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I-1

검색결과 794건 처리시간 0.04초

가와사키병 환아에서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Polymorphism in the promoter region of the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gene in Kawasaki disease)

  • 한미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6호
    • /
    • pp.570-575
    • /
    • 2007
  • 목 적 : 가와사키병과 PAI-1의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가와사키병 발병의 유전적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경희대학교 부속 병원, 가천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을지대학교 부속 노원 을지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가와사키병으로 진단되었던 환아 56명과 정상 대조군 206명을 대상으로 PAI-1 촉진자의 중합 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 가와사키병 환자 군과 정상 대조 군을 비교하였을 때 PAI-1-675 4G/5G 유전자형과 PAI-1-844 G/A의 유전자형의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일시적인 관상 동맥 합병증이 있는 환자 군과 합병증이 없는 환자 군간을 비교했을 때 PAI-1-675 유전형과 PAI-1-844 유전형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가와사키병에서 PAI-1의 촉진자 부위의 -844 G/A와 -675 4G/5G의 유전자 다형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PAI-1유전자 다형성이 가와사키병에 대한 감수성에 관여할 가능성이 희박함을 알 수 있었다.

Ascofuranone에 의한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발현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LPS-Induce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by Ascofuranone in Rat Kidney Fibroblast Cells)

  • 장영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38-1443
    • /
    • 2009
  • 이 연구는 신장섬유아 세포를 이용하여 LPS에 의해 유도된 신장섬유화 표적유전자인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PAI-1) 발현과 Ascofuranone (AF)에 의한 신장섬유화 저해효과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LPS가 PAI-1의 발현을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LPS가 신장섬유화 유도물질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LPS로 유도된 PAI-1 mRNA 및 단백질 발현 레벨이 AF에 의해 저해되었으며, 신장섬유화의 또 다른 대표유전자인 fibronectin의 단백질 발현도 AF에 의해 억제되어 AF가 신장섬유화를 저해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AF에 대한 PAI-1 프로모터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800-PAI-1-luc을 신장섬유아 세포에 형질전환 시킨 결과, AF가 PAI-1의 전사 활성 조절을 통해 발현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ERK-1/2의 상위에 존재하는 MEK inhibitor를 처리하여 PAI-1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에서도 AF를 처리한 경우와 동일하게 PAI-1 발현이 저해되어 LPS로 유도된 PAI-1의 발현이 ERK-1/2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PS로 유도된 ERK-1/2의 인산화가 AF 농도의존적으로 저해된 결과는, AF가 ERK-1/2의 활성저해를 통하여 PAI-1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 AF가 신장섬유화를 저해하는 유력한 후보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hibi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Expression in Smoke-Exposed Alveolar Type II Epithelial Cells Attenuates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 Song, Jeong-Sup;Kang, Chun-Mi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6호
    • /
    • pp.462-473
    • /
    • 2011
  • Background: Smoking is a risk factor for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but the mechanism of the association remains obscure. There is evidence demonstrating that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is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pulmonary fibrosi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administration of small interfering RNA (siRNA) targeting PAI-1 or PAI-1 inhibitor to the cigarette smoking extract (CSE)-exposed rat alveolar type II epithelial cells (ATII cells) limits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Methods: ATII cells were isolated from lung of SD-rat using percoll gradient method and cultured with 5% CSE. The EMT was determined from the ATII cells by measuring the real-time RT PCR and western blotting after the PAI-1 siRNA transfection to the cells and after administration of tiplaxtinin, an inhibitor of PAI-1. The effect of PAI-1 inhibitor was also evaluated in the bleomycin-induced rats. Results: PAI-1 was overexpressed in the smoking exposed ATII cells and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EMT. The EMT from the ATII cells was suppressed by PAI-1 siRNA transfection or administration of tiplaxtinin. Signaling pathways for EMT by smoking extract were through the phosphorylation of SMAD2 and ERK1/2, and finally Snail expression. Tiplaxtinin also suppressed the pulmonary fibrosis and PAI-1 expression in the bleomycin-induced rats. Conclusion: Our data shows that CSE induces rat ATII cells to undergo EMT by PAI-1 via SMAD2-ERK1/2-Snail activation. This suppression of EMT by PAI-1 siRNA transfection or PAI-1 inhibitor in primary type II alveolar epithelial cells might be involved in the attenuation of bleomycin-induced pulmonary fibrosis in rats.

