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26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32초

ITU-R P.526을 지원하는 SEAMCAT 기반 전파 간섭 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SEAMCAT Based Interference Evaluation Tool with ITU-R P.526)

  • 임창헌;권종만;김용훈;이양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9호
    • /
    • pp.791-801
    • /
    • 2012
  • SEAMCAT(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 Carlo Analysis Tool)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영향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SEAMCAT은 여러 가지 채널 전파 모델을 지원하고 있지만, 모두 경로 손실을 통계적으로 모델링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지형 정보를 활용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기존의 SEAMCAT으로는 구체적인 지형 환경을 고려하여 전파 간섭 영향을 분석하기는 어렵다. 이런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지형 정보를 토대로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 채널 전파 모델을 SEAMCAT이 지원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지형 정보를 감안하여 경로 손실을 추정하는 대표적인 채널 전파 모델로는 ITU-R P.526 모델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U-R P.526 모델을 지원하는 SEAMCAT 기반 간섭 도구를 제안하고, 몇 가지 간단한 분석 사례를 보여주고자 한다.

주파수자원분석시스템 탑재 전파모델 ITU-R P.526, P.1546, P.1812의 검증 및 분석 (Verification and Analysis for Recommendation ITU-R P.526, P.1546, P.1812 of Propagation Model Loaded in Spectrum Management Intelligent System)

  • 김동우;오순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47-254
    • /
    • 2021
  • 무선기술 및 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주파수 자원의 부족과 인접 대역 전파 간섭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해결방안으로 정부에서는 주파수자원분석시스템(Spectrum Management Intelligent System, SMIS)을 운영 중이다. 본 논문은 주파수자원분석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MIS 시뮬레이션 값을 상용툴 ATDI 결과값 및 ITU-R Matlab 코드 결과값과 비교하였다. 전파 모델 중 방송망과 연관이 있는 권고서 ITU-R P.526, P.1546, P.1812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SMIS의 추출값은 전체적으로 1dB이내의 작은 오차를 갖는다. 본 연구는 향후 주파수 분배와 인접 대역간 간섭분석 정책 수립과 연구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Preteus mirabilis 가 생산하는 cysteinylglycine 분해효소의 정제에 관한 연구

  • 최신양;일본명;일본명;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6.1-526
    • /
    • 1986
  • 세균내 glutathione의 동태를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P. mirabilis로부터 cysteinylglycine 분해효소를 정제 검토하였다. 본 균이 생산하는 cysteinylglycine 분해효소의 정제는 무세포추출액에 비해 비활성이 10배 증가하였고 0.68%의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본 호소는 (NH$_4$)$_2$ SO$_4$ 침전과정에서 활성을 크게 손실하는 등 정제과정에서 불안정하였으며 투석 중에 형성하는 불용성 침전물은 4% Trition X-100 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용해되었다.

  • PDF

Proteus mirabilis 가 생산하는 cysteinylglycine 분해효소의 성질 및 세포내 분포에 관한 연구

  • 최신양;일본명;일본명;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6.2-526
    • /
    • 1986
  • P. mirabilis 로부터 정제한 cysteinylglycine 분해효소의 성질 및 세포내 국재성을 검토하였다. 본 효소의 일반적 성질은 pH가 7.3 온도 37$^{\circ}C$에서 최대 활성을 냐타내었으며 pH 8.0에서 안정하였고, 열안정성은 $50^{\circ}C$, 30분처리에 30%의 활성 손실을 보였다. 또한 $Mn^{+2}$이온과 $Mg^{+2}$ 이온에 의해 활성이 촉진되었으며 본 효소를 반응전 30분 Preincubation 하므로서 최대 활성을 보였다. 본 효소는 glutathione 일단계 분해효소인 ${\gamma}$-glutamyl transpeptidase와 마찬가지로 세포내의 periplasmic space에 존재하였다.

  • PDF

Frequency and Type of Disputed rpoB Mutations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from South Korea

