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theunbergii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곰솔, 리기다소나무 및 소나무의 Monoterpenoids (The Monoterpenoids in Pinus tyhunbergii, Pinus rigida and Pinus densiflora)

  • 강호남;김종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23-328
    • /
    • 1997
  • The monoterpenoids are analysed in leaves and fallen leaves of Pinus species (P. thunbergii, P.. rigida. P. densiflora.). The amount of total monoterpenoids of P. thunbergii was always the highest, and then those of P. rigida and P. densiflora were orderly decreasing (P<0.05). The major monoterpenoids of P. thunbergii, P. rigida and P. densiflora are ${\beta}-pinene$, comphene and sabinen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easonal variation in monoterpenoids composition (P>0.05), but the concentrations of fenchone and bornyl acetate were varied (P<0.05).

  • PDF

한국 중부지방의 환삼덩굴 군락구조와 서식지 특성 (Habitat Characteristic and Community Structures of Humulus japonicus in Korea's Middle region)

  • 오영주;류지혁;문병철;손수인;오세문;김석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79
    • /
    • 2008
  • 국내 분포하는 환삼덩굴군락의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67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ddot{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환삼덩굴군락의 상층 식생은 쑥-환삼덩굴군락, 흰명아주군락, 돌피-강아지풀군락,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하층 식생은 쇠별꽃-갈퀴덩굴군락, 쇠뜨기군락, 고마리군락, 바랭이-돌피군락,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과 서식환경과의 CCA분석 결과 상층의 돌피-강아지풀군락은 토양 경도와 상대광도 높은 지역에 서식하고 흰명아주군락은 토양 pH가 높은 지역에 분포한다. 하층의 쇠별꽃-갈퀴덩굴군락은 토양 pH가 높은 지역에 발생하고 고마리군락과 바랭이-돌피군락은 토양 수분이 높은 지역에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