삼출성 흉막액에서 응고 및 섬유소 용해계에 관한 연구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in Exudative Pleural Effusions)

  • 류정선;이홍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214-1222
    • /
    • 1998
  • 연구배경 :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l(PAI-1) 항원은 섬유소 용해에 관여하는 tissue type plasmingen activator(t-PA)를 억제하여 흉막액에 존재하는 섬유소가 용해되는 것을 억제하며 결국 흉막액의 응고를 촉진하게되며 패혈증 환자의 혈장에서 PAI-1 항원과 관계된 섬유소 용해능의 활성용 업종의 정도와 관계가 알려져 있슴으로 본 연구에서 흉막액내 염증 정도와 흉막액의 섬유소 용해 및 응고농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첫 흉막천자 후 얻어지는 검체와 검사 당일 환자의 혈액 3.8% citrate tube에 모은 후 즉시 2,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고 상층액을 분리하여 검사할 때까지 영하 $20^{\circ}C$에 보관하였다. 흉막액내 염증을 나타내는 지표로 흉막액의 포도당, LDH, pH, 총 단백질을,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형핵 백혈구, 림프구 및 총 백혈구를 측정하였고 혈액의 염증을 나타내는 지표로 호중구, 피브리노겐을 측정하였다. 흉막액의 섬유소 용해 및 응고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dimer, PAI-1 항원,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를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30예 이었고 평균 연령은 51.4세 이었다. 흉막액의 원인 질환으로는 결핵성 흉막액 : 14예, 악성 흉막액 : 10예, 부폐렴성 흉막액 : 6예 이었다. D-dimer, PAI-1 항원,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흉막액에서 혈장치 보다 의의있게 높았으며 혈장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혈장 PAI-1 항원과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원인질환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흉막액의 D-dimer와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원인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흉막액 PAI-1 항원은 결핵성 흉막액에서 악성 및 부폐렴성 흉막액 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흉막액 염증의 경중에 따른 D-dimer(p=0.85), PAI-1 항원 (p=0.35) 및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p=0.66)의 차이는 없었다. 흉막액 다형핵 백혈구, 림프구 및 총 백혈구수와 흉막액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흉막 염증시 PAI-1 항원의 국소적 생성 가능성이 높았으며, 흉막액 염증 정도와 흉막액 D-dimer, PAI-1 항원 및 트롬빈 항트롬빈 III 복합체의 농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흉막 염증시 흉막내로 유입된 염증 세포는 PAI-1 항원과는 무관하게 섬유소 용해 및 응고 과정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흉막액 D-dimer와 흉막액 PAI-1 항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이는 PAI-1 항원 이외의 다른 요인이 섬유소 용해 및 응고에 관여하고 있음을 암시하여주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 PDF

Transcriptional Upregulation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n Rat Primary Astrocytes by a Proteasomal Inhibitor MG132

  • Cho, Kyu Suk;Kwon, Kyoung Ja;Jeon, Se Jin;Joo, So Hyun;Kim, Ki Chan;Cheong, Jae Hoon;Bahn, Geon Ho;Kim, Hahn Young;Han, Seol Heui;Shin, Chan Young;Yang, Sung-I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2호
    • /
    • pp.107-113
    • /
    • 2013
  •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is a member of serine protease inhibitor family, which regulates the activity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In CNS, tPA/PAI-1 activity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a variety of cellular processes such as neuronal development, synaptic plasticity and cell survival. To gain a more insights into the regulatory mechanism modulating tPA/PAI-1 activity in brain,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teasome inhibitors on tPA/PAI-1 expression and activity in rat primary astrocytes, the major cell type expressing both tPA and PAI-1. We found that submicromolar concentration of MG132, a cell permeable peptide-aldehyde inhibitor of ubiquitin proteasome pathway selectively upregulates PAI-1 expression. Upregulation of PAI-1 mRNA as well as increased PAI-1 promoter reporter activity suggested that MG132 transcriptionally increased PAI-1 expression. The induction of PAI-1 downregulated tPA activity in rat primary astrocytes. Another proteasome inhibitor lactacystin similar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AI-1 in rat primary astrocytes. MG132 activated MAPK pathways as well as PI3K/Akt pathways. Inhibitors of these signaling pathways reduced MG132-mediated upregulation of PAI-1 in varying degrees and most prominent effects were observed with SB203580, a p38 MAPK pathway inhibitor. The regulation of tPA/PAI-1 activity by proteasome inhibitor in rat primary astrocytes may underlie the observed CNS effects of MG132 such as neuroprotection.

