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 japonica

검색결과 1,045건 처리시간 0.026초

In Vivo Antifungal Effects of Coptis japonica Root-Derived Isoquinoline Alkaloid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LEE CHI-HOON;LEE HOI-JOUNG;JEON JU-HYUN;LEE HOI-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1402-1407
    • /
    • 2005
  • The fungicidal activities of Coptis japonica (Makino) extracts and their active principles were determined against Botrytis cineria, Erysiphe graminis, Phytophthora infestans, Puccinia recondita, Pyricularia grisea, and Rhizoctonia solani using a whole plant method in vivo, and compared with natural fungicides. The responses varied according to the plant pathogen tested. At 2,000 mg/l, the chloroform and butanol fractions obtained from methanolic extracts of C. japonica exhibited strong/moderate fungicidal activities against B. cinerea, E. graminis, P. recondita, and Py. grisea. Two active constituents from the chloroform fractions and one active constituent from the butanol fractions were characterized as isoquinoline alkaloids, berberine chloride, palmatine iodide, and coptisine chloride, respectively, using spectral analysis. Berberine chloride had an apparent $LC_{50}$ value of approximately 190, 80, and 50 mg/l against B. cinerea, E. graminis, and P. recondita, respectively; coptisine chloride had an $LC_{50}$ value of 210,20, 180, and 290 mg/l against B. cinerea, E. graminis, P. recondita, and Py. grisea, respectively; and palmatine iodide had an $LC_{50}$ value of 160 mg/l against Py. grisea. The isoquinoline alkaloids were also found to be more potent than the natural fungicides, curcumin and emodin. Therefore, these compounds isolated from C. japonica may be useful leads for the development of new types of natural fungicides for controlling B. cinerea, E. graminis, P. recondita, and Py. grisea in crops.

칠성장어(Lampetra japnica) 간조직 젖산탈수소효소와 대구(Gadus macrocephalus) liver-Specific C4동위효소의 특성 및 진화적 관계 (Characterization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 of Lactate Dehydrogenase in Liver of Lampetra japonica and Liver-specific C4 Isozyme in Gadus macrocephdus.)

  • 박선영;조성규;염정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08-715
    • /
    • 2004
  • 칠성장어(Lampetra japonica) 간조직 젖산탈수소효소(EC 1.1.1.27, lactate dehydrogenase, LDH) 동위효소는 affinity chromatography에서 buffer를 유입한 후 용출된 분획에서 정제되었다.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liver-specific $C_4$동위효소는 열처리한 후 affinity chromatography하여 NAD+ 를 함유한 buffer에서 용출되기 시작하여 buffer를 유입한 후 $B_4$ 동위효소와 함께 용출되어, DEAE-Sephacel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다. 대구 간조직에서 열에 대한 안정성은$C_4$$B_4$$A_4$ 동위효소의 순서로 나타났다. Chromate-focusing에 의해 정제한 칠성장어 간조직의 pH 7.45 분획의 LDH 동위효소는 정제된 간조직 LDH보다 피루브산에 의한 기질저해도가 컸다. 칠성장어 간조직 LDH의 최적 pH는 7.5, liver-specific $C_4$동위효소는 pH 8.5였다. 칠성장어 간조직 LDH는 항원-항체반응에서 꺽지 $A_4$ 항체와 liver-specific $C_4$ 항체의 순서로 반응하였고 eye-specific $C_4$ 항체와는 반응 정도가 낮았다. 따라서 칠성장어 간조직 LDH는 하부단위체 A와 liver-specific $C_4$의 구조와 유사하게 진화되었으며, 하부단위체 C 는 진화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칠성장어 간조직의 LDH는 단일 동위효소가 아니라, 하부단위체 A, B 및 C로 구성된 동위효소들인 것으로 사료된다.

