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rigida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6초

솔잎혹파리 침해(侵害)에 따른 감수성수종(感受性樹種)인 소나무와 저항성수종(抵抗性樹種)인 리기다소나무에 있어서 광합성(光合成) 및 엽(葉)의 색소변이(色素變異)에 관한 연구(硏究) (Variation in Photosynthesis and Leaf Pigments of Susceptible Pinus densiflora and Resistant Pinus rigida Following Pine Gall Midge Attack)

  • 이돈구;성주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1-11
    • /
    • 1984
  • 솔잎혹파리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침해(侵害)에 따른 생장(生長) 감소(減少)와 색소변이(色素變異)를 조사비교(調査比較)하기 위해 지난해에 솔잎혹파리 피해(被害)가 심(甚)한 지역(地域)-경기도(京畿道) 수원시(水原市) 파장동(巴場洞)-에서 감수성(感受性) 수종(樹種)인 소나무(Pinus densi flora S. et Z.)와 저항성(低抗性) 수종(樹種)인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를 대상으로 솔잎혹파리 침입전(侵入前), 후(後)의 침엽생장(針葉生長),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 및 호흡율(呼吸率), 엽록소(葉綠素) 그리고 carotenoid 및 anthocyanin 색소함량(色素含量)의 변화(變化)를 1983년年 6월(月)부터 10월(月)까지 월별(月別)로 조사(調査)하였으며, 또한 3, 4월(月)에는 토양(土壤)속에서 월동중(越冬中)인 유충(幼虫)과 9월(月)에 솔잎속에서 생장(生長)하는 유충(幼虫)의 carotenoid와 anthocyanin 색소(色素)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침엽생장(針葉生)에 있어서 솔잎혹파리에 침해(侵害)를 받은 피해엽(被害葉)이 건전엽(健全葉)에 비(比)하여 소나무에 있어서는 48.1%. 리기다소나무에 있어서는 37.4%정도의 생장(生長) 감소(減少)를 보였다. 2) 광합성(光合成) 능력(能力)에 있어서는 두 수종(樹種) 모두 건전엽(健全葉)이 피해엽(被害葉)보다 높았으며, 소나무에서는 8월(月)에 최대치(最大値)를 보였으나 리기다소나무에서는 10월(月)에 최대치(最大値)를 보였다. 한편, 호흡율(呼吸率) 있어서는 리기다소나무가 소나무보다 높았으며, 두 수종(樹種) 모두 피해엽(被害葉)이 건전엽(健全葉)보다 높았다. 3) 엽록소(葉綠素) 함량(合量)에 있어서는 리기다소나무가 소나무보다 높았으며, 두 수종(樹種) 모두 피해엽(被害葉)이 건전엽(健全葉)보다 높았다. 4) 일반적(一般的)으로, 솔잎혹파리에 저항성(低抗性)인 리기다소나무가 감수성(感受性)인 소나무보다 carotenoid 함량(合量)이 많았다. 또한 토양중(土壤中) 유충(幼虫)에서는 carotenoid 함량(合量)이 0.094.mg/g, 충영(虫癭)속 유충(幼虫)에서는 0.092 mg/g을 보여 서로 비슷하였으며, 이는 침엽(針葉)에서 나타난 함량(含量)보다 적었다. 5) Anthocyanin 함량(含量)에 있어서는 두 수종(樹種) 모두 피해엽(被害葉)이 건전엽(健全葉)보다 높았으며, 특히 소나무의 충영엽(虫癭葉)에서 높게 나타난 것은 솔잎혹파리침해(侵害)의 자극(刺戟)으로 인한 함량(含量)의 증가(增加)이며 따라서 가을에 충영부위(虫癭部位)가 적갈색(赤褐色)으로 변(變)한다고 생각된다.

  • PDF

서로 다른 모암과 토양의 미량원소 특성 및 리기다소나무의 원소 함량 (The Trace Element Characteristics of Rocks, Top Soils, and Pinus rigida Growing on Soils Derived from Different Parent Rocks)

  • 민일식;김명희;송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2-29
    • /
    • 1998
  • 충남지역의 사문암과 변성암 및 흑색셰일지역의 암석, 토양 및 그 위에서 생육하는 리기다소나무의 미량원소 함량을 측정하여 모암별 토양의 원소함량과 식물체의 흡수확계를 조사하였다. Ni, Cr 및 Co 함량은 사문암에서 매우 높았으며, Zn, Mo 및 Fe 함량은 변성암에서 높았다. 흑색셰일의 이들 원소는 사문암과 변성암보다 공히 낮았다. 사문암 토양의 Ni, Cr 및 Co 함량은 매우 높았으며, Zn과 Fe 함량은 사문암+변성암 혼합풍화토 및 흑색셰일 토양에서 높았다. 풍화토의 미량원소 함량은 암석의 함량보다 낮았으며, 그 패턴은 Mo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사하였다. 사문암 풍화토의 pH 범위는 7.73~9.55로 매우 높았다. 사문암지역 리기다소나무의 Cr 흡수량은 토양내 Cr함량에 비하여 낮았으며, Zn 은 토양내의 원소함량에 비하여 리기다소나무에 의한 흡수량이 높았다. 리기다소나무에 의하여 흡수된 Ni, Fe 및 Co 함량에 대한 Fe/Ni, Co/Ni 비율은 사문암풍화토에서 가장 낮았다.