포도당, 인슐린 및 Angiotensin II가 흰쥐 대동맥평활근세포의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발현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lucose, Insulin and Angiotensin II o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Expression and Growth of Aortic Vascular Smooth Muscle Cell in Rats)

  • 최세영;이인규;한승세;김재현;박창권;이광숙;유영선;김기식;김윤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33-340
    • /
    • 1999
  • 배경: PAI-1은 t-PA의 억제인자로서 섬유소융해계에 작용을 하여 혈전형성을 유발한다. PAI-1은 동맥경화된 혈관벽에서 분비가 된다. PAI-1의 증가는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가 되는 당뇨병과 고혈압이 동반된 환자에서 보이며 혈전증유발에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혈당과 인슐린 및 angiotensin II가 PAI-1의 생성 및 평활근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흰쥐 대동맥평활근세포를 5.5 mM과 22 mM의 포도당 배양액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액에 angiotensin II 및 인슐린을 농도 및 배양시간에 따라 첨가하여 Northern blotting방법으로 PAI-1 유전자발현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 증식에 대한 포도당, 인슐린 및 angiotensin II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사용하였다. 결과: 5.5 mM과 22 mM의 포도당 배양액에서 angiotensin II(100 nM)를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22 mM 포도당 배양액에서 PAI-1 mRNA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angiotensin II 투여 4시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6시간까지 지속되었다. 5.5 mM, 22 mM의 포도당 배양액에 angiotensin II의 농도를 0, 10, 100, 200 nM 투여하여 배양한 결과, PAI-1 mRNA의 발현은 angiotensin II 농도에 따른 증가를 보였으며 22 mM 포도당 배양액시 더욱 뚜렷하게 증가되었다. 배양액에 angiotensin II(100 nM)과 인슐린(100 nM)을 투여하여 배양한 결과, PAI-1 mRNA의 발현은 angiotensin II 단독으로 투여시 증가하였으나 인슐린을 첨가하였을 때는 감소하였다. 5.5 mM과 22 mM의 포도당 배양액에 1, 10, 100 nM의 인슐린과 1, 10, 100 nM의 angiotensin II를 첨가한 후 대동맥평활근세포의 성장속도를 비교한 결과, 5.5 mM보다 22 mM의 포도당이 든 배양액에서 대동맥평활근세포의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인슐린 및 angiotensin II를 첨가한 경우도 대동맥평활근세포의 성장이 증가되었다. 결론:흰쥐 대동맥평활근세포에서 PAI-1 mRNA의 발현은 포도당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되며 angiotensin II의 농도 및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되고 인슐린 투여로 감소하였다. 또한 angiotensin II의 투여는 22 mM의 고농도 포도당 투여 후 증가된 PAI-1 mRNA 발현 증가를 더욱 증가시켜 PAI-1 mRNA 발현 증가에 상승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22 mM의 고농도 포도당, 인슐린 및 angiotensin II는 흰쥐의 대동맥평활근세포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 PDF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유전자 다형성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Gene Polymorphism in Patients with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 김영민;홍현기;김성도;조병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26-32
    • /
    • 2004
  • 목 적 :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과응고성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은 강력하게 섬유소의 용해를 감소시키는 당단백으로 최근 몇몇 연구에 의하면 신증후군에서 증가된 PAI-1과 사구체내의 섬유소원이나 섬유소와 관련된 항체의 침착이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저자는 PAI-1 유전자 다형성 중에서 A-844 G 대립유전자 다형성의 빈도와 유전형을 소아의 신증후군에서 임상경과와의 연관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방 법 : 2001년 10월부터 2003년 1월까지 경희대학교 부속병원 동서신장병연구소에 방문한 146명의 신증후군 환아와 249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고 신증훈군 환아는 infrequent relapser(IR)와 frequent relapser(FR)로 다시 나누었다. 이들에 대해 PAI-1 promoter gene의 A-844 G에 대한 중합효소 연쇄반응-제한효소절편길이 다형현상(PCR-RFLP)을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A/A, A/G, G/G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는 Graph Pad Prism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version 2.0을 사용하였고 95% 신뢰구간과 P value는 0.05보다 작은 것을 의미 있게 보았다. 결 과 : PAI-1 promoter gene의 A- 844G 다형성의 분포는 대조군애서 G/G 81(32.5%), A/A 42(16.9%), G/A 126(50.6%)이였고 신증후군 그룹 중 IR 그룹은 G/G 29(34.1%), A/A 15(17.7%), G/A 41(48.2%)이였으며 FR 그룹에서는 G/G 17(27.9%), A/A 18(29.5%), G/A 26(42.6%)이었다. 단지 PAI-1 gene의 A-844G의 다형성중 A/A 유전자형이 신증후군 환아 중 FR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16.9% vs 29.5%, OR=2.06, P=0.0251). 반면 A/G 유전자형(OR=0.73, P=0.2639)이나 G/G 유전자형(OR=0.80, P=0.4828)은 통계학적인 의의가 없었고 IR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A/A(OR=1.06, P=0.8690), A/G(OR=0.91, P=0.7063), G/G(OR=1.07, P=0.7880)으로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A-844G AA 유전자형을 가진 신증후군 환자와 FR와 통계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는 향후 PAI-1 유전자와 과응고성과 관련된 생화학적 검사와의 연관성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와 특히, 신증후군의 과응고성과 신증후군 재발과의 연관성이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폐암에서 혈장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및 Type 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Plasma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and Type 1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in Lung Cancer)

