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yster growth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32초

A Comprehensive Review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 Subbiah, Krishnamoorthy Akkanna;Balan, Venkatesh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184-194
    • /
    • 2015
  • A compressive description of tropical milky white mushroom (Calocybe indica P&C var. APK2) is provided in this review. This mushroom variety was first identified in the eastern Indian state of West Bengal and can be cultivated on a wide variety of substrates, at a high temperature range ($30{\sim}38^{\circ}C$). However, no commercial cultivation was made until 1998. Krishnamoorthy 1997 rediscovered the fungus from Tamil Nadu, India and standardized the commercial production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This edible mushroom has a long shelf life (5~7 days) compared to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counterparts.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review on physiological and nutritional requirements viz., pH, temperature, carbon to nitrogen ratio, best carbon source, best nitrogen source, growth period, growth promoters for mycelia biomass production; substrate preparation; spawn inoculation; different supplementation and casing requirements to increase the yield of mushrooms has been outlined. Innovative and inexpensive methods developed to commercially cultivate milky white mushrooms on different lignocellulosic biomass is also described in this review. The composition profiles of milky white mushroom, its mineral contents and non-enzymatic antioxidants are provided in comparison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and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ntioxidant assay results using methanol extract of milky white mushroom has been provided along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ounds that are responsible for flavor profile both in fresh and dry mushrooms. Milky white mushroom extracts are known to have anti-hyperglycemic effect and anti-lipid peroxidation effect. The advantage of growing at elevated temperature creates newer avenues to explore milky white mushroom cultivation economicall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in humid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s. Because of its incomparable productivity and shelf life to any other cultivated mushrooms in the world, milky white mushroom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atisfying the growing market demands for edible mushrooms in the near future.

용제기반 친환경 stone paper의 제조 (Preparation of solvent-based eco-friendly stone paper)

  • 정석주;감도윤;최은옥;조현;이병우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39-144
    • /
    • 2023
  • 무기충진제와 가소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스톤페이퍼는 기존 종이의 원료인 펄프를 사용하지 않아 자연보존에 기여하고 생분해성을 가지게 되면 보다 친환경적인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대부분의 스톤페이퍼는 가열압출성형법으로 제조하고 있어 작업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세라믹 충진제의 양이 제한되어 다양한 물성을 가질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톤페이퍼 조성을 용제를 사용한 액상으로 제조하게 됨으로써 세라믹 충진제 첨가량에 제한이 적고 생분해성 조절을 위한 첨가제 투입도 용이하였다. 폐패각인 굴껍질을 열처리하여 무기충진제로 사용하였고, 재활용 소재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유기결합제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용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용해시킨 후 무기충진제와 생분해성을 부여하기 위한 셀룰로스를 혼합하여 시트 형태로 가공하여 용제기반 스톤페이퍼를 제조하여 그 물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느타리버섯의 Benomyl 저항성(抵抗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enomyl Resistanc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 유성준;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84
  • 1. Benomyl은 버섯류(類)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억제(抑制)하였는데 $ED_{50}$은 Pleurotus spp. 25ppm, Agaricus bisporus 50ppm, Flammulina velutipes 200ppm으로서 Pleurotus spp.가 benomyl에 대하여 감수성(感受性)이 가장 높았다. 2. Benomyl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할 때 5세대(世代) 및 10세대(世代)에는 1세대(世代)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였고 생장증가율(生長增加率)은 명(各) 버섯균(菌)의 benomyl $ED_{50}$농도(濃度)에서 가장 높았다. 3. Benomyl 처리(處理) 배지(培地)에서의 계대별(繼代別) 균사생장(菌絲生長)은 균(菌)의 종류(種類)에 따라 달라서 P. florida는 5세대(世代), Agricus bisporus는 7대(代)까지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증가(增加)하다가 그후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Benomyl의 계속처리(繼續處理)는 mutant sector의 발생(發生)을 유기(誘起)하였는데 sector의 출현(出現)은 benomyl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낮을때 빨랐으며 P. ostreatus가 P. florida 보다 빨랐다. 5. Benomyl에 의해 유기(誘起)된 mutant sector는 약제(藥劑)에 계속처리(繼續處理)된 모(母) colony 보다 균사생장(菌絲生長)이 빨랐으나 benomyl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에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benomyl란 함유배지(含有培地)에서 계대배양시(繼代培養時) 정상(正常) colony에서 보인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증가(增加)는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에 기인(起因)하는 것이었다.

