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rigida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9초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I) - 동구릉 식생군집의 천이 - (Studies on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Tomb(I) - Successional Trends of Plant Community of Donggu Royal Tomb -)

  • 이경재;오구균;전용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6
    • /
    • 1988
  • ^x This study was executed to analyze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of Donggu Royal Tomb forest by four kinds of ordination techniques(pola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ciprocal averaging, and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couple photographs between 1920s and 1987. Thirteen sites were sampled with clumped sampling method in June of 1987 and five quadrats were examined in each sit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vironmental impact grade 3,4 and 5 area covered 16.11ha and these area should be restored by the input of human energy because self - refair seemed to be impossible. 2. Pinus densiflora community of actual vegetation covered 8.2%, Alnus japonica community 5.7%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15.8% of the surveyed area(73.3ha). And afforested vegetation including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Alnus hirsuta and Robinia pseudoacacia covered 27.0%. 3. Donggu Royal Tomb forest was divided by Pinus densiflora, P. densiflora-Quercus aliena, Alnus japonia - Q. aliena and A. japonica community. DC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his study. 4. DCA ordination were showed that succe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 to be from Pinus densiflora through Prunus sargentii,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a to Carpinus laxiflora in P. densiflora community and from Alnus japonica through Acer ginnala to Q. aliena in A. japonica community of the upper layer and from Rosa multiflor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Zanthoxylum schiniflolium through Rhus trichocarpa, Styrax japonica, Rhododendron scilippenbachii to Viburum erosum, Lindera obtusiloba in the middle layer. 5. By the comparsion of the couple photographs beween 1920s and 1987, we can recognize the change of historical landscape composed by P. densiflora and A. japonica community and those community is succeed to Q. aliena.

  • PDF

Pre-Infection Behavior of the Pitch Canker Fungus Fusarium circinatum on Pine Stems

  • Thoungchaleun, Vilakon;Kim, Ki-Woo;Lee, Don-Koo;Kim, Chang-Soo;Park, Eun-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12-117
    • /
    • 2008
  • Pre-infection behavior of Fusarium circinatum on stems of pine species was investig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wo-year-old stems of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were inoculated with the fungal conidial suspension and subjected to $25^{\circ}C$ for up to 16 hr. Most microconidia germinated 12 hr after inoculation on pine stems. Conidia produced germ tubes from either one or both ends of microconidia. Germ tubes grew over the stem surface and appeared to enter host tissues through natural openings on pine stems. Surface cracks in the cork were entrance sites of germ tubes of F. circinatum. In addition, host cell wall cracks were often found at the tip of germ tubes. The cuticle appeared to be eroded either at the tip of germ tubes or around germlings. Germ tubes also produced appressoria-like structures, exhibiting swollen tips of germ tubes on the stem surface. There seems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infection behavior of F. circinatum on stems between the two pine species.

Effects of Dolomite Liming on Soil Chemistry in Acidic Forest Soils

  • Kim, Chang-Gi;Rhyu, Tae-Cheol;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6호
    • /
    • pp.327-333
    • /
    • 2003
  • A mixed forest of pines (Pine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and an oak forest (Quercus mongolica) in Mt. Kwanak in Seoul were limed with 1.5 t/ha and 3 t/ha of dolomite in 1993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iming on the chemical changes in the 0-5 cm and 5∼10 cm layers of soil from 1994 to 1995. Soil pH values were greater in the lim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 by the unit of 0.1-0.6 in the pine forest and 0.1∼0.2 in the oak forest. Ca concentrations in the limed plots were grea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lots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A considerable increase in Mg concentrations in soil was observed in the limed plots. K and Na concentrations in the limed plots appeared to decrease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two years after liming. Although Al concentrations were greater in the limed plots than in the control plot in the pine forest in 1994, there was a tendency of a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this metal in the limed plots in 1995. Mn concentrations also tended to decrease in the limed plots in both the pine and oak forests.