  • Jo, Kyung-Wook;Lee, Soyeon;Kang, Mi Ran;Sung, Heungsup;Kim, Mi-Na;Shim, Tae S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3호
    • /
    • pp.270-276
    • /
    • 2017
  • Background: A disputed rpoB mutation is a specific type of rpoB mutation that can cause low-level resistances to rifampin (RIF). Here, we aimed to assess the frequency and types of disputed rpoB mutations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s from South Korea. Methods: Between August 2009 and December 2015, 130 patients exhibited RIF resistance on the MTBDRplus assay at Asan Medical Center. Among these cases, we identified the strains with disputed rpoB mutation by rpoB sequencing analysis, as well as among the M. tuberculosis strains from the International Tuberculosis Research Center (ITRC). Results: Among our cases, disputed rpoB mutations led to RIF resistance in at least 6.9% (9/130) of the strains that also exhibited RIF resistance on the MTBDRplus assay. Moreover, at the ITRC, sequencing of the rpoB gene of 170 strains with the rpoB mutation indicated that 23 strains (13.5%) had the disputed mutations. By combining the findings from the 32 strains from our center and the ITRC, we identified the type of disputed rpoB mutation as follows: CTG511CCG (L511P, n=8), GAC516TAC (D516Y, n=8), CTG533CCG (L533P, n=8), CAC526CTC (H526L, n=4), CAC526AAC (H526N, n=3), and ATG515GTG (M515V, n=1). Conclusion: Disputed rpoB mutations do not seem to be rare among the strains exhibiting RIF resistance in South Korea.

The overexpression of Arachis hypogaea resveratrol synthase 3 (AhRS3) modified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in developing rice seeds

  • Lee, Choonseok;Jeong, Namhee;Kim, Dool-Yi;Ok, Hyun-Choong;Choi, Man-Soo;Park, Ki-Do;Kim, Jae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67-167
    • /
    • 2017
  • Our previous study for developing seeds of Iksan 526 (I.526), an inbred line of resveratrol-producing transgenic rice line, showed that, in 20 days after heading (DAH) seeds, resveratrol was almost saturated and accumulation of piceid was highest though the expression of Arachis hypogaea resveratrol synthase 3 (AhRS3, GenBank DQ124938) was highest in 31 DAH seed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how the overexpression of AhRS3 affects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p-Coumaroyl-CoA is derived from phenylpropanoid pathway and used as a substrate of AhRS3 reaction for resveratrol production. In 6, 13, 20, 31 and 41 (45 for Dongjin) DAH seeds of I526 and Dongjin, a wild type of I.526, respectively,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including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LOC_Os02g41630.2, LOC_Os04g43760.1), cinnamate 4-hydroxylase (C4H: LOC_Os05g25640.1), 4-coumarate-CoA ligase (4CL: LOC_Os02g08100.1), cinnamoyl-CoA reductase (CCR: LOC_ Os09g25150.1, LOC_Os08g34280.1), hydroxycinnamoyl-CoA shikimate/quinate hydroxycinnamoyl transferase (HCT: LOC_Os04g42250.2, LOC_Os02g39850.1) and 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CAD: LOC_Os02g09490.1), was examined using real time (RT)-PCR. Compared to developing seeds of Dongjin, RT-PCR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was modified in developing seeds of I.526. In most genes, except for CAD, of I.526 developing seeds, the gene expression was highest in 20 DAH corresponding to biosynthesis of resveratrol and piceid, i.e. the expressio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was gradually increased by 20 DAH and decreased as seeds develop. Especially, in Dongjin, the highest expression of PALs and 4CL was in 6 DAH and their expression was gradually decreased as seeds develop. These genes expression data also exhibited that, in developing seeds of I.526,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were slightly or significantly (in some genes) upregulated compared to Dongjin. Therefore, the overexpression of AhRS3 changed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in I.526 developing seeds and this modification for gene expression is closely related to biosynthesis of resveratrol and piceid.

  • PDF

The overexpression of Arachis hypogaea resveratrol synthase 3 (AhRS3) modified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in developing rice seeds

  • Lee, Choonseok;Jeong, Namhee;Kim, Dool-Yi;Ok, Hyun-Choong;Choi, Man-Soo;Park, Ki-Do;Kim, Jae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05-105
    • /
    • 2017
  • Our previous study for developing seeds of Iksan 526 (I.526), an inbred line of resveratrol-producing transgenic rice line, showed that, in 20 days after heading (DAH) seeds, resveratrol was almost saturated and accumulation of piceid was highest though the expression of Arachis hypogaea resveratrol synthase 3 (AhRS3, GenBank DQ124938) was highest in 31 DAH seeds.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how the overexpression of AhRS3 affects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p-Coumaroyl-CoA is derived from phenylpropanoid pathway and used as a substrate of AhRS3 reaction for resveratrol production. In 6, 13, 20, 31 and 41 (45 for Dongjin) DAH seeds of I526 and Dongjin, a wild type of I.526, respectively,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including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LOC_Os02g41630.2, LOC_Os04g43760.1), cinnamate 4-hydroxylase (C4H: LOC_Os05g25640.1), 4-coumarate-CoA ligase (4CL: LOC_Os02g08100.1), cinnamoyl-CoA reductase (CCR: LOC_Os09g25150.1, LOC_Os08g34280.1), hydroxycinnamoyl-CoA shikimate/quinate hydroxycinnamoyl transferase (HCT: LOC_Os04g42250.2, LOC_Os02g39850.1) and cinnamyl alcohol dehydrogenase (CAD: LOC_Os02g09490.1), was examined using real time (RT)-PCR. Compared to developing seeds of Dongjin, RT-PCR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was modified in developing seeds of I.526. In most genes, except for CAD, of I.526 developing seeds, the gene expression was highest in 20 DAH corresponding to biosynthesis of resveratrol and piceid, i.e. the expressio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was gradually increased by 20 DAH and decreased as seeds develop. Especially, in Dongjin, the highest expression of PALs and 4CL was in 6 DAH and their expression was gradually decreased as seeds develop. These genes expression data also exhibited that, in developing seeds of I.526,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were slightly or significantly (in some genes) upregulated compared to Dongjin. Therefore, the overexpression of AhRS3 changed the expression pattern of phenylpropanoid pathway genes in I.526 developing seeds and this modification for gene expression is closely related to biosynthesis of resveratrol and piceid.

