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3a

검색결과 69,833건 처리시간 0.111초

Protopectinase를 이용하여 제조한 마늘 단세포화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lic Suspensions Using Protopectin Hydrolytic Enzymes)

  • 백구현;김성수;탁상범;강병선;김동호;이영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1-356
    • /
    • 2006
  • 마늘 가공 공정시 발생하는 품질손실과 저장기간 감소, 급속한 변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PPase를 적용해 식물조직의 단세포를 유리시켰다. 마늘의 단세포화를 위한 최적조건은 250 rpm으로 $37^{\circ}C$의 조건에서 pH 8.0으로 150분 동안 활성화 시킬 때 최적 수율의 단세포화물을 얻었다. 단세포화물과 기계마쇄물의 품질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마늘의 주요 활성요소 성분인 alliin의 함량은 기계 마쇄물이 11 mg/g에서 6.6 mg/g으로, 단세포화물이 8.5 mg/g에서 7.0 mg/g으로 기계 마쇄물에 비해 약 20% 정도 이상의 alliin 유지 능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SPME와 GC/MS를 이용한 마늘의 향기성분은 확인된 23종 중 총8종의 증감이 있었던 기계마쇄물에 비해 18종 중 4종의 증감이 있었던 단세포화물이 보다 안정한 향기 성분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관능검사 결과를 보더라도 $4^{\circ}C$에서 24일 경과후에도 향기성분 자체의 변화가 거의 없는 단세포화물의 시료가 전체적인 기호도 등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좋은 점수를 얻었다.

천일염이 김치발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ar Sal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 장지윤;김인철;장해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6-265
    • /
    • 2011
  • 소금 종류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몇몇 보고된바 있으나, 김치는 원 부재료를 멸균하지 않는 비살균 개방형 발효로서 원 부재료의 토착미생물에 의하여 발효가 이루어지고 소금의 농도 및 온도 등의 발효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천일염이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박테리오신 생성능이 강화된 Leuc. citreum GJ7을 종균으로 사용하여 김치내 미생물 제어에 의한 발효조건을 동일하게 하여주고, 이에 사용된 천일염 (4년 숙성, 1년 숙성) 및 정제염에 따른 차이가 김치의 발효숙성 중 김치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도 변화에서 정제염으로 제조한 김치가 1년 숙성 천일염과 4년 숙성 천일염으로 제조한 김치보다 최적 가식기에 도달하는 시기는 늦었으나 이후 급격히 산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김치내 총균수 및 유산균수는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1년 숙성 천일염 김치와 정제염 김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숙성 33일에 Leuc. citreum GJ7 점유율은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80.2%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1년 숙성 천일염 김치 75.8%, 정제염 김치 61.3%로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김치의 황색도 (b)는 숙성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정제염 김치가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4년 숙성 천일염 김치가 경도가 가장 견고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김치발효에 가장 적합한 소금은 4년 숙성 천일염으로 나타났다. 김치담금사 사용소금에 따른 이와 같은 차이는 소금의 Na와 Cl 및 각종 무기질 조성 및 그 농도에 기인된 것으로 여겨진다.

Variation in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Sesquiterpene Lactones in Lettuce (Lactuca sativa L.) Germplasm

  • Sung, Jung-Sook;Hur, On-Sook;Ryu, Kyoung-Yul;Baek, Hyung-Jin;Choi, Susanna;Kim, Sang-Gyu;Luitel, Binod Prasad;Ko, Ho-Cheol;Gwak, Jae-Gyun;Rhee, Ju-H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9-689
    • /
    • 2016
  • Lettuce is an important annual leafy vegetable and bitterness is its potent flavor character. Lettuce germplasm differ their phenotypic characters and sesquiterpene lactones (SLs) contents which are important for consumer's accept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henotypic characters and SLs contents in one hundred lettuce germplasm in Jeonju, Korea. Twenty-three agro-morphological (16 qualitative and 7 quantitative) traits and two SLs (lactucin and lactucopicrin) contents were studied in these germplasm. Germplasm exhibited the variation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s. Average plant weight was 423.9 g with a range from 116.0 to 905.0 g. Lactucin content was varied from 19.7 (IT 294226) to $194.4{\mu}g/g$ (IT 294298) with an average concentration of $84.7{\mu}g/g$. Lactucopicrin ranged from 82.5 (IT 300134) to $2228.6{\mu}g/g$ (IT 294210) with an average concentration of $586.3{\mu}g/g$. Total SLs content was ranged from 120.1 (IT 300134) to 2286.6 (IT 294210)${\mu}g/g$ with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671.0{\mu}g/g$. Significant ($p{\leq}0.05$)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risp head and butter head germplasm for lactucin, lactucopicrin and total SLs content. Crisp head germplasm revealed the highest average lactucin ($112.9{\mu}g/g$), lactucopicrin ($734.8{\mu}g/g$) and total SLs content ($847.7{\mu}g/g$). Crisp head and leafy type germplasm exhibited more total SLs content (847.7 and $744.7{\mu}g/g$, respectively) than cos ($524.9{\mu}g/g$) and butter head type ($519.4{\mu}g/g$).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of the quantitative traits indicated that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axis accounted more than 91% of the total variation. This study revealed the ample genetic variation in the agro-morphological traits and SLs contents to support the selection for improved lettuce varieties.

