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ulation

검색결과 474건 처리시간 0.034초

HCG, LHRHa, Ovaprim and Pimozide 처리에 따른 종어 Leiocassis longirotris의 배란유도 (Effect of HCG, LHRHa, Ovaprim and Pimozide on Ovulation Induction in Long Snout Bullhead Leiocassis longirotris)

  • 임상구;김광석;김영수;한형균;김응오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2호
    • /
    • pp.137-14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호르몬 처리에 따른 배란유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LHRHa 호르몬을 종어 암컷에 2회 투여 시 50과 100 ${\mu}g/kg$ 농도에서 100%의 배란율을 보여 가장 높았으며, LHRHa를 1차 처리한 후, 인간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인 HCG를 2차 처리하였을 때, 500 IU에서는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00 IU를 주사한 암컷에서 72%의 높은 배란율을 보였다. HCG만 처리했을 시 500~25,000 IU까지 각각 10, 17, 50, 50 및 50%의 배란율을 보였다. Ovaprim 처리에 따른 배란율은 2.5 mL/kg을 주사한 실험구에서 50%의 배란율을 보여 가장 높았다. LHRHa와 pimozid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LHRHa의 농도가 10, 200 및 300일 때 87%의 가장 높은 배란율을 보였다. LHRHa 호르몬을 종어 암컷에 2회 투여 시 모든 농도에서 배란시간은 28~44시간까지 소요되었으며, LHRHa를 1차 처리한 후, 인간 태반성 성선자극호르몬인 HCG를 2차 처리하였을 때, 배란시간은 4,000 IU를 주사한 암컷에서 28~34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HCG를 처리하였을 때, 25,000 IU를 주사한 암컷에서 66~72시간이 소요되었고, LHRHa와 HCG를 2차 처리한 실험구에 비해 배란시간이 길었다. Ovaprim을 처리한 실험구에서는 2.5 mL/kg을 투여 시 66~72시간으로 배란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LHRHa와 pimozide (1,000 ${\mu}g/kg$)를 혼합처리시, 300 ${\mu}g/kg$과 400 ${\mu}g/kg$에서 각각 62~70시간과 66~70시간으로 소요시간이 가장 짧았으며, 50 ${\mu}g/kg$에서 80~86시간으로 소요시간이 가장 길었다. LHRHa 호르몬을 종어 암컷에 2회 투여 시 50 ${\mu}g/kg$의 농도에서 수정률 68.4%와 부화율 58.4%로 100, 150 및 200 ${\mu}g/kg$ 농도의 수정률과 부화율보다 높았다. LHRHa 50 ${\mu}g/kg$을 주사하고, 24시간 후, HCG 처리했을 때, 수정률과 부화율도 각각 35.2와 24.2%로 가장 높았으며, HCG의 처리 후, 수정률과 부화율은 15,000 IU에서 55.2와 46.6%로 가장 높았다. Ovaprim 0.5 mL/kg의 농도를 주사한 실험구에서 2.5 mL/kg을 주사한 실험구에서 56.8과 30.8%의 수정률과 부화율을 보였으며, LHRHa와 pimozid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50 ${\mu}g/kg$의 농도에서 수정률과 부화율이 각각 38.6 및 25.3%로 가장 낮았고 200 ${\mu}g/kg$의 농도에서 62.4와 70.3%로 가장 높았다.

3종의 개구리 뇌에서 생식주기에 따른 GnRH 면역반응성의 변화 (Reproductive Cvcle-related Changes in GnRH Immunoreactivitv in the Brains of Three Congeneric Species of Frog.)

  • 임욱빈;김정우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11-317
    • /
    • 1994
  • Seasonal variations of GnRH were investigated by immunohlstochemicsl technique in three species of frog, Rona niEromaculutu, R. dvbowskii 8nd R. mgosa with different ovulation perio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nRH expression and reproductive function. In all three species of frog, the intensity of GnRH immunoreactivitv and the number of GnRH neurons in the brawn were relatively high in frogs at the pre-ovulation period and markedly increased at the ovulation period. Those were then decreased after ovulation and further lowered during early hibernation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nRH experssion is closely related to specific phases of annual reproductive cycle in frog.

