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mume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3초

매실나무(Prunus mume)를 기주로 한 인공재배 겨우살이의 일반성분분석 (Nutrients Analysis of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 허정원;;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3-73
    • /
    • 2018
  • 최근 매실나무를 기주로 한 겨우살이의 인공재배에 성공함에 따라, 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일반성분을 분석하였다.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매실나무를 기주로 한 인공재배 겨우살이를 채취하여 동결건조한 후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탄수화물, 베타카로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C, Ca, Fe, K, Na 그리고 P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베타카로틴, Ca, Fe, K, Na 그리고 P은 AOAC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탄수화물은 탄수화물(%) = 100 - (조단백질% + 조지방% + 회분% + 수분%) 계산식을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수분,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C는 식품공전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동결건조한 매실나무겨우살이의 일반성분은 탄수화물 58.90%, 단백질 22.36%, 회분 11.11%, 지방 5.37%, 수분 2.26% 순으로 함유하였다. 비타민의 함량은 비타민 C 4.78mg/100g, 나이아신 1.87mg/100g, 비타민 A 1.42mg/100g, 비타민 B2 0.73mg/100g 그리고 비타민 B1 0.30 mg/100g의 순서로 많이 함유하였다. 무기질은 K 3141.54mg/100g, Ca 977.77mg/100g, P 309.91 mg/100g, Na 20.13mg/100g 그리고 Fe 8,24mg/100g의 순서로 많이 함유하였다.

  • PDF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PME)-containing chewing gum mastication on the change of saliva ingredients

  • Jang, Jong-Hwa;Lee, Young-Soo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63-46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Prunus mume extract(PME) on the change of saliva ingredients. On the basis of the biological background of molecules and diagnostic indices in the use of saliva, the mastication effect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was demonstrated in terms of secretory IgA concentration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 in stimulated saliva. Methods: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use of a research design before and after apply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experiment group was instructed to masticate the chewing gum containing PME for 10 minutes for one month after each meal within 30 minutes. Salivary secretion was collected by the participants between 8 and 10 a.m in the morning in the research office. For the measurement of secretory IgA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in the saliva,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was used. Results: The salivation stimulation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four weeks of masticating chewing gum containing PME after each meal(p<0.001). Mastication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for four weeks decreased the concentration of secretory IgA much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after mastication for one week(p=0.003). The concentration of total protein in the saliva was decreased after four week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Mastication of chewing gum containing PME stimulated salivary secretion and led to oral disease prevention in patients with xerostomia. Furthermore, it seems to be urgent to seek measures that can be utilized in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xerostomia.

수확시기별 매실의 생리활성 변화 (Changes of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Prunus mume Fruit)

  • 서경순;허창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9-273
    • /
    • 2008
  • 매실의 개체당 평균 수분 함량은 $88.34{\sim}90.04%$ 범위로서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수확시기별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조섬유는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polyphenol 함량은 매실이 성숙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water, hexane, ethylacetate 및 ether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 결과 methanol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항균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가진 메탄을 추출물의 활성은 $100^{\circ}C$에서 30분 가열한 조건에서도 안정함을 확인하였고, pH 변화에 따른 안정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매에 따른 전자공여능은 methanol > ethylacetate > water > ether > hexan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THE VARIATIONS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CULTIVATED AROUND IN MTS. JIRI.

  • Lee, Jun-Ki;Hyun, Sang-Ki;Lee, Sang-Sun;Chai, Jung-Ki
    • Plant Resources
    • /
    • 제5권1호
    • /
    • pp.59-69
    • /
    • 2002
  • Twenty-three plants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were collected from several sites around Mountains JIRI in Korea. Japanese apricots having the different morphological features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groups made from the cluster analysis, indicating no geographic distributions but artificial vegetations in Korea. Japanese apricots were, as based on the PCR-RAPD techniques, clustered into the three groups; a group (prototype) having the five white petals with the five red sepals, a group (green type) having the five white petals with the five green sepals, and a group (hybrid type) having the more than five red petals with various colored sepals. The prototype apricots showed higher toxicities than other type apricot against bacteria and production of less compounds in TLC plates. The polypetal types of Japanes apricot were related to those of p. armebiaca in the characteristics of seed (the ruggedness), but also to be closed to those of p. armebiaca in PCR-RAPD analysis. The cluster analysis of the twenty three apricots and its related species calculated from the two primers were shown to distinguish relationships of cultivars within species, or of individual plants within cultivars, but also to display the two overlapping bands resulted from PCR-RAPD technique.