몇 가지 목본식물의 담수 재배 시 용기 내 관수량이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Quantity in Pot on Growth of Some Wood Plant by Water Flooding Culture)

  • 송천영;문자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19
  • 용기 내에 담수 재배 시 관수량 정도가 분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송(Pinus thunbergii Parl), 장수매(Chaenomeles japonica Lindl. ex Spach), 목서(Osmanthus fragrans Lour.) 등 3종에 대하여 관수량을 20, 40, 60, 80 및 100%를 처리하였다. 식물의 생존율은 해송과 장수매가 관수량 40%와 60%에서 100%이었고, 목서는 관수량 40%와 60%에서 90.0%와 93.3%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에서 해송과 장수매는 90% 이하를 보였으며, 목서는 60% 이하로 낮았다. 초장 증가율은 해송에서 관수량 60%와 40%일때 50% 이상이었고, 장수매와 목서는 90%이상으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에서는 해송, 장수매, 목서에서 각각 38.2%, 65.4%, 66.7%로 나타났다. 엽수 증가율은 관수량 60%와 40%에서 해송은 80%이상이였고, 장수매와 목서는 70%이상으로 높았으나 관수량 100%는 모두 60%이하로 낮았다. 이와 같이 모든 식물에서 용기 내 관수량이 40% 또는 60%일 때 식물의 생존율은 90% 이상이었고 초장, 초폭, 엽수 및 생체중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수량 100%는 생존율과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벌이 삼나무와 편백 채종원의 토양 특성 및 종자 생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inning on Soil Properties and Seed Productivity in Seed Orchards of Cryptomeri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 이임균;강영제;김찬수;김영걸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495-501
    • /
    • 2006
  • 간벌 후4년이 경과된 삼나무와 편백 채종원(제주도 서귀포시 상효동)을 대상으로 간벌 효과를 구명하고자 간벌 강도별(0, 20, 40, 60%)로 토양의 화학적 특성, 구과 및 종자 특성, ha당 종자 생산량, 그리고 종자와 구과 내 양분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간벌 강도별로 토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종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편백 채종원에서는 전기전도도, 전질소, 그리고 칼륨 농도 등에서 간벌 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으며, 삼나무 채종원에서는 칼슘 농도에서만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냈다. 한편, 편백 채종원에서는 간벌 강도가 강해질수록 구과 결실량이 많아졌으나(p<0.05), 삼나무 채종원에서는 간벌 강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아울러, 두 수종 모두 간벌 강도가 강해질수록 종자가 크고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ha당 종자 생산량에 있어서도 편백과 삼나무 채종원 모두 간벌 강도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편백 채종원에서는 간벌 강도가 강해질수록 종자 생산량이 증가한 반면, 삼나무 채종원에서는 간벌 강도가 강해질수록 종자 생산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자와 구과 내 양분 함량의 경우 두 수종 모두 간벌 강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olygala japonica houttuyn의 성분연구 (Studies on the constiuents of polygala japonica houttuyn)

  • 우린근;김제훈
    • 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
    • /
    • 1948
  • The finely powdered entire harbs of Polygala japonica Houttuyn, a drug known as Yong Shin-Cho in Korea, were boiled with methanol and from the filtered extract the methanol was distilled off under diminished pressure and the aqueous solution of the residue was evaporated to dryness after being mixed with ignited magnesia. The dried mass was boiled with absolute alcohol, the filtered clear liquid was evaporated to a small volume and the precipitate Saponin produced by mixing with ether was filtered off. When the filtrate was again evaporated to the thickness of a syrup and allowed to cool for a few days in an ice box, crystalls were separated out in about 5% yield, which formed colorless columns, M. P. 142.deg., from methanol and had the formula $C_{6}$ $H_{12}$ $O_{5}$. On heating it with acetic acid anhybride and sodium acetate, its tetraacetyl derivative $C_{6}$ $H_{8}$ $O_{5}$(C $H_{3}$CO)$_{4}$ was obtained and which formed colorless needles, M. P. 62-5.deg., from ethanol. Their melting points, results of elementar analysis and other characteristics agreed with that of Polygalitol and its derivative. Finally they were proved to be identical with Polygalitol and its derivative, respectively, through determination of mixed melting points with the samples. Polygalitol was isolated from several plants of genus polugala e. g. P. amara, P. vulgaris, P. teunifolia, P. senega etc. The authors added to them another instance of identifying Polygalitol from the plant of genus polygala.olygala.

