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6

검색결과 55,402건 처리시간 0.071초

극문$(P_4)$, 내관(內關)$(P_6)$ 전침자극(電鍼刺戟)이 고혈압 환자의 EKG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electro acupuncture at Kugmun $(P_4)$ and Naegwan $(P_6)$ on EKG of hypertension patients)

  • 박철진;이상룡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4호
    • /
    • pp.123-133
    • /
    • 200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o acupuncture at Kugmun $(P_4)$ and Naegwan $(P_6)$ on EKG of hypertension patients. Methods Subjects were ten patients who showed abnormal findings on EKG.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 Croup received electro acupuncture at Kugmun $(P_4)$ and Naegwan $(P_6)$ and Control Group at non acupoint. EKG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electro acupuncture stimulation. Results : Five out of ten improved EKG findings by Kugmun $(P_4)$ and Naegwan $(P_6)$ and nine out of ten changed the pulse by Kugmun $(P_4)$ and Naegwan $(P_6)$. It showed significant chang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at received electro acupuncture at non acupoint. In fact Kugmun $(P_4)$ and Naegwan $(P_6)$ is able to cure chest pain, hypertension, chest discomfort, palpitation, insomnia, headache, and so on. It proved that it has ability of controling heart function. Conclusions : In conclusion, electro acupuncture at Kugmun $(P_4)$ and Naegwan $(P_6)$ changed EKG findings and Pulse. Especially electro acupuncture at Kugmun $(P_4)$ and Naegwan $(P_6)$ decreased the pulse for tachycardia and increased the pulse for bradycardia. It is thought that it makes to consist vital homeostasis.

  • PDF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에 의한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pH의 영향 (Effect of pH on Organic Acid Production by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

  • 강귀현;류화원장호남
    • KSBB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568-574
    • /
    • 1995
  • Anaerobiospirillum succiniciproducens에 의한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pH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발효 배양액의 pH를 5.8, 6.0, 6.4, 6.8, 7.2로 유지하여 혐기 발효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포 농도는 여러 pH 조건에서 $1.0∼1.9g/\ell$로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 비교할 때 2~3 배 정도 더 높았으며 pH 5.8에서 가장 높았다. pH 6.0 ~ 6.8의 범위에서 기질 소모량은 pH가 높을수록 증가였으며 반면에 pH 5.8과 7.2에서의 당 소비 속도는 매우 느렸다. 유기산 생성으로 인한 pH 변화의 조절을 위 하여 첨가된 2M $Na_2C0_3$의 총량은 pH 6.8에서 최대였다. 여러 pH조건에서 발효액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는 첨가된 2M $Na_2C0_3$의 변화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따라서 발효액내의 유기산의 정량은 전기전도도를 측정 함으로 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H 7.2의 조건에서 기질에 대한 lactatedml chleo todtks tndbfdms 64%, pH6.8의 경우 32% 였다.

  • PDF

6-Aminonicotinamide Induces $G_1$ Arrest by Elevating $p27^{kip1}$ as well as Inhibiting cdk2, Cyclin E and p-Rb in IMR32 Neuroblastoma Cell Line

  • Engliez Souad Ahmad;Park In-K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4호
    • /
    • pp.191-198
    • /
    • 2005
  • The effects of 6-aminonicotinamide (6-AN) on viability of IMR32 neuroblastoma cells in the presence of ATP or $NAD^+$ have been investigated. 6-AN caused marked reduction in cell viability and similar observations were also made with cells treated with 6-AN+ATP. However, cells treated with $6-AN+NAD^+$ showed cell viability similar to untreated cells. Morphologically, 6-AN and 6-AN+ATP treated cells showed loss of neurites, polyhedric shapes, shrinkage of cell bodies and formation of lysed cells, while $6-AN+NAD^+$ cells did not show any such changes. The flow cytometry analysis demonstrated that 6-AN increased cell population in $G_0/G_1$ phase and decreased cell population in Sand $G_2/M$ phase following a 72 h exposure.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6-AN stimulated a substantial increase in the level of the cdk inhibitor $p27^{kip1}$, but lowered the levels of cdk2, cyclin E and p-Rb. However, cdc25A and p53R2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Immunofluorscence staining of $p27^{kip1}$, cdk2, cyclin E and p-Rb revealed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ignal observed in the Western blot analysis. 6AN+ATP treated cells showed similar results obtained with 6-AN treated cells in expression of cdk2, cyclin E, p-Rb proteins and $p27^{kip1}$, $6-AN+NAD^+$ cells showed greater expression of cdk2, cyclin E and p-Rb than those in 6-AN and 6-AN+ATP treated cells. The results suggest that 6-AN induced the $G_0/G_1$ phase arrest in IMR32 neuroblastoma cell lines through the increase of $p27^{kip1}$ and the decrease of cdk2, cyclin E and p-Rb.