몇 가지 재배조건이 분화용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Lam.)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Cultivation on Growth of Lysimachia mauritiana Lam. as Potted Plant)

  • 정은아;전기범;이재효;최혜민;문상아;연수호;이승연;권순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8-58
    • /
    • 2018
  • 본 연구는 관상식물인 갯까치수염의 분화용 재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종자를 이용하여 육묘된 유묘를 사용하여 분화용 포트의 크기, 상토 혼합조성, 기비처리, 유묘의 소질 등의 이식조건과 추비농도, 차광정도, 왜화제 및 적심처리 등의 재배, 관리조건에 대한 생육효과를 2017년 7월 31일부터 10월 9일까지 약 10주간 조사하였다. 갯까치수염의 분화용 재배를 위해서, 피트모스:펄라이트(3:1) 혼합 용토에 $300-200-200mg{\cdot}L^{-1}$(N-P-K)의 비료분을 첨가한 토양을 이색칼라 10호 화분에 충진하여 코트비료 10알을 기비로 시비하고, 200구 트레이에 셀당 2립씩 파종된 묘를 이식묘로 사용하는 것이 갯까치수염의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재배 및 관리방법으로는 차광처리는 하지 않고 재배하는 것이 생육에 좋으며, $250mg{\cdot}L^{-1}$ hyponex를 추비하고 왜화제로 $500mg{\cdot}L^{-1}$ daminozide를 처리하는 것이 갯까치수염의 분화재배에 적합하였다. 또한, 재배기간이 10주 정도일 때는 적심을 하지 않는 것이 분화용 생산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활용성을 가진 야생 초화류의 이용성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대량생산 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Lam.)의 지피식물용 재배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요인 (Several Factors Affecting Cultivation of Ground-cover Plants on Lysimachia mauritiana Lam.)

  • 정은아;전기범;최혜민;문상아;연수호;이승연;권순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9-59
    • /
    • 2018
  • 갯까치수염은 앵초목 앵초과의 두해살이풀로 지상부가 고사하지 않고, 월동 후 봄까지 뚜렷한 윤기가 흐르는 잎을 가지며, 7~8월에 흰색 꽃이 피는 관상성이 뛰어난 우리나라의 자원식물이다. 이에 신 관상소재로서의 품목개발을 위해 관상 및 조경산업용 가치가 큰 갯까치수염의 지피용 작물로서의 재배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 7월 31일부터 10월 9일까지 약10주간 실험하였다. 이식묘의 소질별 생육효과, 기비의 시비와 혼합상토의 조성 및 포트의 크기 등의 이식조건, 차광처리 및 추비시비 등 재배관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로 육묘한 이식묘의 소질로서는 200구 트레이에서 한 cell 당 2립씩 파종된 유묘가 지피용 갯까치수염의 재배에 적합하였다. 이식조건으로 코트비료의 기비는 하지 않고, 마사토:피트모스(3:1) 혼합 용토에 $300-200-200mg{\cdot}L^{-1}$(N-P-K)의 비료분을 첨가한 토양을 충진한 4인치 포트에 이식하는 것이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재배관리에는 차광처리를 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이 50 및 70% 차광처리보다 초장,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500mg{\cdot}L^{-1}$ hyponex 추비처리를 한 것의 엽수가 36매로 다른 처리의 15~26매 보다 많았지만, 엽면적 및 생체중을 고려할 때 지피식물로서 10주간의 재배를 위해서는 추비하지 않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정상교합자와 III급 부정교합자의 저작근 근전도에 관한 연구 (AN ELECTROMYOGRAPHIC INVESTIGATION OF MASTICATORY MUSCLES IN NORMAL OCCLUSION AND CLASS III MALOCCLUSION)

