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FA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3초

Clinicoradi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Patterned Lesions of the Thyroid: A Multicenter Cohort Study

  • Jeong Hoon Lee;Eun Ju Ha;Da Hyun Lee;Miran Han;Jung Hyun Park;Ji-hoo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7호
    • /
    • pp.763-772
    • /
    • 2022
  • Objective: Preoperativ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patterned lesions is challenging. This multicenter cohort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oradiological characteristics relevant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uch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to September 2015, 4787 thyroid nodules (≥ 1.0 cm) with a final diagnosis of benign follicular nodule (BN, n = 4461), follicular adenoma (FA, n = 136), follicular carcinoma (FC, n = 62), or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FVPTC, n = 128) collected from 26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e clinico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sions were compared among the different histological types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histological types was determined using a random forest algorithm. Results: Compared to BN (as the control group),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follicular-patterned neoplasms (FA, FC, and FVPTC) were patient's age (odds ratio [OR], 0.969 per 1-year increase), lesion diameter (OR, 1.054 per 1-mm increase), presence of solid composition (OR, 2.255), presence of hypoechogenicity (OR, 2.181), and presence of halo (OR, 1.761) (all p < 0.05). Compared to FA (as the control), FC differed with respect to lesion diameter (OR, 1.040 per 1-mm increase) and rim calcifications (OR, 17.054), while FVPTC differed with respect to patient age (OR, 0.966 per 1-year increase), lesion diameter (OR, 0.975 per 1-mm increase), macrocalcifications (OR, 3.647), and non-smooth margins (OR, 2.538) (all p < 0.05). The five important feature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patterned neoplasms (FA, FC, and FVPTC) from BN are maximal lesion diameter, composition, echogenicity, orientation, and patient's ag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distinguishing FC and FVPTC from FA are rim calcifications and macrocalcifications, respectively. Conclusion: Although follicular-patterned lesions have overlapp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the distinguishing features identified in our large clinical cohort ma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preoperative distinction between them and decision-making regarding their management.

전분분해 효모융합체를 이용한 전통 발효주의 제조와 품질특성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Yakju) by a Protoplast Fusion Yeast Strain Utilizing Starch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 주민노;홍성욱;김관태;염성관;김계원;정건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41-546
    • /
    • 2009
  • 전분 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모두 보유한 효모융합체 FA776과 알코올 발효능이 우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을 각각 이용하여 누룩의 첨가량에 따른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성분분석과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발효주의 알코올 함량은 K-100와 F-50이 각각 135.0 mg/mL과 119.4 mg/mL으로 확인되었으며, 효모융합체 FA776이 전분을 기질로 하는 배지에서 알코올을 생산한다는 사실은 관찰하였지만, 전분 분해효소의 역가는 실제 약주 담금과정 중의 누룩에서 유래된 전분 분해효소의 역가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pH는 발효종료시 모든 처리구에서 pH와 산도는 pH 4.3-4.5과 0.47-0.60%로 각각 유지되었다. 효모융합체 FA776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에서 유기산 함량이 높은 반면, 아미노산 함량은 더 적게 나타났다. 모든 처리구에서 lact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높게 관찰되었으며, 특히 S. cerevisiae KOY-1을 사용한 발효주에서는 fumaric acid와 succin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고 효모융합체 FA 776을 사용한 발효주에서만 각각 2 g/mL와 60-141 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발효주의 향기성분은 S. cerevisiae KOY-1을 사용한 발효주보다 효모융합체 FA 776을 사용하였을 때 향기성분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는 효모융합체 FA 776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주가 종합기호도가 4.00점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효모융합체 FA 776을 이용할 때, 기호성이 우수한 발효주로서의 제조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고화토차수층에 대한 산성침출수의 영향과 대책방안 - 산업부산물(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재활용 방안 중심으로 - (Effect of Acidic Leachate on the Cement-based Landfill Soil Liner System)

  • 조재범;현재혁;이종득;박정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5-269
    • /
    • 2006
  • 본 연구는 산성상태의 침출수가 차수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년간 산업부산물로 다량 배출되는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를 재활용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매립지 차수층에 첨가시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자료이다. 산성침출수가 고화차수층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압축강도와 투수계수 실험결과, 고화재(시멘트)와 준설점토로 성형된 고화차수층의 경우 산성상태의 침출수에 노출됨에 따라 압축강도 감소와 투수계수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반면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를 첨가한 고화토차수층의 경우는 산성상태의 침출수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알카리 상태를 나타내는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의 경우 차수층 내부로 침투되어 수화반응에 의해 생성된 칼슘계 수화물을 용해하는 산성물질의 용해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Diffusion Tensor Imaging of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Healthy Volunteers