  • PDF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ree Pinus species

  • Kim, Hyeusoo;Lee, Byongsoon;Yun, Kyeong W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1호
    • /
    • pp.57-63
    • /
    • 2013
  • This study compar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three Pinus plants (Pinus densiflora, P. thunbergii, P. rigida) for the first tim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water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fresh leaves was stronger than that of fallen leaves at any concentrations. The water fraction of crude methanol extract from fresh leaves of P. thunbergii showed a higher grow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than that of P. densiflora and P. rigida. The results from the disc diffusion method followed by measurements of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indicate that Bacillus subtilis was the most sensitive microorganism with the lowest MIC value.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tent was found in fresh leaves of P. rigida and P. thunbergii. The assay showed that the fresh leaves of the three Pinus plants contain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than fallen leaves of the three plants.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광주지방(光州地方)의 리기다소나무 및 리기테다소나무조림지(造林地)의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에 관(關)한 연구(研究) (Distribution of Biomass and Production of Pinus rigida and Pinus rigida×taeda Plantation in Kwangju District)

  • 이경재;김갑덕;김재생;박인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28-35
    • /
    • 1985
  • 전남(全南) 광주(光州)에 소재(所在)하는 22년생(年生)의 리기다 및 리기테다소나무임분(林分)에 $200m^2$의 표준지(標準地)를 설정(設定)하고,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 및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을 분석(分析) 추정(推定)하였다. 각(各) 표준지(標準地)에 직경급별(直徑級別)로 안배한 9 주(株)의 표본목(標本木)을 벌채(伐採)하여 1m의 계층(階層)으로 절단(切斷)하고 간(幹)(Ws), 지(枝)(Wb), 엽(葉)(Wl) 부위(部位)로 나누어 건중량(乾重量)을 계산(計算), $D^2H$와의 상대생장식(相對生長式)을 이용(利用)하여 물질생산량(物質生産量)을 추정(推定)하였다. 생산구조면(生産構造面)에서 광합성부(光合成部)가 리기다소나무는 지상(地上) 6.2m, 리기테다소나무는 지상(地上) 9.2m 높이에서 시작되었고, 수관(樹冠)의 최대광합성층(最太光合成層)은 각각(各各) 11.2m, 12.2m 높이에서 나타났다. 지상부(地上部)의 현존량(現存量)은 리기다소나무가 71.61 t/ha, 리기테다소나무가 142.32 t/ha이었고, 년순생산량(年純生産量)은 각각(各各) 10.81 t/ha/yr, 10.46 t/ha/yr이었다. 현존량밀도(現存量密度)는 리기다소나무가 $0.56kg/m^3$, 리기테다소나무가 $0.96kg/m^3$ 이었다. 잎의 생산능률(生産能率)을 추정(推定)한 바 NAR은 리기다소나무가 1.32 kg/kg/yr, 리기테다소나무가 1.00 kg/kg/yr이었고, 잎의 간재생산능률(幹材生産能率)은 각각(各各) 0.97 kg/kg/yr, 0.81 kg/kg/yr 이었다.

  • PDF

리기다소나무의 수용추출액이 무 종자의 발아과정에서 단백질과 동위효소 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Extracts of Pinus rigida on Protein and Isozyme patterns during Radish Germination)

  • 김용옥;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6호
    • /
    • pp.771-777
    • /
    • 1998
  • Aqueous extracts of Pinus rigida changed the electrophoretic patterns of total proteins and of hydrolytic enzymes such as peroxidase, esterase and amylase during the germination of radish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When the extract treatment was finished, at the late stage of radish germination, aqueous extracts of P. rigida had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24 KD and 60 KD proteins. the extract induced new isozyme bands, indicating concomitant activity of peroxidases, esterase activities were stimulated in the cathodic region. The activity of amylase was enhanced by the extract.