  • PDF

진도 여귀산 상록활엽수림의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t. Yeogwi in Jin-do Island)

  • 장정재;김준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10-419
    • /
    • 2005
  • 상록활엽수림의 지속적 보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전남 진도의 여귀산에서 상록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상록수종에 대하여 흉고직경분포와 개체군분포상황을 파악하였으며, 수종의 중요치를 사용하여 cluster 분석에 의하여 군집을 분류하였다. 군집별로 종다양도, 균재도, 종상관 등을 산출하였으며, CCA분석에 의하여 군집과 토양환경인자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였다. Cluster 분석에 의하면 여귀산의 상록활엽수림은 동백나무군집군과 붉가시나무군집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다시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붉가시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세분되었다. 상록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참식나무, 후박나무, 붓순나무, 광나무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낙엽활엽수 수종 중에서는 때죽나무, 비목나무, 산딸나무, 산벚나무, 자귀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각 군집의 종다양도는 붉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이 종다양도가 0.823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군집(0.8135), 동백나무-낙엽활엽수군집(0.7931), 동백나무-상록활엽수군집(0.7674),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0.6164) 순이었다. 여귀산의 주요 상록수종은 2 cm~10 cm의 직경급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BH 5 cm 이하의 동백나무가 전 지역에 걸쳐 괴상으로 분포하고 DBH가 증가함에 따라 임의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DBH 15 cm 이상에서는 붉가시나무가 참식나무, 후박나무 등에 비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백나무와 붉가시나무, 붓순나무, 산딸나무 사이에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참식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붉가시나무는 참식나무, 후박나무와는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붓순나무와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참식나무는 산딸나무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조사지의 토양 pH는 4.04~5.16이었고, 유기물함량은 3.15~9.21%, 유효인산함량은16.1~37.1 ppm, 양이온치환용량은 7.6~11.5 me/100 g이었다. CCA분석에 의하여 5개 군집 및 주요 수종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토양유기물함량과 양이온치환용량이 높고 토양 산도가 낮아질수록 동백나무가 우점종으로 생육하면서 점차 참식나무, 붉가시나무의 혼효군집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Quantitative Analysis and Preformulation of Extracts from Alnus Japonica

  • Baek, Jong-Suep;Kang, Hee-Chul;Keum, Chang-Gu;Lim, Ji-Ho;Hwang, Chan-Ju;Na, Young-Guk;Tung, N.H.;Kim, Young-Ho;Cho, Cheong-Weo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4호
    • /
    • pp.227-232
    • /
    • 2011
  • Alnus japonica has been known to exert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ti-cancer and immune response inhibitory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ts obtained with different extraction solvent such as water, 100% ethanol, 70% ethanol or 70% methanol because characteristic components such as oregonin and hirsutanone extracted from Alnus japonica might be essential for the biological activity. For this purpose, oregonin and hirsutanon of four extracts, index ingredient of Alnus japonica, were analyzed with HPLC and physicochemical studies such as SEM,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were conducted. In cell cytotoxicity study, extract of water showed the highest cytotoxicity among four extracts. In case of oregonin, 70% MeOH and water extracts showed high contents and in case of hirsutanone, all extracts showed similar contents except 70% EtOH extracts. The extract of 70% MeOH from Alnus japonica for both oregonin and hirsutanone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content. Both oregonin and hirsutanone extracted from Alnus japonica using 70% methanol showed stability in pH 1.2.