2000~2001년 경상남도에서 유행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 (Rotavirus P and G Genotypes Circulating in Kyungsangnamdo, Korea, during 2000~2001)

  • 소경진;이미현;마상혁;김병철;양재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1권1호
    • /
    • pp.59-72
    • /
    • 2004
  • 목 적 :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에서 설사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로서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국내에서도 해마라 유행하고 있다. 국내에서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규명하고 이를 기초 역학자료 및 백신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함과 동시에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자들의 연령, 계절적인 분포 및 임상양상을 조사하여, 최근의 국내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역학변화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방 법 : 2000년 9월부터 2001년 4월까지 마산파티마병원 소아과에 내원하거나 입원하는 환자들 중 대변 검체에서 Latex agglutination검사(Slidex Rota-Kit2, Bio Merieux, France)로 로타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들의 검체를 이용하였다. 환자의 검체에서 RNA를 추출한 후 추출된 RNA를 주형으로 하여 cDNA를 합성한 뒤 VP4, VP7에 대한 PCR을 실시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 총 대상 환자들은 120명이었고 남자가 79명(65.8%), 여자가 41명(34.2%)이었다. 연령별로는 생후 2일에서부터 12세까지 분포하였고 2세이하 환자가 97%인 l16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계절적인 양상은 9월, 10월 사이에는 산발적인 발생을 보이다가 12월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익년 4월까지 환자의 발생을 보이는 분포를 보였다. 2) 전체 대변 검체 120개중에서 C형은 97개(80.8%)에서 결정이 되었고 P형은 102개(85%)에서 결정되어 120개 검체 중 l16개(97%)가 적어도 하나이상의 유전자형이 결정되었다. 3) p형은 P[4]가 77례(64.2%)로 가장 많았으며 P[6]가 22례(18.3%), P[8]가 1례(0.8%)이었다. 혼합감염은 P[4]/P[6]가 12례(10%), P[4]/P[8](0.8%) 1례로 나타났고 유전자형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7례(5.9%)이었다. 4) G형은 G2가 74례(61.7%)로 가장 많았고 G1이 17례(14.2%), G4, G1이 각각 1례였다. 혼합감염은 G1/G2, G1/G4, G1/G9, G8/G9이 각각 1례로 나타났고 유전자형이 결정되지 않은 것이 23례(19.2%)이었다. 5) 조합형에 대한 분석을 하면 P[4]G2가 62례(51.7%)로 가장 많았고 P[6]가 7례(5.8%), P[6]G2가 7례(5.8%), P[4]/P[6]G1가 4례(3%), P[4]/P[6]G2가 4례(3%), P[4]가 3례(2.5%), P[8]G2가 1례(0.8%), P[4]G4가 1례(0.8%)로 나타났다. 결 론 : 2000년에서 2001년 사이 경상남도 지방에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의 유행이 있었고 조합형에 대한분석을 해보면 P[4]G2가 62례(51.7%)로 가장 많았고 P[6]G1가 7례(5.8%), P[6]G2가 7례(5.8%), P[4]/p[6]G1가 4례(3%), P[4]/P[6]G2가 4례(3%), P[4]G1가 3례(2.5%), P[8]G2가 1례(0.8%), P[4]G4가 1례(0.8%)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결과에서 국내에서 다양한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의 유행이 확인되었고, 역학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전자형의 결과는 향후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개발과 도입에 있어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로타바이러스는 특성상 변이가 잘 일어나 새로운 유전자형이 쉽게 나타날 수 있고 백신은 유전자형에 특이하게 작용하므로 추후 지속적인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FT Study of p-tert-Butylcalix[6]aryl Ester Complexed with Alkylammonium Ions

  • Kim, Kwang-Ho;Choe, Jong-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3호
    • /
    • pp.589-594
    • /
    • 2009
  • We have performed DFT B3LYP/6-31G(d,p) calculations to investigate the complexation behaviors of the ethyl ester derivative of p-tert-butylcalix[6]arene (1) toward a variety of alkylammonium ions. We have studied the binding sites of these host-guest complexes focusing on the p-tert-butylcalix[6]arene pocket (endo) of 1. The smaller alkylammonium cations have the better complexation efficiency than the bulkier alkylammonium ions with the p-tert-butylcalix[6]aryl ester. The hydrogen-bonding of N-H$\ldots$O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complexation behavior of the p-tert-butylcalix[6]aryl ester, in addition to the NH-aromatic π, CH-aromatic π and electrostatic interactions, and the steric hindrance of alkylammonium cation. The hydrogen-bonded distances and angles of N-H$\ldots$O are reported for the complexes of the p-tert-butylcalix[6]aryl ester with various alkylammonium ions.