  • Simin Liu;Changhua Wan;Haosen Li;Weiwei Chen;Chu P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2호
    • /
    • pp.218-225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functional evaluation of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LPM) using diffusion tensor imaging (DTI)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MD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9 patients with TMD (23 male and 96 fe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41 ± 15 years; 58 bilateral and 61 unilateral involvements for a total of 177 joints) and 20 healthy volunteers (9 male and 11 female; 40 ± 13 years; 40 joints) were included in this prospective study. Based on DTI of the jaw in the resting state, the diffusion parameter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fractional anisotropy (FA), λ1, λ2, and λ3 of the superior and inferior heads of the LPM (SHLPM and IHLPM) were measured. Patients with TMD with normal disc position (N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ADWR), and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DWOR) were compared. Results: Patients with TMD overall, and ADWR and ADWOR sub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ADC, λ1, λ2, and λ3 in both the SHLPM and IHLPM than those in volunteers (p < 0.05 for all), whereas the ND subgroup only had significantly higher ADC and λ1 (p < 0.001). Mean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 in the SHLPM and IHLPM were found between volunteers and ADWOR (p = 0.014 and p = 0.037,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TMD subgroups, except for λ3 and FA in the ADWR subgroup, ADWR and ADWOR sub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ADC, λ1, λ2, and λ3 and lower FA than those in the ND group (p < 0.05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usion variables between ADWR and ADWOR. In ADWOR, the osteoarthriti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λ3 and lower FA values in the IHLPM than those in the non-osteoarthritis group. Conclusion: DTI successfully detected functional changes in the LPM in patients with TMD. The unsynchronized diffusivity changes in the LPM in different subgroups of TMD signified the possibility of using diffusion parameters as indicators to identify the severity of LPM hyperfunction at various stages of TMD.

Potassium ferrate(VI)를 이용한 자연유기물질 제거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using Potassium ferrate(VI))

  • 임미희;김명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37-134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산화제, 소독제, 응집제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potassium ferrate(VI)를 합성하여 자연유기물질(NOM, HA와 FA)로 오염된 강물을 처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Ferrate 주입량($2\sim46$ mg/L as Fe)에 따른 낙동강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10 mg/L HA의 제거효율을 $UV_{254}$로 알아본 결과, $20.7\sim73.6%$ 제거효율을 보였고 10 mg/L FA에 대해서는 $52.6\sim77.5%$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제거효율을 TOC로 분석한 결과는 HA에 대해 $0\sim20.3%$, FA에 대해 $0\sim26.6%$의 낮은 효율을 보였다. pH와 반응온도에 따른 영향을 보면, pH가 낮을수록 ferrate에 한 NOM 제거효율이 높게 나타났고, 온도가 높을수록 HA 제거효율이 높아졌다. 응집제로서 ferrate 효과를 기존 응집제들과 비교해 본 실험에서 ferrate는 $Al_2(SO_4)_3{\cdot}18H_2O$, $FeSO_4{\cdot}7H_2O$, FeO(OH)와 비슷한 정도의 효율을 보였다. Ferrate와 HA의 반응은 60초 이내에 완결되어 정상상태에 이르렀고 반응시간에 대해 1차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소량의 ferrate를 주입하여 HA를 전처리한 후 기존 응집제로 처리하였을 때 ferrate로 전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효율이 향상되었다.

9 ~ 11세 아동의 불포화지방산, n-3 지방산 및 n-6 지방산의 섭취와 아토피 피부염 과의 관련성 :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Rel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n-3 fatty acid and n-6 fatty acid intakes and atopic dermatitis in the 9~ 11 year old children: KNHANES 2013 ~ 2015)