  • 주보훈;이기수;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7-221
    • /
    • 199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MG activity of the masticatory muscles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Class III malocclusion during various jaw functions. 46 subjects of 18.4-25.7 year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26 subjects were normal occlusions, and 20 subjects were Class III malocclusions. The EMG data from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mporal, anterior and posterior masseter muscles in both sides as mandibular elevators and supra-hyoid muscle group (close to the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in right side) as mandibular depressor were recorded with the Medelec MS 25 electromyographic machine. The EMG recordings were analyzed during mandibular rest position, maximal biting, mastication with chewing gum, and swallowing of peanuts. All data were record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1.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the anterior temporal muscle was stronger significantly in Class III malocclusion than in normal occlusion, and then the posterior temporal was weaker during mandibular rest position. 2. The maximal mean amplitudes in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mporal muscles and the anterior masseter muscle of Class III malocclusion was weaker significantly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during maximal biting. 3. During mastication of the chewing gum, the maximal mean amplitudes of Class III malocclusion was weaker significantly than normal occlusion in the anterior and posterior temporal muscles of the working side, and the duration of Class III malocclusion was longer in the anterior temporal muscles of both aides, and the posterior temporal and the anterior masseter muscle of the balancing side.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ings of the latency in balancing anterior temporal, working posterior temporal muscles and supra-hyoid muscle group of Class III malocclusion. The silent period durations was 16.36 ms in Class III malocclusion while 10.76 ms in normal occlusion, which was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5). 4. At swallowing of peanuts, the maximal mean amplitude of Class malocclusion was weaker significantly in the posterior temporal muscle than that of normal oc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uration between normal occlusion and Class III malocclusion. 5 The muscle activities of Class III malocclusion had a tendency of decrease less than normal occlusion. And then the muscle activities of the anterior temporal and anterior masseter muscles in Class III malocclusion showed the tendency of the increase more than other muscles of Class III malocclusion.

  • PDF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에서의 삶의 질의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정진숙;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27-139
    • /
    • 2006
  • 측두하악관절 장애를 가진 환자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두 그룹사이의 동통의 정도나 기간의 차이, 그리고 수면질의 차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총 61명의 환자는 관절강 내 통증을 가진 환자 24명과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37명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환자들은 첫 내원 시 맥길 통증설문지(McGill Pain Questionnaire),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F-36 (Medical Outcome Study 36 Item Short Form Health Survey)을 작성하고 치과적 병력과 의과적 병력을 기록한 후, 전반적인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두 그룹 사이에는 동통의 강도나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6개월 이상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지는 환자 중에서는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가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보다 SF-36의 평균과 정신적인 부분에서의 점수에서 낮은 수치를 보인다(p<0.05).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에서는 평사시의 수면 효율면에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 ($1.9459{\pm}0.8481$)가 관절강내 동통을 가지는 환자 ($1.375{\pm}0.9237$)에 비해 낮은 효율을 보인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군에서 피츠버그 수면 질 평가의 총점이 5이상인 나쁜 수면질을 가지는 군은 맥길 통증 설문지, SF-36에서 높은 동통 정도와 낮은 삶의 질을 가지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저작근 동통을 가진 환자는 전체적인 삶의 질을 나타내는 SF-36에서는 감정적인 문제로 인한 역할의 제한, 생활력, 신체적 동통에서 관절강 내 동통을 가진 환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삶의 질이 특히 정신적인 면에서 손상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and cumulus cell supplementation in in vitro maturation culture media enhances the viability of human blastocysts

  • Chatroudi, Mahla Honari;Khalili, Mohammad Ali;Ashourzadeh, Sareh;Anbari, Fatemeh;Shahedi, Abbas;Safari, Somayyeh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66-172
    • /
    • 2019
  • Objective: In vitro maturation (IVM) of immature oocytes can be useful for some infertile patients. In IVM programs, the rates of embryo formation and pregnancy are low.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main factors involved in regulating oocyte maturation in vit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GDF9) and cumulus cell (CC) supplementation in IVM medium on the rates of embryo formation and viability of human blastocysts. Methods: A total of 80 germinal vesicle oocytes from stimulated cycles underwent an IVM program. The oocyt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here group I consisted of IVM media only and served as the control, group II consisted of IVM+CCs, group III consisted of IVM+GDF9 (200 ng/mL), and group IV consisted of IVM+CCs+GDF9 (200 ng/mL).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was performed on the IVM oocytes, and the cleavage embryos that were generated were vitrified. Following thawing, the embryos were cultured for 3 additional days, and the viability rates of the developed blastocyst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maturation rate of the oocy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 four groups. The fertilization rate in group I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76.5% vs. 46.2%). Embryo formation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le blastocyst form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ean viability rates in groups II, III, and IV were 58.16%, 55.91%, and 55.95%, respectively, versus 37.78% in the control group (p< 0.05).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IVM culture media with GDF9 and CCs enhanced the fertilization, embryo formation, and viability rates of blastocysts generated from vitrified cleavage embryos.