Hemicellulose계열 올리고당 탐색 및 탄소원 대체에 의한 장내세균 생육활성용 신규 MRS배지의 조제 (Screening of Hemicellulose Oligosaccharides and Preparation of the Recipe for Modified MRS Medium by the Replacement of Carbon Source)

  • 이희정;박귀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6호
    • /
    • pp.272-276
    • /
    • 2008
  • 정제효소에 의해 locust bean gum galactomann을 가수분해하여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당가수분해물을 분리 회수하여 TLC에 의해 주요 당가수분해물은 중합도 4와 6의 hetero type으로 확인되었으며 D.P. 4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 부터 2번째에 1분자의 galact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인 ${Gal^2}{Man_3}(6^2-mono-O-{\alpha}-D-galactopyranosyl-4-O-{\beta}-D-mannotriose)$로, D.P. 6의 구조식은 비환원말단 mannose로부터 4번째에 1분자의 galactose가 결합하고 있는 hetero type의 구조인 ${Gal^2}{Man_5}(6^2-mono-O-{\alpha}-D-galacto-pyranosyl-4-O-{\beta}-D-mannopentaose)$로 유추하고 있다. B. longum, B. bifidum, B. adolescentis, B. animalis, B. auglutum, B. breve의 생육활성에 대한 중합도 4와 6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modified-MRS배지 상에 탄소원으로 중합도 4와 6를 대체하여 생육활성을 비교한 결과 B. longum에서는 D.P 6 galactomannooligosaccharide를 탄소원으로 대체한 경우 표준 MRS배지와 비교하여 10배의, D.P. 4을 처리한 경우에도 7.6배의 상대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생육활성을 나타냈었으며, B. bifidum의 경우에서도 D.P 6에서 6.6배, D.P 4에서 4.8배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B. animalis에 있어서는 D.P. 6의 경우 3.8배의 상대활성을 나타내었다. Bifidobacterium 7균주 모두에 대해서 중합도 6의 올리고당이 중합도 4의 올리고당보다 생육활성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MRS 배지의 제품화와 관련하여 가장 유리한 탄소원 대체소재는 Bacillus sp. 유래 galactosyl mannooligosaccharide 인 ${Gal^3}{M_4}$가 가장 유리한 소재로 결정되어 신규 배지의 scale-up 공정을 구축중에 있다.

pH 의존 특성을 갖는 Poly(ethylene-alt-maleic anhydride)/Poly(4-vinyl pyridine) 다층막의 염료 흡착 및 방출 거동 연구 (pH-Dependent Dye Adsorption and Release Behaviors of Poly(ethylene-alt-maleic anhydride)/poly(4-vinyl pyridine) Multiplayer Films)

  • 흥숙영;이준열
    • 폴리머
    • /
    • 제29권6호
    • /
    • pp.593-598
    • /
    • 2005
  • Layer-by-layer(LbL) 자기 조립법에 의한 poly(ethylene-alt-maleic anhydride)(PEMAh)/poly(4-vinyl pyridine)(P4VP) 다층막의 염료 흡착 거동 및 pH 변화에 의한 염료 방출 거동을 Rodamine 6G(R6G)를 지시제로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UV-vis 분광 분석을 이용하여 (PEMAh/P4VP)n 다층막의 두께 및 R6G의 흡착 및 방출 거동을 조사하였다. 다층막에 흡착되는 R6G의 흡착량은 필름의 두께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PEMAhAh/P4VP)n 다층막의 투과성은 pH 조건에 민감한 거동을 보였으며, 방출액의 pH가 감소할수록 R6G 방출 속도와 방출량은 증가하였다. PEMAh/poly(ethyleneimine)(PEI) capping layer를 (PEMAh/P4VP)n 다층막에 추가로 적층함으로써 흡착된 R6G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었다.