인위적으로 성숙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성숙란의 생화학적 과숙 특징 (Biochemical Overripeness Characterization of Artificially Maturat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Egg)

  • 권오남;아다찌신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6-180
    • /
    • 2008
  • 본 연구는 인위적으로 배란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배란란의 과숙특징을 생화학적으로 밝히고, 과숙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용된 뱀장어 성숙란의 수정률과 부화율, 부화 후 3, 10일 후 생존율과의 관계는 Y=0.7954X+32.448($R^2=0.8176$, P=6.35E-7), Y=1.0241X-26.401($R^2=0.8121$, P=5.95E-27) 및 Y=0.9314X-24.814($R^2=0.7619$, P=7.33E-14)였다. DNA 함량은 부화율의 감소와 함께 20% 이하의 부화율을 보이는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0.653 pg/ug protein을 보였다(P<0.05). 그리고 이들의 비는 부화율이 20% 이하의 난에서 1.05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비를 보였다(P<0.05). 또한 부화율에 따른 total alkaline protease와 ACPase 활성은 모든 부화율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부화율 20% 이하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186.16 ug/mg eggs의 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뱀장어의 과숙란은 지속적인 단백질의 공급으로 정상란의 과숙화를 촉진하여 부화율이 저하된다. 결국 세포는 과숙으로 인해서 죽었기 때문에, 간에서 생성된 난황단백질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속도를 늦추어서 복강 내 배란 후 과숙을 방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수용 추출액이 Zoysiagrass의 발아와 유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queous Extracts from Naturalized and Korean Wild Plant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Zoysiagrass)

  • 김용옥;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7-248
    • /
    • 1998
  • 자생종과 귀화종의 토양 pH를 측정한 결과 자생종의 토양 pH범위는 5.33~7.20인 반면 귀화 종의 토양 pH는 3.95~6.48로 자생종에 비하여 귀화종의 pH가 낮았다. 귀화식물 추출액 50% 농도 이상부터는 잔디의 발아율이 60% 미만으로 급격하게 억제되었으며 망초추출액이 가장 현저한 발아억제를 보인 반면, 자생식물인 차풀의 30%와 50% 추출액농도에서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에 의한 잔디의 유근생장 억제는 각 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차풀의 경우는 15% 이상의 추출액 농도에서 유근생장이 60% 이상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HPLC에 의한 차풀추출액의 성분 분석 결과는 254nm에서 protocatechuic acid, $ ho$-hydroquinone, $\rho$-coumaric acid, ferulic acid가 분석되었고 284nm에서는 vanillic acid, hydroquinone, benzoic acid, cinnamic acid가 분석되었다. Phenolic compound 각 농도로 잔디의 발아와 유근생장을 조사한 결과 ferulic acid와 vanillic acid는 잔디의 발아율을 증가시켰고 $\rho$-coumaric acid는 유근생장을 억제시켰다.

  • PDF

뱀장어(Anguilla japonica)에서 Cytochrome P450 1 gene 클로닝 및 benzo[a]pyrene 노출에 따른 발현 분석 (Cytochrome P450 1 gene in Eel, Anguilla japonica: cloning and expression patterns after exposure to benzo[a]pyrene)

  • 조현호;김주안;이승현;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3-161
    • /
    • 2020
  • Cytochrome P450(CYP) gene is involved in the biotransformation of drugs and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Anguilla japonica CYP1(AjCYP1) family gene and examined the relative expression of AjCYP1A, AjCYP1B and AjCYP1C1 in response to the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After exposure to B[a]P 20mg/kg bw, the expression of AjCYP1 family gene increased over time. Among four tissues examined (liver, spleen, gill and kidney), AjCYP1 family gene was expressed significantly in the kidne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jCYP1A was expressed about 5-fold at 48 hr, AjCYP1B about 6-fold at 24 hr, and AjCYP1C1 about 4-fold at 24 hr. However, after exposure to B[a]P 200mg/kg bw, AjCYP1A did not change in all tissues. On the other hand, AjCYP1B was expressed at about 4-fold at 24 hr in the spleen and 4-fold at 48 hr in the gill. Finally AjCYP1C1 was expressed 3.7-fold and 4.3-fold in the spleen and kidneys at 48 hr, respectively.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xpression of AjCYP1 gene in eel tissues might be used as a useful tool to assess the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in aquacultur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