  • PDF

알코올 농도가 매실 리큐르의 제조 중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 Concentration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 이신호;박나영;채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2-556
    • /
    • 2007
  • 매실리큐르 제조시 사용되는 알코올 농도에 따른 숙성 중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산도의 경우, 알코올 농도 30%, 45% 처리구는 숙성 2개월까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이후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pH와 색상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액의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숙성 중 polyphenol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30%와 45% 처리구의 경우 숙성 3개월째 각각 630.6, 686.1 ppm 60% 처리구는 숙성 4개월째 791.1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담금액중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알코올 농도에 관계없이 sucrose와 maltose에 비해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높았다. 매실 리큐르 숙성 중 총 유기산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농도와 관계없이 citric, lactic, malic, succinic 및 acet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고 알코올 매실리큐르의 제조용 주정의 농도는 45%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숙성기간은 2개월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약추출물이 Aspergillus parasiticus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Herbal Extracts on Aflatoxin $B_1$ Production from Aspergillus parasiticus)

  • 정상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85-391
    • /
    • 2003
  • 본 연구에서 8종의 생약 추출물이 A. parasiticus의 배양시 aflatoxin $B_1$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지의 pH는 배양 3일 후에 모든 생약 추출물이 pH 4 이하를 나타냈으며 구기자, 오매, 계피, 두충은 배양 6일에 다시 pH 4 이상으로 상승하였고 이중 대추가 배양 기간 중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 균체 생성량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갈근, 두충, 오미자, 대추, 오매,구기자, 목과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갈근이 최대 생성량을 나타냈으며 목과가 가장 낮은 생성량을 나타냈다. Aflatoxin $B_1$은 갈근과 대추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생성이 억제되었다. 특히 계피, 오매, 두충 구기자, 오미자 추출물 에서 aflatoxin $B_1$ 생성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계피가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균체량이 많이 생성되면 aflatoxin $B_1$ 생성이 적어지고 균체량이 적게 생성되면 aflatoxin $B_1$의 생성이 많아졌다. Aspergillus parasiticus에 의해 aflatoxin $B_1$을 가장 적게 생성하는 계피와 가장 많이 생성하는 갈근 추출물의 총단백질 생성량은 계피는 3일째 (34.5%), 갈근 ext ract는 4일째 (36.4%) 총단백질의 함량이 최대가 되어 균체 내의 총단백질의 함량은 계피와 갈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군이 게조군의 총단백질 함량 (32.7%)보다 약간 많았으며 aflatoxin $B_1$ 생성 및 축적이 최대가 되는 시기는 총단백질량이 최대가 되는 시기보다 대체로 1일 정도 늦게 나타났다.

1-MCP 처리 및 에틸렌 흡착제가 '백가하' 매실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and ethylene-absorbent treatments on quality changes of Prunus mume fruit during storage)