  • 김지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47-57
    • /
    • 2019
  • 본 연구는 제6기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9 ~ 11세의 학령기 아동 752명을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염 유병에 따른 지방산 섭취상태 및 지방산 섭취가 아토피 피부염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만 9 ~ 11세 아동의 아토피 피부염 유병율은 17.69% 이었고, 아토피 피부염 아동의 연령이 10.20세로 정상 아동의 10.01세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체위상태를 살펴보았을 때, 아토피 피부염 아동의 신장, 체중, BMI 모두 정상 아동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월 가구 소득수준은 아토피 피부염 아동에서 중하> 상> 중상> 하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정상 아동은 중상> 상> 중하> 하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국내 9 ~ 11세의 아토피 피부염 아동은 정상 아동에 비해 탄수화물의 에너지섭취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고, 지질의 에너지섭취비율, 다가불포화지방산, n-3 지방산, n-6 지방산의 섭취상태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리놀레산, 감마 리놀레산, 리놀렌산 섭취량도 아토피 피부염 아동에서 정상 아동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및 소득수준을 보정하였을 때에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P/S 비율 및 n-6/n-3 비율은 아토피 피부염 아동과 정상 아동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 ~ 11세 아동의 총 지방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섭취에서 가장 기여도가 높은 식품은 돼지고기로 전체 섭취량의 12.97%, 17.47%였다. 포화지방산 섭취에 기여도가 가장 높은 식품은 우유로, 전체 섭취량의 18.24%였다. 콩기름은 다가불포화지방산, n-3 지방산 및 n-6 지방산 섭취에서 기여도가 가장 높은 식품으로, 전체 섭취량의 23.79%, 25.24%, 24.07%였다. 아토피 피부염 아동에서는 다가불포화지방산 및 n-6 지방산 급원식품으로 정상아동과 달리 닭고기가 상위 10개 식품에 포함되었고, 참기름의 섭취량이 높았다. n-3 지방산 급원식품으로 고등어 섭취량이 아토피 피부염 아동에서 높았다. 국내 9 ~ 11세 아동에서 지방산 섭취가 아토피 피부염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은 보정 여부에 상관없이 탄수화물의 에너지섭취비율은 아토피 피부염 위험도를 유의적으로 높이는 반면, 지질의 에너지섭취비율, 다가불포화지방산, n-3 지방산, n-6 지방산의 섭취가 아토피 피부염 위험도를 유의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학령기 아동의 아토피 피부염 위험도에 탄수화물 및 지질의 에너지섭취비율, 불포화지방산, n-6 지방산 및 n-3 지방산의 섭취량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나, 아토피 피부염 아동에서 보여 지는 고탄수화물 저 지질식은 증상 개선을 위한 식이조절의 결과일 수 있어, 결과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 식이 조절 시, 적절한 지방산 섭취비율의 균형을 고려하여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이와 관련하여 아토피 피부염 개선을 위한 지방산의 적정 비율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안면 동종이식에 대한 위험 승인도와 기대치 조사 (Investigation of Risk Acceptance and Expectations in Facial Allotransplantation)

  • 박상렬;김지훈;황재하;김광석;이삼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555-560
    • /
    • 2010
  • Purpose: Facial allotransplantation (FA) could provide an excellent alternative to current treatments for facial disfigurement. However, despite being technically feasible, there continues to be various ethical and psychosoci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risks and benefits of performing F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isk acceptance and expectations in FA. Methods: In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risk versus benefit with respect to FA, from 2004 to 2008, Barker et al. developed and published a questionnaire-based instrument (Louisville Instrument for Transplantation [LIFT]), which contained 237 standardized questions. In the current study, the authors assessed risk versus benefits and expectations of FA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LIFT. Respondents in three study groups (lay public, n=140; medical students, n=120; doctors, n=34) were questioned about risk acceptance as related to immunosuppression and tissue rejection, and expectations a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mprovement, and functional and aesthetic outcomes. A summary of the data has been provided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the three study groups, results indicated that doctors accept the least amount of risk for a facial allotransplant, followed by medical students, and finally lay public.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ree of the four questions regarding risk acceptance between the groups (p < 0.05). In general, lay public exhibited higher expectations for facial allotransplantation than the other groups.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aesthetic outcome between the groups (p < 0.05). Conclusion: The authors' data indicate the three populations have vastly different levels of risk acceptance and expectations with regard to FA.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surgeons establish clear, open, and thorough communication with patients in their consultations regarding FA.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with respect to whether or not a patient's level of risk acceptance and expectations are progmatic.