  • PDF

호르몬 처리에 의한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 의 성숙과 배란유도 (Effectof of Hormonal Treatment of Induced Maturation and Ovulation in the Spotted Halibut, Verapser variegatus)

  • 백혜자;김윤;안철민;조기채;명정인;이남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7-53
    • /
    • 2000
  • 사육수조내 자연산란이 이루어지지 않는 범가자미 암컷을 대상으로 호르몬 처리에 의안 인위적 성숙.배란 유도 실험이 이루어졌다. 산란시기에 범가자미 체중 kg당 HCG 265~678 IU, 17${\alpha}$ 20${\beta}$ OHP 0.5~1.0${\mu}$g 농도의 복강주사와 LHRHa 63~81 ${\mu}$g의 펠렛을 투여한 결과, HCG농도 약 300 IU가 범가자미의 최정성숙과 배란유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7${\alpga}$ 20${\beta}$ OHP와 대조군에서는 난의 성숙이 거의 진행되지 않았으며, LHRHa 펠렛 실험군에서도 난의 최종성숙과 배란이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범가자미 암컷의 경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LHRHa 펠렛 투여보다도 저농도의 HCG (dir 300 IU/kg 체중)o 주사가 난의 최종성숙과 배란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Delivery Systems for Vaginal Mucosal Route

  • Han, Kun;Park, Jeong-Sook;Youn, Bok-Chung;Nam, Joo-Jeong;Park, Hee-Beom;Joseph-R. Robins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325-331
    • /
    • 199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rational dosage form for vaginal mucosal delivery of LHRH. Vaginal absorption of LHRH was estimated by measuring its ovulation inducting effect in rat and in vitro vaginal membrane permeation study in rabbit. THe effects of different hydrogel bases, such as Polycarbophil and Pemulen compared with solutions on vaginal membrane permeation of LHRH were investigated. Sodium laurate, disodium ethylenediamine brane permeaiton of LHRH were investigated. 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ate (EDTA) and sodium tauro-24, 25-dihydrofusidate (STDHF), which are effective peptidase inhibitors were chosen as additives to a LHRH hydrogel delivery system and LHRH solutions. A Polycarbophil compared with a solution formulation 3.4 times increase in LHRH vaginal membrane permeability compared with a solution formulation. Vaginal membrane permeability from the Polycarbophil was greater than that from Pemulen hydrogels. This may be due to the larger bioadhesive values. LHRH solution with EDTA(2%), STDHF(1%) and sodlaurate(0.5%) showed 4.1 times, 4.8 times and 6.0 times of ovulation inducing activity compared with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zyme inhibition effect of EDTA, STDHF and sod, laurate may be result in substantial enhancement of vaginal absorption. By administraiton of Polycarbophil hydrogels containing LHRH the ovulation inducing activity was 3.3 times greater than the solutions. This result indicates the bioadhesive hydrogels as well as peptidase in hibition significantly improved absorption of LHRH. By coadministration with these inhibitors the ovulation inducing activity of Polycarbophi hydrogel containing LHRH was comparable with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 ovulation inducing activity.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in vitro 난모세포 성숙과 배란에 미치는 TBT, TPhT 및 Aroclor 1254의 영향 (In vitro Effects of TBT, TPhT and Aroclor 1254 on Oocyte Maturation and Ovulation in O1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백혜자;정지현;전중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4-587
    • /
    • 2001
  • 성숙 시기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어미를 대상으로 난 모세포의 GVBD와 배란유도과정에 TBT/TPhT와 Aroclor 1254의 저해효과를 조사한 결과, TBT (또는 TPhT)와 Aroclor 1254모두 GVBD 과정과 HCG로 전처리한 배란유도 과정에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난모세포의 반응은 Aroclor 1254보다는 TBT에 좀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TBT의 처리 농도별 차이는 TBT 0.1과 1 ppm에서 가장 낮은 GVBD 유도율을 보였으나 $0.0001\~1\;ppm$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TBT의 배란저해 효과는 HCG 처리 구에 비해 HCG+TBT의 모든 실험구 (0.01, 0.1, 1 ppm)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TBT 처리구 중 가장 높은 농도인 HCG+TBT 1 ppm에서 가장 낮은 배란율을 보였다. 넙치의 GVBD와 배란과정을 유기주석화합물 (TBT, TPhT)이 방해함으로써 이 시기의 주요 호르몬인 progestogens 작용이 저해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앞으로 난소발달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그 저해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실험이 요구된다.