  • PDF

3차원 지형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SEAMCAT 기반 전파 간섭 평가 도구 (SEAMCAT Based Interference Evaluation Tool with 3D Terrain Display)

  • 박상준;전준영;임창헌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3-20
    • /
    • 2013
  • SEAMCAT(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 Carlo Analysis Tool)은 통신 시스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간섭 영향을 분석하는 도구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전 논문 [9]에 따르면 기존의 SEAMCAT에 ITU-R P.526 경로 손실 모델을 추가하여 지표 고도 정보를 반영한 간섭 분석 연구를 수행한 바가 있다. 이때 간섭 분석 대상 지역을 보여주기 위하여 구글 맵에 기반한 지형 디스플레이 기능도 함께 추가하였다. 하지만 구글 맵은 2차원 지도 형태로 실제 지형의 형태를 보여주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지역의 지표 고도 변화 등의 지형 특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3차원으로 지형을 보여주는 구글 어스(Google Earth)의 API 기능을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지형을 보여주면서 부가적으로 분석 대상 통신 시스템의 위치 표시, 위치에 따른 전계 강도나 간섭 강도의 변화, 음영 지역 표시, 가시 분석을 함께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SEAMCAT에 추가하였으며, 이를 사용한 간섭 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 병합 유무에 따른 전안부 소견과 생체 계측치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Anterior Segment Features between Groups with or without Glaucoma in Pseudoexfoliation Syndrome)

  • 구본혁;최상경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49-1055
    • /
    • 2018
  • 목적: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 병합 유무에 따른 전안부 소견과 생체 계측치들을 비교 분석하여 거짓비늘증후군에서 녹내장 발생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거짓비늘증후군으로 진단된 96명(115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순거짓비늘증후군 64명(76안)과 녹내장 병합 거짓비늘증후군 32명(39안)의 두 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기저질환, 거짓비늘물질이 관찰된 부위 및 홍채의 변화, 핵백내장 정도, 산동 정도, 각막내피세포 수, 중심각막두께, 전방깊이, 안축장, 각막곡률, 안압을 비교하였다. 결과: 두 군 간 나이(p=0.694), 성별(p=0.161), 당뇨(p=0.440), 고혈압(p=0.238), 거짓비늘물질의 관찰 위치로 전낭, 동공연(p=0.700, 0.210), 홍채의 변화 양상으로 동공연 탈색소, 주름 소실(p=0.526, 0.708), 핵백내장 정도(p=0.617), 산동 정도(p=0.526), 중심각막두께(p=0.097), 전방깊이(p=0.283), 안축장(p=0.095), 수평, 수직 각막곡률(p=0.066, 0.306)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녹내장병합거짓비늘증후군에서 안압이 높고(p=0.026) 동공연의 막형성이 많으며(p=0.047), 각막내피세포 수의 감소(p=0.048)가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거짓비늘증후군에서 개방각녹내장이 병합된 경우 높은 안압, 각막내피세포 수 감소, 동공연의 막형성 소견이 유의하게 비교 관찰되므로 이러한 변화 양상이 관찰될 때 녹내장 병합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경과관찰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37-5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 정도와 그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우울의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우울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29.08{\pm}5.17$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연령, 학력, 직업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상은 평균 $75.66{\pm}12.11$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은 결혼기간,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우울은 평균 $10.81{\pm}7.84$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은 연령, 학력, 가족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난임 관련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우울은 각각 비용부담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신체상(r=.688, p=.000)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우울은(r=-.710, p=.000)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상은 우울(r=-.526, p=.000)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0.66, p=.000), 시부모와 동거하는 경우(b=-7.92, p=.001), 연령이 41세 이상인 경우(b=-1.72, p=.033)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