  • PDF

유치원 아동의 영양섭취실태와 성장발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ery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Daily Food Intakes and Growth Rate of Kindergarden Children)

  • 이종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9권1호
    • /
    • pp.51-59
    • /
    • 197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passible correlations between the growth rate and daily food intakes of two hundreds E and Y kindergarden children in Seoul, Korea. The subjects adapted in this study were 5-year-old boys and girls and their physical growth index was calculated by means of body weight and height. Dietary survey was performed by recording all the foods taken at daily basis for six day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iving circumstances of the subjects. a) In most cases, subjects had two to three brothers and sisters. b) About 39% of boys were brought up by cow's milk and 34%, by mined nourishment with mother's milk and cow's milk, while approximately 40% of the girls were brought up by mother's milk and 37%, by mixed one. Of the whole subjects, 70% were weaned at the age of $7{\sim}18$ months. c) Fruit juices were introduced to children at about 3 months old in 40% of the subjects. d) Approximately 60% of the children had their meals regularly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had irregularlity in their meal, mainly because of excess consumption of snacks. e) About $20{\sim}40%$ of total income of sampled families were spent for foods. f) The most favorate main dish was steamed rice, other favorate foods were beef and pickled cabages for boys, and ham and dried laver for girls. The least favorate foods for both sexes were oyster, shellfish and various vegetabes. Fruits, juice, milk, and ice cream are more popular snacks among children. 2. Nutrition survey a) Insufficient caloric intakes were shown in both sexes, comprising 90% of daily recommended dietary allowences for boys and only 75% for girls. Iron intake was strikengly low, reaching only 62% of R.D.A. for boys and 72% for girls. b) The total caloric intake was composed of CHO 62%, protein 18%, and fat 21% respectively. c) The consumption of animal protein comprises 55% of total protein intake. d) The cereal consump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the level of 43%. e) When the total caloric intake was divided into each meal and snack, snack took the highest part in any other meal. Each figure showed as follow; breakfast 21%, lunch 27%, supper 22% and Snack 30% for boys, and 23%, 22%, 25% and 30% for girls, respectively. 3.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a)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rate and the caloric intake of the subjects at the level of 0.050.01.

  • PDF

생육시기에 따른 느타리류의 자실체 특성 변화 (Growth stage-specific changes in fruiting body characteristics of Pleurotus spp.)

  • 류재산;나경숙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4-260
    • /
    • 2023
  • 곤지7호, 분홍, 순정의 생육시기별 자실체의 특징과 포자생산량을 측정하였다. 느타리류 자실체의 형태는 생육초기에서 대가 짧고 갓이 작은 형태를 띄다가 대가 길어지면서 전형적인 버섯형태를 보였다. 곤지7호는 대가 길고 분홍은 대가 짧고 갓이 긴 편이고 순정은 그 중간 형태였다. 생유초기에 각 품종 고유의 색택이 진하게 발현되다가 생육후기로 갈수록 엷어졌다. 버섯의 대와 갓이 결합하는 형태가 생육초기의 중심생에서 생육 후기에는 측심생으로 변했다. 곤지7호의 갓직경은 15.5 mm(생육5일)에서 37.9 mm(생육9일)로 7배 커졌다. 각 생육일수별로 성장정도는 전일과 비교하였을 경우 285.5 → 182.2 → 129.4 → 103.8%의 성장을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분홍이나 순정에서도 관찰하였으나, 분홍의 수확량 증가세는 더 급격하고(전일에 비해 6일 4.9배, 7일 2.7배) 9일째에도 증가세가 지속되었다. 농가에서 가장 관심을 갖는 수확량도 갓직경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곤지7호의 생육기간이 7일이 경과되는 시기까지 급격하게 늘었다가 (177% 이상) 8일경부터 증가 추세가 꺾였고 9일째는 오히려 감소하였다(98%). 분홍이나 순정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관찰되었다. 분홍의 수확량 증가세는 더 급격하고(전일에 비해 6일 4.9배, 7일 2.7배) 9일째에도 증가세가 지속되는 특징을 보였다. 생육 후기에 버섯의 수확량 감소의 원인은 일부 버섯의 사멸과 갓 조직의 분해에 의한 것으로 사료한다. 담자포자의 양은 생육일수가 늘어갈수록 많아지다가 8일째 이후에는 감소폭을 보였다. 최고 생산량이 많은 것은 곤지7호가 생육7일째에 209,000,000개를 보인 것으로 이것은 수확시기와 일치한다. 이러한 경향은 분홍나 순정에서도 동일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자실체나 포자를 대상으로 연구하는 연구자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농업현장에는 느타리류 버섯의 수확적기를 추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한다.