Toxic Effects of Serpentine Soils on Plant Growth

  • Kim, Jeong-Myeong;Shim, Jae-K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4호
    • /
    • pp.327-331
    • /
    • 2008
  • Serpentine soils are distributed in a small area in Korea, and generally exhibit high contents of Ni, Cr, Fe, Mn, Co and Mg. We investigated the growth of woody plants and herbs in the Andong serpentine area, Korea. Pinus densiflora and P. rigida growing on serpentine soils have high contents of Fe, Mg, Ni and Co, with contents approximately twice as high as those of non-serpentine plants. Tree species on serpentine soil also had lower ratios of tree height/DBH than trees in a control area. In greenhouse culture experiments on two bodenvag herb species, Setaria viridis and Cymbopogon tortilis, the biomass of the pla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oil type but not by seed origins. After 66 days, the growth of S. viridis and C. tortilis seedling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serpentine soil, and the dry weight of each speci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il heavy metal contents (Ni, Co and C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wth of plants was inhibited by properties of the serpentine soil, and in particular, their high heavy metal concentration, which induced dwarfing in woody plants and reduction of total plant biomass in herbs.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 남한강 육상식물, 토양을 중심으로 - (The Vegetational Diagnosis for the Ecological Rehabilitation of Stream - In case of the Forest Communities, Soil in Namhan river -)

  • 명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127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a river model with an aim at restoring the ecosystem and improving the landscape along the urban rivers on the basin of the Namhan river, a core life channel for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revelation of botanical status, transition trend and correlation of plants might lead to providing the urban river restoration projects and ecological river formation projects with basic data for a model of ideal aquatic ecology and landscape.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1. Communities of Juglans mandshurica, Cornus controversa and Fraxinus mandshurica constitute the main portion of flora at or around uppermost branch streams of the River Namhanis harbored mainly in and around small brooks 2. Typical terrestrial forest communities formed around the River Namhan are composed mainly of Larix leptolepis, Pinus rigida, planned forestation of Pinus koraiensis,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3. The analysis into terrestrial environment of plant communities showed a high content of $P_2O_5$, typical communities found in the artificially disturbed land Finally, it seems also desirable to continue to make every exer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vial and terrestrial ecologies with a purport of building up a model of natural streams in urban area based on the surveyed factors for plant life, forest communities, soil and landscape and, moreover, on the forecasting for overall influences derived from the relation upon the ecosystem.

수목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V) - 과별(科別)에 따른 항균 및 항산화 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ad Extractives (XV)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verse families -)

  • 이성숙;이학주;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4호
    • /
    • pp.8-17
    • /
    • 2004
  • 수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항산화제, 식품첨가제 및 농약 개발에 필요한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즉, 65와 263종의 수목을 목부, 잎 및 수피로 나누어 에탄올로 추출한 후 항진균활성은 균사생장억제율을, 항세균활성은 생육저지환직경을 그리고 항산화활성은 프리라디칼소거능을 측정하여 검정하고 과별에 따른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 우수수종으로는 소나무와 수종 5종(잣나무,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개잎갈나무, 방크스소나무), 측백나무와 수종 3종(노간주나무, 향나무, 편백) 그리고 콩과 수종 3종(자귀나무, 다릅나무, 회화나무)이 각각 선발되었다. 항세균활성은 자작나무와 6종(개서어나무, 소사나무, 산오리나무, 서어나무, 박달나무, 사방오리나무), 참나무과 5종(구실잣밤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밤나무), 대극과 4종(유동, 오구나무, 예덕나무, 사람주나무) 그리고 보리수나무와 3종(보리수나무, 보리밥나무, 보리장나무)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느릅나무와의 느티나무, 소나무과의 소나무, 콩과의 다릅나무, 측백나무와의 편백 및 향나무는 항진균 및 항세균활성이 공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생물농약 및 천연보존제 개발에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활성을 검정한 결과 96% 이상의 프리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낸 시료는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이 8종(비파나무, 섬벚나무, 왕벚나무, 귀룽나무, 살구나무, 모과나무, 국수나무, 찔레꽃)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진달래과로 총 5종(진달래, 철쭉꽃, 산철쭉, 모새나무, 정금나무)이었다. 한편, 공시시료로 사용된 장미과 시료 총 48종 중에 6종만 라디칼 소거능이 80%이하인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활성과 관련된 성분이 장미과 식물 공통으로 존재할 기능성이 시사되었다.