  • 김대현;배정미;박진주;최정희;구경형;임정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9-487
    • /
    • 2016
  • 본 연구는 미숙과 '백가하' 매실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1-MCP 및 에틸렌 흡착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매실을 선별 후 Plastic-box(Cont), LDPE 필름포장(Cont-P) 및 에틸렌 흡착제(Cont-PE)를 첨가 후 포장하였으며, 1-MCP 처리구는 1.0 ppm 농도를 24시간 처리 후 동일한 방법(MCP-P, MCP-PE)으로 포장하여 $1^{\circ}C$에서 8주간 저장하며 2주 간격으로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중량감소율의 경우 포장처리구는 저장 중 중량감소율이 1% 이하였으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증가 후 감소하였으나, 총산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부패율은 저장 4주차에 80%를 나타내었으나, 포장구들은 6주차까지 10%이하를 나타내었다. 저장 8주차 MCP-P구는 5%를 나타낸 반면, 이외 처리구들은 46%이상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였으며, 과피 및 과육의 경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호흡률은 저장 중 증가하였으나 처리구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에틸렌 발생량은 1-MCP처리 직후 $0.02{\mu}L/kg/h$을 나타내어 대조구 $0.05{\mu}L/kg/h$h 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 4주차까지 1-MCP처리구의 에틸렌 발생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함량의 경우 저장 중 oxalic acid 및 malic acid는 감소하는 반면 citr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의 경우 sucrose는 저장 중 증가 후 8주차에 감소하는 반면 glucose 및 fructose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미숙과 '백가하' 매실을 1-MCP 처리 후 밀봉하여 $1^{\circ}C$에서 저장 할 경우 8주 동안 선도유지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개발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Beverage Containing the Prunus mume Extracts)

  • 배지현;김기진;김성미;이원재;이선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13-719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매실 추출물을 0.5%, 5%, 10%, 15% 및 20% 함유한 매실음료를 제조하여 이들의 위암, 대장암, 간암 및 자궁암 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항암효과를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세포독성 test 및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하여 조사해 보았다. 또한 12주간의 매실음료 섭취가 운동선수들의 체내 수분대사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다. 20%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매실음료의 경우 위암 세포주인 SNU-16에 대해 증식억제 효과를 보였고, $1000\;{\mu}g/mL$ 농도에서는 유의적인 세포수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매실음료를 배양액에 첨가하여 6일간 배양시켰을 때 SNU-16 세포주의 형태학적 변화를 볼 수 있었고 fibroblast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매실음료를 섭취한 운동선수들의 경우 혈중 Na, K 및 Cl농도는 안정시에 비해서 운동 중 회복기에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으며 12 주간의 음료섭취 후 두 그룹 모두 거의 동일한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과육의 첨가효과 (Effect of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ur Manufac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 박나영;채명희;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61-1466
    • /
    • 2006
  • 매실 리큐르 부산물인 매실을 식품첨가물로 사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과육을 분쇄하여 생국수 제조시 10%, 20%, 30% 첨가하여 국수의 품질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삶은 국수의 무게와 부피, 국물의 탁도를 측정한 결과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무게는 증가하였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조리중의 고형분 손실 정도를 나타내는 국물의 탁도는 대조구에 비해 매실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첨가구간의$(10%\sim30%)$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매실 첨가 국수는 외관과 색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조직감과 풍미, 맛과 종합적 기호도는 10% 첨가구와 20%가 대조구에 비해 양호하였다. 국수를 $10^{\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와 총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pH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pH 변화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산도도 이와 유사하였다. 총균수는 전 저장기간 동안 20%, 30% 첨가구에서는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매실 리큐르 제조 부산물인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with Prunus mume Byproduct Obtained from Liquer Manufacture)

  • 채명희;박나영;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67-1272
    • /
    • 2006
  • 매실리큐르 제조 후 생성되는 매실 부산물을 10%, 20% 농도로 식빵 제조시 첨가하여 대조구와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반죽과 식빵의 pH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증가하였다. 반죽의 발효팽창력과 굽기손실율은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을 첨가한 식빵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는 증가하였으나 부피는 감소하였다. 매실 과육 10% 첨가한 반죽의 L값은 대조구와 유사하였고, 20% 첨가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빵 표면의 L값은 매실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으며 적색도(a)는 감소하였다. b값은 매실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빵 내부의 색도는 매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은 10% 첨가구의 hardness와 strength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20% 첨가구는 증가하였다. Cohesiveness와 springiness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첨가농도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식빵의 관능검사 결과 맛과 풍미는 매실 과육 10% 첨가구의 기호성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외 색택, 씹힘성, 빵의 부드러운 정도(softness)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의 유의적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매실 과육 20% 첨가한 식빵은 대조구에 비해 기호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