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sized exhaust port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횡류식 대배기구 방식을 적용한 도로터널에서 화재시 최적배연풍량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moke Exhaust Rate for the Transverse Ventilation with Oversized Exhaust Ports in Road Tunnel)

  • 유지오;윤성욱;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12
    • /
    • 2006
  • Recently, the application of 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with oversized exhaust ports has been increased in bidirectional road tunnel in order to improve smoke exhaust 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for decision of the optimal smoke exhaust rates in the 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several standards of nations are compared and numerical simulations with variations of exhaust flow rates are carried out in terms of smoke spread distance by FDS ver. 3.1. As results, in the case of no internal longitudinal air velocity in tunnel, the smoke exhaust rate of $80m^{3}/s$ (the smoke generation rate at HRR of 20MW) is sufficient enough to limit the smoke spread within 250m in 6 minutes after the fire. However, in the case of the internal longitudinal air velocity at 2.5m/s, the smoke exhaust rate should be increased $130m^{3}/s$.

화재강도변화에 따른 횡류식 대배기구 배연량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Smoke Exhaust Rate According to the Transverse Ventilation with Oversized Exhaust Ports in Road Tunnel by the Variation of Fire Intensity)

  • 이동호;김하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8-43
    • /
    • 2008
  • 최근에 양방향 도로터널에서 배연효율의 증가가 요구됨에 따라 대배기에 의한 횡류식 양방향터널 배연시스템 적용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FDS Ver4.0을 사용한 수치해석을 통해 배연량과 화재강도를 변화시켜 최적배연조건을 도출하였다. 결과로, 터널 내부로 외부기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배연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재지점으로 2.5m/s의 속도로 외기가 불어올 때 연기가 250m 이내로 제어되는 대배기구의 배연용량은 $244.8m^3/s$의 값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도로터널 화재시 반횡류식 균일배기 환기방식에서의 최적배연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Fire and Smoke Control in Road-Tunnel with Semi-Transverse Ventilation)

  • 전용한;유지오;김남진;서태범;김종윤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86-192
    • /
    • 2009
  • In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review the moving characteristics of smoke by performing visualization for calculation of the optimal smoke exhaust air volume in case a fire occurs in tunnels where transverse ventilation is applied, and to obtain basic data necessary for design of the smoke exhaust systems by deriving optimal smoke exhaust operational conditions under various condi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f it was assumed 0 critical velocity in the tunnel, the smoke exhaust air volume was limited within 250 meter in the road-tunnel disaster prevention indicator and the exhaust efficiency was from 55.1% to 95.8% in the result of this study. In case of oversized exhaust ports, the generated smoke is more than the case of uniform exhaust. When the critical velocity in the tunnel is 1.75 m/s and 2.5 m/s, the optimal smoke exhaust air volume has to be more than $173\;m^3/s$, $236\;m^3/s$ for the distance of the moving smoke which can limit the distance to 250 m.

수치해석을 통한 노후 지하철 역사 내 열차 화재 시 제연모드 개선에 관한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Heat and Smoke Control System in Old Subway Station on Train Fire)

  • 김효규;백두산;유용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88-96
    • /
    • 2017
  • 지하철은 정해진 노선에서 한 번에 많은 인원들을 수송시킬 수 있으며 철로와 역사가 지하에 있기 때문에 지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지하철 화재참사처럼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지하철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많은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측정실험을 실시한 결과,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제배연설비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화재 발생 시 제연모드에 따른 열기류 및 CO의 유동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노후화된 제연설비로는 승강장 피난 시간기준인 4분 동안 기준치 이하의 열기류의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였으며, 승강장 상부에 대배기구를 추가하여 배연성능을 강화시킨 경우 4분 동안 기준치 이하의 CO농도와 열기류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