  • PDF

삼림토양의 미생물군집과 아밀라아제 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icrobial Population and the Amylase Activity of the Forest Soil)

  • Lee, Hee-Sun;Shim, Jae-Ku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71-183
    • /
    • 1994
  • Soil condition, total number of bacteria, soil amylase activity and microbial biomass $(CO_2-C)$ were measured at soil of different forest types. And the difference of the allelopathic effect was determined between fresh leaf extract of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rigida to the bacteria isolated from soil of different forest types. 1. Total number of bacteria in Carpinus laxiflora forest soil was 4~7 times larger than that in pinus desiflora forest soil. 2. Soil amylase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number of soil bacteria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e amylase activity at F layer was 4~5 times larger than that at H layer, and that at H layer was 2~4 times larger than that at A layer. 3. Seasonal changes of microbial biomass showed a peak in summer,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icrobial biomass de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 The microbial biomass in Pinus densiflora forest soil was larger than that in Quercus serrata forest soil. 4. Fresh leaf extract of Pinus rigida and Quercus acutissima showed an acceleration or inhibition effect on the growth of soil bacteria, and that of !. acutissima inhibited larger number of soil bacterial strains than that of P. rigida. 4.2% and 25% of soil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soil of P. rigida and Q. acutissima forests were inhibited by fresh leaf extract of P. rigida and Q. acutissima, respectively.

  • PDF

Pinus rigida × taeda 침엽내(針葉內) 양료수준(養料水準)의 변이(変異)에 관(関)한 몇가지 요인(要因)의 영향(影響) (Effect of Some Factors on the Variation of Nutrient Level in Pinus rigida × taeda Needle)

  • 김지문;권기원;송호경;김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7-36
    • /
    • 1981
  • 소나무속(屬)의 세 가지 수종(樹種)인 P. rigida, P, taeda, P. rigida${\times}$taeda에 대(対)하여 수령(樹令)(16~19년생(年生), 6년생(年生)), 엽령(葉令)(당년엽(当年葉), 월동엽(越冬葉), 1년(年)된 노엽(老葉)), 식재지역(植栽地域)(경기(京畿), 충남(忠南), 전북(全北))별(別)로 구분(区分), N, P, K, Ca, Mg, 전당(全糖), 전분(澱粉), 에텔추출물(抽出物)과 같은 양료(養料)의 침엽내(針葉內) 농도(濃度)가 분석(分析)되었다. 엽내(葉內) 무기양료(無機養料)의 구성(構成)은 일반적으로 모든 수종(樹種)에서 N(0.764~1.502%)>K(0.130~0.491%) $$\geq_-$$Ca(0.165~0.442%)>Mg(0.054~0.121%) ${\fallingdotseq}$P(0.041~0.129%) 순(順)이었다. 전당(全糖)과 에텔추출물(抽出物)의 농도(濃度)는 각각(各各) 건중량(乾重量)으로 침엽(針葉)의 5~15%로 분포(分布)되었다. N, P, K의 농도(濃度)는 2월(月)의 월동엽(越冬葉)에서 비슷하게 높았지만 Ca는 1년(年)묵은 노엽(老葉)에서 높은 농도(濃度)를 보였다. 전체적(全体的)으로 보아, 침엽내(針葉內) 무기양료수준(無機養料水準)은 수종(樹種), 수령(樹令), 엽령(葉令), 지역(地域)에 따라 다른 양상(樣相)을 보이고 있었다. N과 P의 엽중농도(葉中濃度)는 일반적으로 정(正)의 상관(相関)을 보이고 있었다. 전당(全糖)의 엽중농도(葉中濃度)는 P. rigida > P. rigida${\times}$taeda > P. taeda 순(順)이었고 2월(月)에 가장 낮은 수준(水準)이었다. 침엽내(針葉內) 전분(澱粉)은 전당(全糖)의 10% 정도(程度)이었고 그 수준(水準)의 변이(変異)는 조사인자(調査因子)에 따라 균일(均一)하지 않았다. 에텔추출물(抽出物)의 함량(含量)은 엽령(葉令)과 함께 다소 증가(增加)하였지만 다른 요인(要因)에 대(対)해서는 불규칙(不規則)하게 변(変)하였다.

  • PDF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落葉松) 인공조림지(人工造林地)의 지상부(地上部) 생체량(生體量), 질소(窒素)와 인(燐)의 분포(分布) 및 낙엽(落葉)에 관한 연구(硏究) (Aboveground Biomass, N and P Distribution, and Litterfall in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is Plantations)

