increasing and decreasing trends. 2. Pinus densiflora has a S-grain in the stem axis. The lowest slope of grain was found at near to the pith, and the highest in the 10 to 35 annual rings from the pith. 3. Larix leptolepis has a S-grain. At the height of 3.2m from the base of stem, the big fluctuation of the slope of grain was found without any particular trend. 4. The slope of grain and the twist between natural and reforested timber of Pinus koraiensis were found to be almost the same trend in viewpoint of the annual ring. The maximum slope of grain of imported Siberian timber of Pinus koraiensis was found at the 10 annual rings, which was quite similar to that of native species in Korea, but the big difference of the twist was found at 140 annual rings. 5. The twist was little at the mature wood of reforested Pinus koraiensis and Siberians and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of those. On the contrary, the twist was great at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of Pinus koraiensis. 6. The twist of Larix leptolepis showed the S-direction which coincided with that of slope of grain. The twist was greatest at the part of juvenile wood and little at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and little difference of twist was found between mature and juvenile woods. 7. Siberian larix having a minimum slope of grain showed the lowest twist, and the twist at the duplicated part of mature and juvenile woods showed a middle level of both mature and juvenile woods' portions.

  • PDF

덕유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T$\v{o}$kyusan Area)

  • 박인협;문광선;최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1-186
    • /
    • 1994
  • 덕유산지역 신대휴게소-지봉 계곡부(해발 750~1,247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ㆍ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밀도는 감소하는 반면 평균흉고직경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졸참나무, 박달나무 등이었고,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신갈나무, 노린재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층층나무, 들메나무 등이었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종수, 종다양도, 균재도는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55.3~67.1%,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36.8~71.7%로써 해발고보다 사면부위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계곡하부 사면하부의 졸참나무군집, 계곡하부 사면중ㆍ상부의 신갈나무-졸참나무군집. 계곡중ㆍ상부의 신갈나무-활엽수군집, 계곡정부의 신갈나무-철쭉꽃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성토사면의 붕괴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lope Failure of Embankment)

  • 강우묵;이달원;지인택;조재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7-62
    • /
    • 1993
  • The laboratorv model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pore water pressure, the critical amount of rainfall for slope failure, the pattern of failure, and the variation of seepage line at the slope with the uniform material of embankment by changing the slope angles and rainfall intensities. The results were was summarised as follows : 1.At the beginning stage of rainfall, the negative pore pressure appeared at the surface of slope and the positive pore pressure at the deep parts. But, the negative one turned into the positive one as the rainfall continued and this rapidly increased about 50 to 100 minutes before the slope failure. 2.The heavier the rainfall intensity, the shorter the time, and the milder the slope, the longer the time took to reach the failure of slope. 3.As the angle of the slope became milder, the critical amount of rainfall for slope failure became greater. 4.Maximum pore water pressure was 10 to 40g/cm$^2$ at the toe of slope and 50 to 90g/cm$^2$at the deep parts. 5.In the respect of the pattern of slope failure, surface failure of slope occurred locally at the toe of slope at the A-soil and failure of slope by surface flow occurred gradually at the top part of slope at the B-soil. 6.As the rainfall continued and the saturation zone in the embankment was formed, the seepage line went rapidly up and also the time to reach the total collapse of slope took longer at the B-soil. 7.As the position of the seepage line went up and the strength parameter accordingly down, the safety factor was 2.108 at the A-soil and 2.150 at the B-soil when the slope occured toe failure. Minimum safety factor was rapidly down to 0.831 at the A-soil and to 0.936 at the B-soil when the slope collapsed totally at the top part of slope.

  • PDF

고속도로 비탈면 경관의 법면공법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 대전${\~}$진주간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Visual Image and Harmony of the Construction Method in the Slope Scene -A Case on the Daejeon${\~}$Jinju Highway-)

  • 이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4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landscape visual image of the slope scene and their harmony with surrounding sceneries. This research utilized the basic study tool of psycho-physics and processed the case study of ten types of slope construction scene along the highway.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s and the photos for the slope construction scene. The questionnaires for analysis the image of the slope construction scene and their harmony with surrounding sceneries were designed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nd 5 point Likert-scal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t the part of the visual preferences analysis,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showed high level of preferences generally than on the slope structure methods. While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estimated friendly, continuity, harmonious, soft, light and wide,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estimated unstable, female, static, simple, omnipresent, appeared as policeman of weak inclination. Also the slope structure methods were estimated stable, manly, complicated, steep and healthy but rough, unharmonious, unfamiliar and heavy. 2.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for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aesthetic, individuality and physical character. And the slope structure methods were composed of five factors, aesthetic, individuality, stability, physical character, and complexity. 3. At the part of harmony with surrounding landscapes,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evaluated highly but the slope structure methods received the lowest evaluation. Also the harmony analysis with surrounding view on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showed degree of high more than average in all texture, form, color and scale but the slope structure methods showed degree of fewer than average degree in form, scale, color and texture.

터널 갱구지역 사면안정성 및 산사태 위험도 평가 (Slope stability analysis and landslide hazard assessment in tunnel portal area)

  • 정해근;서용석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87-4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터널 갱구사면을 대상으로 사면안정성 및 산사태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사면안정성 해석을 통해 붕괴위험도가 가장 높은 구간을 선정하고 구체적인 붕괴규모를 파악하였다. 해석결과 해발고도 485~495 m인 구간은 강우시 안전율이 0.99로 불안정한 상태로 나타났다. 이 때 붕괴심도는 최대 2.1 m이며 붕괴 길이는 사면의 경사방향으로 18.6 m로 분석되었다. 해당구간에서 사면붕괴 시 파생되는 사태물질의 이동특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터널 갱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산사태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사태물질은 7.74 m/sec의 평균속도를 보이며 주로 계곡부를 따라 산 하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태물질은 산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산되며 10초 후에 터널 갱구부 위를 지나고 20.2초 후에 산하부에 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터널 갱구부는 사태물질 이동경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어 산사태 발생 시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