  • PDF

호르몬 처리에 의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배란유도 효과 (Ovulation Induction Effect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by Treating Hormones)

  • 홍창기;조재권;박종연;손맹현;박재민;한경호;강희웅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981-989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ovulation induction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varies when treated with different hormonal substances such as ovaprim, pimozide, LHRHa, and HCG. As for LHRHa, we injected it in different concentrations: $50{\mu}g/kg$, $100{\mu}g/kg$, $150{\mu}g/kg$, and $200{\mu}g/kg$. All hormonal substances including LHRHa were injected into back muscles. As a result, ovulation occurred in all sample groups. The sample group injected with HCG released the largest amount of eggs, and the dimeter of eggs and oil globules were also significantly bigger than those of others. Fertilization rate, embryonic survival rate, and hatching rate were the highest in a LHRHa ($100{\mu}g/kg$) +pimozide ($1,000{\mu}g/kg$) group and buoyant rate in a LHRHa group. Ovulation rate was 100% when LHRHa was injected in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largest amount of eggs was released in $200{\mu}g/kg$. The diameter of eggs and oil globules were the biggest in $200{\mu}g/kg$ and the smallest in $50{\mu}g/kg$. Fertilization rat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all different levels of concentration: 94.6-95.3%. Buoyant rate was the highest in $100{\mu}g/kg$ and embryonic survival rate and hatching rate in $150{\mu}g/kg$.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we concluded that LHRHa in $100{\mu}g/kg$ is the most efficient for the ovulation induction of sevenband grouper.

말 인공수정에서 발정동기화와 배란유도 방법이 호르몬 농도와 임신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Methods on Hormone Concentrations and Pregnancy Rate in Artificial Insemination of Riding Horses)

  • 권수현;박용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4호
    • /
    • pp.111-117
    • /
    • 2024
  • Reproductive research such as artificial insemination and embryo transfer is necessary to produce high-quality riding hor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methods, which can be considered the basis of artificial insemination in horses, on the hormone concentration and artificial insemination pregnancy rate of mares. For the purpose of synchronization of estrus in horses, Cidr-plus insertion method, Regumate feeding method, and 150mg progesterone + 10mg estradiol mixed administration method were used. In the Cidr-plus insertion method and the Regumate feeding method, the progesterone concentration reached the appropriate level for ovulation induction on the 8th day of administration. The mixed administration method of 150mg progesterone + 10mg estradiol maintained the progesterone concentration at an appropriate level immediately after administration. With the administration of PGF2a and hCG, progesterone concentration decreased rapidly, making ovulation induction possibl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gnancy rate between natural estrus and estrus synchronization, the pregnancy rate was found to be higher in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sufficient to judge the effect of the pregnancy rate due to the small number of tests, but in terms of usability, estrus synchronization and ovulation induction were useful.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uture roadster production.