  • 김종성;손요환;임주훈;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416-425
    • /
    • 1996
  • 경기도 양평지역의 사질식양토 위에 인접하여 생육하고 있는 37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인공조림지에서 지상부 식생의 생체량, 임목과 낙엽층 및 지표로부터 20cm 깊이까지의 토양내 질소(N)와 인(P)의 분포 그리고 낙엽량 등을 측정하였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의 지상부 임목의 생체량은 각각 138.2t/ha와 127.2t/ha로 수종간의 차이는 없었다. 수피와 엽내 N의 농도는 낙엽송에서 리기다소나무 보다 높았다. 하층식생이 지상부 식생의 총생체량에 차지하는 비율은 2% 이하이었으나, 양료량에서는 12.0%까지 차지하여 양료의 주요 분포장소로 나타났다. 토양내 N과 P의 농도는 낙엽송 임지에서 리기다소나무 임지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생태계내 총N의 함량은 낙엽송에서 5,579kg/ha로 리기다소나무의 4,147kg/ha보다 많았다. 연간 낙엽량은 리기다소나무에서 6,020kg/ha로 낙엽송의 4,191kg/ha보다 많았으나 낙엽중 엽내 N의 함량은 낙엽송에서 2배정도 많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수종이 산림생태계내 양료의 분포와 순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 PDF

질소와 인 시비가 경기도 양평지역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의 지상부 생체량과 양분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ertilization on Aboveground Biomass and Distribution of Nutrient Content of Pinus rigida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Yangpyeong area, Gyeonggi Province)

  • 이임균;손요환;오정수
    • 임산에너지
    • /
    • 제23권1호
    • /
    • pp.1-18
    • /
    • 2004
  • 본 연구는 질소 및 인 시비가 지상부 생체량과 양분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도 양평지역의 유사한 토양 위에 조성되어 있는 41년생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조림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시비는 대조구(control), 저농도 시비구 [200N kg/ha+25P kg/ha(LNP)], 고농도 시비구 [400N kg/ha+50P kg/ha(HNP)] 등 세 수준으로 처리하였으며,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의 총 지상부 생체량은 대조구가 149, 145ton/ha, LNP 처리구가 166, 149ton/ha, HNP 처리구가 152, 170ton/ha이었으며, 수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 모두 지상부 각 부위별 생체량은 수간목부>가지>수피>엽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하층식생의 생체량은 리기다소나무림이 1,111kg/ha, 그리고 낙엽송림이 907kg/ha이었으며, 이는 전체 지상부 생체량의 0.6~0.7%에 해당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수체 내 모든 양분들의(N, P, K, Ca, Mg) 농도는 리기다소나무에 비해 낙엽송이 높았는데, 그 이유는 낙엽성 침엽수가 상록성 침엽수에 비해 높은 양분 흡수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리기다소나무와 낙엽송 임분의 각 부위별 양분농도는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종간 각 부위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수종 모두 각부위별 양분농도는 엽>가지>수피>수간목부의 순으로 감소되었다. 두 수종 모두 양분함량은 시비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리기다소나무는 LNP 처리구에서 그리고 낙엽송은 HNP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 식생에 대한 총 양분함량은(N+P+K+Ca+Mg) 리기다소 나무가 703kg/ha 그리고 낙엽송이 869kg/ha였다.

  • PDF

리기다소나무와 리기테다소나무 묘목(苗木)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과 순동화율(純同化率) 비교(比較) 연구(研究) (Photosynthesis and Net Assimilation Rate in two-year-old Seedlings of Pinus rigida and Pinus rigida × P. taeda F1)

  • 윤양;이돈구;심상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42-50
    • /
    • 1984
  • 리기다소나무와 리기테다소나무의 유시(幼時) 및 가계간(家系間)의 생장능력(生長能力)을 예측(豫測)하기 위하여 2년생(年生) 묘목(苗木)을 대상(對象)으로 생장(生長),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 그리고 순동화율(純同化率)을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리기다소나무와 리기테다소나무 모두 순동화율(純同化率)과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의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를 볼 수 있었으며, 리기다소나무 3가계(家系)를 제외한 다른 모든 가계(家系)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은 생장(生長)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순동화율(純同化率)은 모든 가계(家系)가 감소(減少)하였다. 모든 가계(家系)의 광합성능력(光合成能力)과 순동화율(純同化率)의 순서가 실험기간(實驗期間) 동안 일정하지 않아 어느 한 시기(時期)의 측정치(測定値)로 평가(評價)할 수 없으므로 총광합성(總光合成) 능력(能力)과 총순동화율(總純同化率)로 평가(評價)하였다. 총광합성능력(總光合成能力)과 총순동화율(總純同化率)은 총건중량(總乾重量)과 각각(各各) 0.6394, 0.7998의 상관(相關)을 나타냈다. 따라서 양수종(兩樹種)의 생장력(生長力)은 총광합성능력(總光合成能力)과 총순동화율(總純同化率)의 측정(測定)에 의해 예측(豫測)할 수 있었다. 리기테다소나무의 가계(家系) 경기(京畿) 13호(號) ${\times}7-107$과 리기다소나무의 가계(家系) 경기(京畿) 1호(號)가 수종내(樹種內)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능력(生長能力)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