대구 인접지역에 대한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Syntaxonomy of the Forest Vegetation and Surrounding Taegu, Korea)

  • 정흥락;이호준;이재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407-421
    • /
    • 2000
  • 1994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대구 인접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조사지역에서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대사초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층층나무하위군락), 소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오이풀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털진달래-그늘사초군락, 아까시나무식재림, 리기다소나무식재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곰솔식재림, 잣나무식재림의 7군락, 8하위군락, 5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의 식별종은 신갈나무, 뱀고사리, 철쭉꽃, 쇠물푸레, 노린재나무, 노루오줌, 병꽃나무, 꽃며느리밥풀, 고로쇠나무-까치박달군락에서는 고로쇠나무, 까치박달, 서어나무, 고추나무, 소나무군락에서는 소나무, 졸참나무, 댕댕이덩굴, 노간주나무로 각각 나타났다. 특히 졸참나무는 소나무군락의 관목층과 초본층에서 높은 상재도를 보였다. DCA에 의한 요인분석에서는 표조작에 의한 군락분류와 유사한 군락의 분포패턴을 보였으며, 습도구배에 따라 각 군락의 특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의 철쭉꽃하위군락과 신갈나무군락의 전형하위군락은 유사한 입지환경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시 근교에 위치한 도시숲 군집구조 분석 (Community Analysis of Urban Forest around city of Seoul)

  • 노유미;강희준;이상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99-60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도시 숲에 속해 있는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 3개 산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하였다. 불암산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Pinus densiflora)-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서어나무(Carpinus laxiflora)-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팥배나무(Sorbus alnifolia)로 나왔으며 대모산의 군집은 리기다소나무-일본잎깔나무(Larix leptolepis), 현사시나무(Populus tomentiglandulosa)-물박달나무(Betula davurica Pall)로 구분되었다. 봉화산의 군집분석 결과 소나무-팥배나무와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벚나무(Prunus serrulata)로 구분되었다. 불암산, 대모산, 봉화산의 지역별 유사도에서는 불암산과 대모산의 유사도 지수가 0.634로 높게 나와 비슷한 식생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다른 지역보다 대모산 지역의 우점도가 0.166으로 다수의 종이 우점한다. 또한 종다양도 분석결과 대모산이 가장 안정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종다양도, 최대종다양도, 균재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높아지고 우점도는 불암산, 봉화산, 대모산 지역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서울시 남산 주요 식생군락의 11년간($1994{\sim}2005$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Change for Eleven Years$(1994{\sim}2005)$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Major Community in Namsan, Seoul)

  • 이경재;기경석;한봉호;김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48-463
    • /
    • 2006
  • 본 연구는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을 대상으로 최근 11년간($1994{\sim}2005$년) 식생구조 변화상태를 분석하여 생태적 복원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4개 군락내에 설정한 고정조사구$(1,200m^2)$내 식생구조 조사결과, 교목층에서는 기존 우점수종들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 확대하고 있었으며 아교목층은 도시환경에 적응성 이 높은 때죽나무, 관목층 국수나무의 세력을 증가하였다. 샤논의 종다양도 분석결과 신갈나무군락$(1.0921{\rightarrow}1.0381{\rightarrow}1.0633)$, 소나무군락$(0.7071{\rightarrow}0.8553{\rightarrow}1.0164)$, 아까시나무군락$(0.9255{\rightarrow}0.8392{\rightarrow}0.8721)$은 1998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최근에 증가하는 추세이었고 리기다소나무군락은 1998년 0.9008에서 2005년 0.8850로 감소하였다. 종수 및 개체수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토양산도는 $4.34{\sim}5.31$로 20년에 비해 다소 양호해졌다.

세종시 괴화산 도시숲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Urban Forests on Mt. Goehwa, Sejong-Si)

  • 김현화;이정은;이성연;박다은;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51-65
    • /
    • 2024
  • 본 연구는 도시숲 이용 및 관리방안에 필요한 식생구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 괴화산을 대상으로 상관우점종 및 종조성에 의한 식생유형을 분석한 결과, 2개의 군락군(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과 큰금계국군락군)으로 대별되었다. 졸참나무-생강나무군락군은 인공림과 천연림 식생을 포함하고 있는데, 인공림은 리기다소나무군락, 밤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천연림은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의 6개 단위로, 큰금계국군락군은 임연부의 식생을 구성하고 있는 큰낭아초군락, 싸리군락, 족제비싸리군락, 비수리군락의 4개 단위로 각각 분류되어 총 10개의 식생단위 체계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결과 전체 종에서 밤나무가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리기다소나무 6.4%, 아까시나무 6.3% 순으로 나타나 괴화산은 인공조림 수종의 생태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군락유사도에서 인공림과 천연림은 서로 간 종 구성이 동질적이나 임연부와는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DCA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났다. CCA분석 결과, 인공림과 천연림은 해발고도, 암석노출도, 출현종수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임연부와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