감귤과피 물 균질액으로 가공한 유색미의 취반 특성 (Cooking Characteristics of Coated Rice with Water Homogenate of Citrus Fruits Peel)

  • 서성수;김미향;노홍균;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8-325
    • /
    • 2002
  • 감귤과피 물 균질액으로 코팅한 유색미의 취반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색미의 색상은 진노랑L*; 63.6, a*; -7.87, b*; 46.35)으로 취반 후에도 유사한 색상을 나타내었다. Total carotenoids는 감귤과피에서는 10.74mg%, 과피의 물 균질액에는 0.46mg% 이었으며 유색미에는 0.l2mg%, 유색미 취반에는 0.05mg%를 나타내었다. Hesperidin은 과피, 물 균질액, 유색미 및 유색미 취반에서 각각 2173.l2mg%, 108.65mg%, 21.73mg% 및 8.67mg%이었으며, naringin은 각각 1468.40mg%, 73.38mg%, 14.62mg% 및 5.87mg%를 나타내었다. 감귤과피의 유리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4.22mg%로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이 24.88mg%, alanine이19.64mg%, ${\gamma}$-aminoisobutylic acid가 15.37mg%로 이들 4종의 아미노산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70%를 나타내었다. 유색미 취반에는 백미 취반에 비하여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15%정도 증가되었으며, 그 중에서 glutamic acid는 2.5배가 증가되었다. 감귤과피의 주요 무기질은 K(652.60mg%)와 Ca(222.50mg%)로 전체 무기질 함량의 86%를 차지하였으며 유색미 취반은 백미 취반에 비하여 K는 2.3배, Mn는 76%, Ct P, Mg은 16~26%, Fe는 13%가 각각 증가되었다. 취반의 경도(harness), 점착성(gum-miness) 및 깨짐성(brittleness)은 유색미 취반과 백미 취반간에 차이가 없으나 응집성(co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은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다. 색상에 대한 기호도, 구수한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유색미 취반에서 높았으며 단맛, 쓴맛은 백미 취반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경우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보여 활동성 심내막염의 조기 외과적 치료가 효과적으로 감염을 제거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N-화합물의 함량과 이들의 수량에 미치는 붕소의 시비효과는 초종, 단파와 혼파재배, 그러고 추비의 시비조건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 PDF

종구산지에 따른 한국산 쪽파(Allium wakegi Araki)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Korean Allium wakegi Araki according to Different Seed Bulb Origins)

  • 이정옥;김경희;이성아;황혜림;김미선;최종진;육홍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7-194
    • /
    • 2009
  • 한국산 쪽파의 품질 향상을 위해 7개 지역의 쪽파 종구로 재배된 쪽파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 성분 분석 결과, 쪽파의 수분 함량은 예천 쪽파, 조단백 함량은 제주도 쪽파, 조지방 함량은 예천 쪽파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회분 함량은 중국 쪽파가 가장 높았고, 환원당 함량은 덕적도 쪽파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는데, 총당 함량은 0.36~0.41% 수준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줄기 부분에 대한 경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잎의 경도는 예천 쪽파가 가장 높았다. 수소공여능은 예산 > 중국 > 무안 > 예천 > 제주도 > 안면도 > 덕적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K, Ca, P, Mg, Na 등 의 순으로 함량이 감소하였고, 특히 예산 종구로 재배된 쪽파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쪽파의 구성 아미노산은 18종 중 17종이 분석되었으며, 이중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매운맛을 나타내는 pyruvic acid 함량은 제주도 종구 재배 쪽파가 가장 높았고, 중국산 종구 재배 쪽파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종구산지가 다른 7가지 쪽파의 이화학적 특성은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산 쪽파 및 종구의 품질향상을 위해 종구에 따른 국내산 쪽파의 생리활성에 대해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