  • 박광주;김형중;안철민;이두연;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516-524
    • /
    • 1997
  • 목 적 : 악성 종양에 있어서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세포외기질의 분해는 종양 침습 및 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u-PA)는 이러한 단백질 분해효소 중 하나이며, u-PA의 길항제인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PAI-1, PAI-2)도 u-PA에 의한 종양조직 자체의 분해를 방어하여 종양의 성장, 침습 및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u-PA와 PAI-1은 폐암 등의 종양 조직내의 양이 증가하며, 침습도 및 예후 둥과 유의하게 상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 등은 폐암환자의 혈장 u-PA와 PAI-1의 농도를 측정하여 조직형 및 병기와의 관련성을 조사해 보고자 한다. 방 법 : 폐암 환자 37예, 여러 가지 양성 폐질환 환자 21예 및 유사연령의 정상 대조군 24예에서 혈장 u-PA 및 PAI-1 항원의 농도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혈장 u-PA 항원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0{\pm}0.3ng/mL$, 양성 폐질환군에서 $1.0{\pm}0.3ng/mL$, 폐암환자군에서 $0.9{\pm}0.3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 $14.2{\pm}6.7ng/mL$, 양성 폐질환군에서 $14.9{\pm}6.3ng/mL$, 폐암 환자군에서 $22.1{\pm}9.8ng/mL$로 폐암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및 양성 폐질환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 u-PA 항원 농도는 편평상피암에서 $0.7{\pm}0.4ng/mL$, 선암에서 $0.8{\pm}0.3ng/mL$, 대세포암에서 0.9ng/mL, 소세포암에서 $1.1{\pm}0.7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편평상피암에서 $22.3{\pm}7.2ng/mL$, 선암에서 $22.6{\pm}9.9ng/mL$, 대세포암에서 42ng/mL, 소세포암에서 $16.0{\pm}14.2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u-PA 항원 농도는 stage I에서 0.74ng/mL, stage II에서 $1.2{\pm}0.6ng/mL$, stage IIIA에서 $0.7{\pm}0.4ng/mL$, stage IIIB에서 $0.7{\pm}0.4ng/mL$, stage IV에서 $0.7{\pm}0.3ng/mL$였고,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stage I에서 21.8ng/mL, stage II에서 $22.7{\pm}8.7ng/mL$, stage IIIA에서 $18.4{\pm}4.9ng/mL$, stage IIIB에서 $25.3{\pm}9.0ng/mL$, stage IV에서 $21.5{\pm}10.8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암 환자에서 T기를 T1-3 와 T4로 나누어서 비교를 한 결과, 혈장 u-PA 항원 농도는 T1-3에서 $0.8{\pm}0.4ng/mL$였고 T4에서 $0.7{\pm}0.4ng/mL$로 차이가 없었으나,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T1-3에서 $17.9{\pm}5.6ng/mL$였고 T4에서 $26.1{\pm}9.1ng/mL$로 T4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혈장 u-PA 항원 농도는 M0에서 $0.8{\pm}0.4ng/mL$, M1에서 $0.7{\pm}0.3ng/mL$였고, 혈장 PAI-1 항원 농도는 M0에서 $23.6{\pm}8.3ng/mL$, M1에서 $21.5{\pm}10.8n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에서 폐암 환자에서 혈장 PAI-1은 정상대조군 및 양성 폐질환에 비하여 특이적으로 증가하였고, 또한 폐암의 국소적 침습 정도와의 관련성을 보여 주었다.

  • PDF

Genetic Polymorphisms of t-PA and PAI-1 Genes in the Korean Population

  • Kang, Byung-Yong;Lee, Kang-Oh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7권3호
    • /
    • pp.249-253
    • /
    • 2003
  • Abnormalities in fibrinolysis system is associated with risk of hypertension. In this report, the Alu repeat insertion/deletion (I/D) polymorphism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and the Hind III RFLP of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genes were investigated in 115 normotensives and 83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their association with anthropometrical data and plasma bi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 frequencies of the two candidate genes between normotensives and hypertensives, respectively. Our results indicate lack of associations between the two polymorph isms in t-PA and PAI-1 genes and risk of hypertension in the population under study. However, the Hind III RFLP of PAI-1 gen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sma glucose level, suggesting its role in glucose metabolism. It needs to be tested whether this RFLP of PAI-1 gene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syndrome 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IDDM) in the Korean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