p$\cdot$Si-전해질 접합의 광기전력 효과 (Photovoltaic Effects of the p$\cdot$Si-Electrolyte Junction)

  • 한석용;김연희;김화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2-54
    • /
    • 1982
  • p·Si-전해질 접합을 전해질로 6N H2SO4, 6N H2SO4(Ti3+), 6N H2SO4(Ti4+), 6N H2SO4(Ti4+/Ti3+)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이들 전해질중 6N H2SO4(Ti4-/Ti3+)을 사용할 때 p·Si 광음극이 안정하게 동학하며 높은 광전 감도를 가지고 있었다. p·Si-electrolyte junction are prepared by using p·Si photocatode in four different electrolytes such as 6N H2SO4, 6N H2SO4(Ti3+), 6N H2SO4(Ti4+), 6N H2SO4(Ti4+/Ti3+) respectively. Among those electrolytes 6N H2SO4(Ti4-/Ti3+) shows very good results, in which p·Si photocathode is stable.

  • PDF

Neonatal indirect hyperbilirubinemia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deficiency

  • Isa, Hasan M.;Mohamed, Masooma S.;Mohamed, Afaf M.;Abdulla, Adel;Abdulla, Fuad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4호
    • /
    • pp.106-111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 deficiency among infants with neonatal indirect hyperbilirubinemia (NIH); compare G6PD-deficient and G6PD-normal patients regarding hyperbilirubinemia and need for exchange transfusions (ET); and assess risk factors for ET and kernicterus. Methods: This is a case-control retrospective study. Medical records of NIH patients admitted to the Pediatric Department, Salmaniya Medical Complex, Bahrain, between January 2007 and June 2010 were reviewed. Data on sex, age at presentation, hospitalization duration, need for ET, hemoglobin (Hb) level, reticulocyte count, direct Coombs test, serum total and indirect bilirubin levels, thyroid function, blood and urine cultures, G6PD status, and blood group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between the G6PD-deficent and G6PD-normal patients. Results: Of 1,159 NIH patients admitted, 1,129 were included, of whom 646 (57%) were male. Among 1,046 patients tested, 442 (42%) were G6PD deficient, 49 (4%) needed ET, and 11 (1%) had suspected Kernicterus. The G6PD-deficient patients were mainly male (P<0.0001), and had lower Hb levels (P<0.0001) and higher maximum bilirubin levels (P=0.001). More G6PD-deficient patients needed ET (P<0.0001). G6PD deficiency (P=0.006), lower Hb level (P=0.002), lower hematocrit count (P=0.02), higher bilirubin level (P<0.0001), higher maximal bilirubin level (P<0.0001), and positive blood culture result (P<0.0001)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ET. Maximal bilirubin level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kernicterus (P=0.021) and independently related to ET (P=0.03). Conclusion: G6PD deficiency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severe NIH. In G6PD-deficent neonates, management of NIH should be hastened to avoid irreversible neurological complications.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배양액의 pH 조절에 의한 풋마름병 방제 (Control of Tomato Wilt Disease by Amending pH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 System)

  • 이중섭;최지호;서상태;한경숙;박종한;장한익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93-197
    • /
    • 2005
  • 수경재배에 있어 배양액의 pH가 Ralstonia solanaceaum 의 토마토 뿌리내의 이동과 배양액 전체로의 전염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내실험에서 배앙액의 pH를 4.0 또는 4.5로 조절한 배양액을 24시간 방치하였을 경우에는 병원균이 생존할 수 없었으며, pH를 각각 5.0, 5.5, 6.0, 6.5로 조절한 경우에는 1, 14, 51,그리고 $62\%$의 생존율을 보였다. pH 6.5와 5.0의 두가지 pH조건하에서 포장내 NFT(nutrient-film technique)배양에서 풋마름병원균 밀도는 pH 6.5 보다 pH 5.0에서 더 현저하게 낮았다. 모든 데이터에서 풋마름병원균은 pH 6.5에서 현저하게 시들음 증상의 발병율이 높게 발생하였다. 뿌리에 접종된 토마토 포장에서는 pH 5.0 처리구(l1/48) 보다 pH 6.5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발병율이 높았다(34/48).줄기에 접종된 병원균은 pH 6.5에서 24주중 7주가 시들음 현상을 나타내었다. 수경재배에 있어서 pH 환경을 조절하여 토마토 시들음병에 잠재적인 역할을 하는 풋마름병의 발병율을 억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