홍삼박을 이용한 병재배 느타리버섯의 첨가배지 개발 (Development of new substrate using redginseng marc for bottle culture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이찬중;한혜수;전창성;정종천;오진아;공원식;박기춘;박춘근;신유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9-144
    • /
    • 2011
  • 면실박을 대체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유기성 폐자원으로 생산되는 홍삼박의 첨가량을 구명하기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홍삼박의 총 탄소함량은 45%, 총 질소함량은 2.7%이었으며, C/N율은 16.7이었다. 혼합배지의 이화학성 중 pH는 4.6~4.9이였으며, 총 질소함량은 2.5~2.8로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홍삼박 첨가량에 따라 인산($P_2O_5$), 칼륨($K_2O$), 마그네슘(MgO)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홍삼박만 20% 첨가시에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나 칼슘(CaO)함량은 홍삼박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나트륨($Na_2O$)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느타리버섯 균사 생육은 홍삼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균사생장 속도는 늦었으며, 자실체 수량은 면실박의 50%까지 첨가하여도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가 없었지만, 면실박 대신 홍삼박만 20%첨가시에는 수량이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자실체 갓직경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대의 굵기는 홍삼박처리에서 조금 높았으나 길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확기 갓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홍삼박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기능성자원 구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톱밥의 첨가량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재배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n addition rate of Cudrania tricuspidata)

  • 이찬중;전창성;정종천;공원식;서장선;박기춘;박춘근;신유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9-135
    • /
    • 2012
  • 기능성 느타리버섯 재배를 위하여 국내에서 자생하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지뽕나무 톱밥의 수분함량은 6.4%였고, pH는 7.0이였다. 총질소함량은 0.27%였고, 총탄소함량은 40.9%였으며, C/N율은 152%였다. 혼합배지의 pH는 4.9~5.0이였으며, 총질소함량은 수확후배지에서 증가하였지만 C/N율은 오히려 감소하였다. 무기성분인 $P_2O_5$, CaO, MgO, $Na_2O$, $K_2O$함량은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은 구지뽕나무 톱밥 10% 첨가에서 가장 빨랐지만, 다른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균사 생장이 느렸다. 자실체 수량은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시 $162g/850m{\ell}$로 가장 높았다. 갓의 크기와 두께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비율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의 굵기와 길이는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가장 높았다. 대의 경도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갓의 경도는 구지뽕나무 톱밥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갓과 대의 색도는 구지뽕나무 톱밥 20% 첨가에서 L값이 가장 높았지만, a, b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자실체의 무기성분과 미량원소의 함량은 구지뽕나무 톱밥 30% 첨가에서 약간 높았다.