페트병 생수 중 아세트알데하이드와 포름알데하이드의 이행 분석 (Analysis of Acetaldehyde and Formaldehyde Migra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Bottles into Mineral Water)

  • 정의민;김동주;이근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04-50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ET병에 포장된 생수의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중 온도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하여 PET병에서 생수로 이행될 수 있는 휘발성 물질에 의한 생수 품질 또는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PET 생수의 25와 35$^{\circ}C$ 저장 중 FA와 AA함량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180일과 120-180일 후부터 각각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PET병 생수는 35$^{\circ}C$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상태로 저장 시 60일 후부터 대조구 생수와 차이가 식별되기 시작하였다. 이 때 FA와 AA의 농도는 각각 267.4 ${\mu}g/L$와 515.3 ${\mu}g/L$이었다. 120일 이후에는 저장 온도와 자외선 조사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시료군에서 패널들이 대조군 생수와의 차이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PET병에 포장된 생수를 자외선에 노출시키거나 고온에서 장기간 저장할 경우 FA나 AA의 증가가 초래되며 이로 인하여 생수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PET병 생수의 관능학적 및 위생학적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공정, 특히 성형과정 중 고열에 대한 노출을 줄이고 제조된 PET병 또는 생수의 유통시 저장 온도가 되도록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ison of longissimus dorsi Fatty Acids Profiles in Gansu Black Yak and Chinese Yellow Cattle Steers and Heifers

  • Zhang, S. G.;Liu, T.;Brown, M. A.;Wu, J. P.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6-292
    • /
    • 2015
  • Fatty acid (FA) composition of longissimus dorsi intramuscular fat in Black Yak and Chinese Yellow Cattle were evaluated in 44 Black Yak and 41 Chinese Yellow Cattle of both genders. Interactions of species with gender were observed for total saturated fatty acid (SFA), unsaturated fatty acid (UFA),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EPA, and DHA concentrations, as well as PUFA/SFA ratio in the longissimus dorsi (p<0.05). The SFA percentage was greater in yellow cattle than yak in both genders but the species difference in heifers was greater than in steers (p<0.05). Yak had greater UFA, MUFA and PUFA percentages than yellow cattle in both steers and heifers (p<0.05) but the difference between yak and yellow cattle heifers was greater than yak and yellow cattle steers. The percentages of 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and PUFA/SFA were greater in yak than yellow cattle in both steers and heifers (p<0.05). In addition, the ratio of n-6/n-3 PUFA in yak was lesser than in yellow cattle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A composition generally differed between yak and yellow cattle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the same in heifers as compared to steers. Results also suggested that species differences in FA composition tended to favor Black Yak over Chinese Yellow Cattle, indicating that the longissimus dorsi of Black Yak may have a higher nutritive value than that of Chinese Yellow Cattle and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desirable natural product.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한 금강 유역의 수질오염특성 연구 (Evaluation of the Geum River by Multivariat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 김미아;이재관;조경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1-168
    • /
    • 2007
  • The main aim of this work is focus on the Geum river water quality evaluation of pollution data obtained by monitoring measurement during the period 2001-2005. The complex data matrix 19 (entire monitoring stations)*13 (parameters), 60 (month)*13 (parameters) and 20 (season)*13 (parameter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multivariate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PCA). FA/PCA identified two factor (19*13) classified pollutant Loading factor (BOD, COD, pH, Cond, T-N, T-P, $NH_3$-N, $NO_3$-N, $PO_4$-P, Chl-a), seasonal factor (water temp, SS) and three Factor (60*13, 20*13) classified pollutant Loading factor (BOD, COD, Cond, T-N, T-P, $NH_3$-N, $NO_3$-N, $PO_4$-P), seasonal factor (water temp, SS) and metabolic factor (Chl-a, pH). Loadings of pollutant factor is potent influence main factor in the Geum river which is explained by loadings of pollutant factor at whole sampling stations (71.16%), month (52.75%) and season (56.57%) of main water quality stations.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pollutant loading factor is affected at Gongju 1, 2, Buyeo 1, 2, Gangkyeong, Yeongi stations by entire stations and entire month (Gongju 1, Cheongwon stations), April, May, July and August (buyeo 1) by month. Also the pollutant Loading factor is season gives an influence in winter (Gongju 1, buyeo 1) from main sampling stations, but Cheongwon characteristic is non-seasonal influenced. This study presents necessity and usefulness of multivariate statistic techniques for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large complex data set with a view to get better information data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