젖소의 다양한 발정 행동 징후와 배란 시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Estrous Behavioral Signs and Ovulation Time in Dairy Cows)

  • 손준규;박수봉;박성재;백광수;안병석;김현섭;황석주;주종철;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3
    • /
    • 2007
  • 본 연구는 젖소의 발정 행동 징후에 따라 배란 시간을 예측하고 결정하기 위하여 발정의 다양한 행동 징후(승가, 승가허용, 외음부 냄새 맡기 및 턱비빔)와 배란 시간과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공시된 51두 중 37두에서 배란이 일어났으며, 이 중 28두에서 발정 발현이 나타났다. 발정 행동 징후는 $PGF_2{\alpha}$주사 후 2일째부터 72시간 동안 육안 관찰하였으며 배란 시간(4시간 간격으로 초음파 검사)과의 관계를 각각 조사하였다. 발정 행동별 발정 발현율은 외음부 냄새와 턱비빔은 81%와 78%를 보였으며, 승가는 78% 승가 허용은 56%를 보였다. 발정 행동 징후별 발정 개시와 종료의 배란 시간까지의 간격 분포는 발정 개시 후 배란까지는 배란 전 $7{\sim}37$시간(평균 $25.58{\pm}7.94$ 시간)사이였으며, 발정 종료 후 배란까지는 배란 전 $1{\sim}28$시간(평균 $13.42{\pm}7.14$ 시간) 사이였다. 발정 행동별 발정 개시 후 배란까지의 시간에서 승가 허용($17.33{\pm}5.83$시간)이 승가($23.58{\pm}5.12$ 시간), 외음부 냄새 맡기$(24.25{\pm}6.09$시간), 턱비빔($23.42{\pm}6.04$ 시간)보다 유의적으로(p<0.05) 짧게 나타났다. 또한 발정 행동별 배란 전 발정 개시에서 승가, 승가 허용, 외음부 냄새 맡기 및 턱비빔은 12시간 간격 안에서 $16{\sim}28$시간(88%), $10{\sim}22$시간(81%), $16{\sim}28$시간(79%) 및 $19{\sim}31$시간(79%)사이에서 각각 개시하였다. 외음부 냄새 맡기와 턱비빔 행동은 발정 단계가 아닐 때도 보이는 행동이기 때문에 배란 시간을 예측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승가 허용와 승가 행위는 배란 시간을 예측하는데 좋은 지표이지만, 승가 허용은 승가를 허용하는 개체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배란 시간을 예측하는데 다소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승가 행위로 배란 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훌륭한 지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배란양상 (Pattern of Ovulation in Korea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 김혜민;김재령;최은주;박은주;홍서유;이진용;박원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3호
    • /
    • pp.231-238
    • /
    • 2008
  • 목 적: 조기난소부전 환자의 10$\sim$20%에서 난소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하며 간헐적으로 배란이 되고 심지어는 임신이 가능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임상적 특징과 배란가능성은 논의된 적이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자연 난포의 발생 빈도와 배란유도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발성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된 15명 여성의 전체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별로 6번 이상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3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다. 또한 4명의 환자에서 6주기의 배란유도시도를 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음파 검사에서 난포의 발견율, 자연 난포 성장률과 배란유도를 시행한 경우에 그 반응을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15명 중 6명은 초음파상 난포가 발견되었나 (40%) 초음파 검사 당 난포 발견 빈도는 7%였다 (115회 중 8회). 6명 중 한 명은 초음파 추적관찰 상 배란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5명은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배란유도를 시도한 6명 중 성공적인 난포 성장이 관찰된 예는 없었다. 결 론: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난포의 발견율은 이전 서양 연구에 비하여 낮다고 생각되지만 관찰 방법에 차이가 있어 직접비교는 불가능하다. 배란유도의 성공율은 0%로서 이전 연구에서 발표된 수준보다 낮았다.

은연어, Oncorhynchus kisutch의 호르몬에 의한 산란유도 (Hormonal Induction of Ovulation in the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 박인석;정의영;홍경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85-486
    • /
    • 1997
  • The effectiveness of intraperitonial injections of human chorionic gonadotrpin(HCG) follwed 4 days later by either HCG, salmon pituitary extract or des-GLY10[D-Ala6] LHRHa-ethylamide on ovulation of the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were incestigated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