폐금속광산 중금속오염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위한 토양개량제 선정 (Soil Neutralizer Selection for Phytostabilzation Using Miscanthus sinensis Anderss. i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 정문호;지원현;이진수;양인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517-528
    • /
    • 2020
  • 본 연구는 폐금속광산의 중금속 오염 토양에서 억새를 이용한 식물안정화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토양개량제 처리에 따른 토양내 중금속 이동성과 억새내 중금속 축적형태 등을 분석하여 적정 토양개량제를 선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중금속 오염토양을 바닥재 1, 2%, 비산재 1, 2%, 폐석회+굴패각 1, 2%, AMDS 10, 20%, 퇴비 3.4% 등으로 처리하고, 비교를 위해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에 억새를 식재한 후 6개월을 재배하였다. Mehlich-3에 의한 토양내 중금속 함량, 억새 체내 중금속 이동형태 등을 분석한 결과 AMDS 20%가 식물안정화공법에 가장 효과적인 개량제로 선정되었으며, 2순위는 AMDS 10%가 선정되었다. 폐석회+굴패각, 바닥재와 비산재도 식물안정화공법적용 효과가 대조구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개량제 처리에 따라 일부 중금속의 토양내 유동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 실제 사업 적용을 위해 사전에 대상지역의 토양오염 특성을 분석하여 현장특성에 적합하게 토양개량제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느타리버섯 계통별(系統別) 특성(特性)에 관한 기초(基礎) 조사(調査) (Basic Inform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ains of Oyster Mushroom)

  • 정환채;박용환;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29-132
    • /
    • 1981
  • 느타리버섯 6계통(系統)을 공시(供試)하여 계통별(系統別)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느타리버섯 계통별(系統別)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2063, 2091, 2093계통(系統)이 $30^{\circ}C$이었으며, 그외의 모든 계통(系統)은 $25{\sim}30^{\circ}C$였다. 2. 느타리버섯 계통별(系統別) 균사생장(菌絲生長)의 최적수분함량(最適水分含量)은 2068계통(系統)이 70%, 2063, 2078계통(系統)이 75%, 그외의 균주(菌株)가 80%이었다. 3. 느타리버섯 계통별(系統別) 균사생장(菌絲生長)에 알맞는 pH는 2093 계통(系統)이 5와 6이었고, 2068계통(系統)이 pH 5, 그리고 다른 균주(菌株)가 pH 5 또는 pH 6과 pH 8이였다. 4. 볏짚배지(培地)를 이용(利用)한 느타리버섯 계통별(系統別) 생산력검정결과수량(生産力檢定結果收臺)은 2091계통(系統)이 $64.4kg/3.3m^2$로 가장 높았으며, 초발용소요일수(初發茸所要日數)는 2095계통(系統)이 40일(日)로 가장 빨랐으며, 수확(收穫) 소요일수(所要日數)와 주기(週期) 소요일수(所要日數)는 2091계통(系統)이 가장 빨랐다.

  • PDF

경북지역 버섯 수출의 특징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Gyeongbuk Province, Korea)

  • 조우식;황지성;김동근;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2-35
    • /
    • 2013
  • 경북지역 버섯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 수출액이 2009년 81%, 2010년 14%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9,415톤)과 최대수출액(14,840천$)을 기록했다. 이후 2011년 -15%, 2012년 -19%로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0년 52%, 2011년 18%, 2012년 6.5%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나. 2012년 기간의 경북지역 팽이버섯의 수출지역별 수출액을 보면 2010년에 대중국 수출액 2,325천$, 대홍콩 수출액 7,653천$에서 2012년에 대중국 196천$, 대홍콩 1,666천$로 각각 -91%(2,129천$), -78%(5,987천$)로 급감하였는데 같은 시기의 경북지역 총수출액도 14,841천$에서 10,113천$로 -31%(4,728천$) 감소하였다. 다. 새송이버섯의 경우 팽이버섯과는 달리 유럽지역을 대표하는 네덜란드가 수출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으로의 수출은 미미한 수준이다. 라. 중국의 경우 2001년 공장형버섯농장 5개소, 생산량이 8천톤에 불과하였으나 2011년에는 652개의 공장형버섯농장, 생산량은 1,100천톤으로 매우 빠르게 급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