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head compensa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SAD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DCT 계산 방식 (An Efficient DCT Calculation Method Based on SAD)

  • 문용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6C호
    • /
    • pp.602-60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고속 동영상 압축을 위한 효율적인 DCT 계산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먼저 기존 움직임 추정 및 보상 과정에서 얻어지는 SAD가 양수 항과 음수 항의 합으로 분해됨을 유도한다. 그리고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기존 DCT 계산이 양수 항의 합과 음수 항의 합에 따라 DCT 생략, Reduced_DCT1, Reduced_DCT2, 그리고 DCT의 4가지 경우들로 분류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제안 알고리듬에서는 효율적인 DCT 계산을 위하여 4가지 유형중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어진다. 모의 실험 결과는 복원 화질의 저하와 부가 계산량 없이 평균 25.2% 정도의 계산량 감소가 이루어짐을 보여준다.

모순 검증을 통한 다중 움직임 벡터 해상도 시그널링 방법 (Signaling Method of Multiple Motion Vector Resolutions Using Contradiction Testing)

  • 원광현;박영현;전병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7호
    • /
    • pp.107-118
    • /
    • 2015
  • 대부분의 비디오 압축 표준들이 1/4 부화소 정밀도와 같은 고정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다중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지원하는 형태의 구조는 비디오 콘텐츠의 성질에 따라 필요로 하는 만큼의 움직임 벡터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더 정확한 움직임 예측자 생성이 가능해지므로, 부호화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중 움직임 벡터 해상도 구조는 각각 움직임 벡터에 대해 선택된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추가로 시그널링 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움직임 벡터 해상도의 모순 검증 기반 시그널링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여러 개의 후보 중, 각 움직임 벡터에 대해 최소크기의 부호화율을 갖는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선택한다. 또한, 움직임 벡터 해상도의 시그널링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 양쪽에서 미리 정의된 기준을 통한 모순 검증 과정을 수행하여 시그널링 할 필요가 없는 후보 움직임 벡터 해상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 구조가 고정 움직임 벡터 해상도 기반의 구조와 비교하여 $Bj{\o}ntegaard$ delta bit rate (BDBR)에서 평균 약 4.01%의 이득(최대 15.17%)을 달성함으로써 부호화되는 움직임 정보의 양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

하드웨어 효율적인 동적 커패시턴스 보상 구현을 위한 고속 영상 압축 및 화소별 스위칭 기법 (Fast Image Compression and Pixel-wise Switching Technique for Hardwar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 최준환;송원석;최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8호
    • /
    • pp.616-622
    • /
    • 2009
  • 동적 커패시턴스 제어(DCC) 기술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약점 중 하나였던 응답 시간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하지만 DCC는 계산 과정에서 이전 프레임 영상의 실시간 저장 및 출력을 반복해야 하며, 이 과정에 활용되는 고속 메모리는 HD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에 있어 높은 하드웨어적 부담 및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도가 낮은 고속 영상 압축 기법인 변형 지수-골룸 (MEG) 코딩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DCC 기술에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화소별 DCC 스위칭 기법을 제안하여 압축 오차가 최종 액정 디스플레이 영상의 시각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식을 이용해 DCC 처리용 메모리의 크기를 1/3로 줄여도 최종 영상의 시각 품질 손상이 거의 없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영상 전송을 위한 효율적인 DCT 영역의 트랜스코딩 (Efficient DCT Domain Transcoding for Video Transmission)

  • 김성진;황인경;정웅찬;백준기;김제우;송혁;백종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21-13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영상 전송을 위한 효율적인 DCT 영역 비디오 트랜스코딩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비디오 트랜스코딩은 압 축된 비트 스트림을 새로운 전송 대역폭의 제한 조건에 맞춰서 전송의 유연성을 획득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 과정에서 부호화(encoder)와 복호화(decoder)를 거치면서 참조 영상의 타이로 인한 드리프트(drift)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은제점을 피하 기 위해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식으로 CPDT(Cascade Pixel-Domain Transcoder)구조를 사용하지만, 이 구조는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 비디오 트랜스코딩을 위해 DCT 영역에서 트랜스코딩을 행하는 CBDT(Cascade DCT-Domain Transcoder) 구조를 제안한다. CBDT 구조는 DCT 영역에서 움직임 보상과 부 표본화를 행한다.

  • PDF

실내측위를 위한 새로운 클락 동기 방안 (A New Simplified Clock Synchronization Algorithm for Indoor Positioning)

  • 이영규;양성훈;이승우;이창복;김영범;최성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3A호
    • /
    • pp.237-246
    • /
    • 2007
  • 클락 동기는 실내 측위를 위한 실내 동기망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할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의 복잡성 및 동기에 필요한 데이터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지 않고 클락을 동기 시키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에 대해서 논한다. 또한 동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파수 드리프트를 보상해 주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제안한 동기 알고리즘을 사용한 동기 성능에 대한 평가는 모의실험을 통한 MTIE(Maximum Time Interval Error) 값을 고찰함으로써 이루어졌다. 모의실험에 있어서 실제적인 오실레이터에 대한 주파수 드리프트 값을 사용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1 초의 동기 간격에 1 ns 분해능을 갖고 주 클락과 종속 클락에 TCXO를 사용하면 10 ns 이하의 동기가 가능함을 고찰하였다.

모바일 Ad hoc 네트워크를 위한 신용 평가 보상 프로토콜 (A Reputation Compensation Protocol For Mobile Ad Hoc Networks)

  • 축뢰;강전일;양대헌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5-44
    • /
    • 2006
  • 최근 몇 년간, ad hoc 네트워크 영역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ad hoc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많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제안되었다. 이기적 노드란 자신의 전력을 보존하기 위해, 일반 노드가 해야만 하는 특정한 동작의 절차를 따르지 않는 노드를 의미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기적 노드가 유발하는 유해한 행동을 경감시키는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노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르는 새로운 환경을 가정한다. 노드들이 네트워크에서 정상적으로 통신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시한다. 또한 이에 따른 모의실험 결과를 논문에 포함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가지고 우리는 약간의 트래픽을 희생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음을 보였다.

사용후핵연료 차세대관리 공정장치 유지보수용 천정이동 서보 매니퓰레이터 와이어 구동부 동작특성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n Wire-Driven Links of a Bridge Transported Servo Manipulator for the ACP Equipment Maintenance)

  • 박병석;진재현;송태길;김성현;윤지섭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9-199
    • /
    • 2004
  • 기계식 마스터-슬레이브 매니퓰레이터의 결점인 접근 지역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차세대관리 공정장치 원격 유지보수용 천정이동 서보 매니퓰레이터(Bridge Transported Servo Manipulator, BTSM)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서보 매니퓰레이터는 핫셀 내 천정이동 브릿지(bridge)에 부착되는 슬레이브 매니퓰레이터와 핫셀 밖 운전지 역에 설치되는 마스터 매니퓰레이터로 구성된다. 각각의 매니퓰레이터는 몸체 회전, 상부 팔 틸트(tilt), 하부 팔 틸트, 하부 팔 회전, 손목 팬/틸트(pan & tilt) 및 잡는 운동(grasp motion)의 7 자유도를 갖는다. 하부 팔 회전, 손목 팬/틸트 및 잡는 운동은 매니퓰레이터의 무게에 비해 취급 용량을 크게 하고, 마찰을 작게 하기 위하여 와이어 구동 메카니즘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와이어 구동 메카니즘은 한 축이 움직일 때 다른 축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와이어 구동 링크(link) 사이의 전달 특성을 수식화 하였다. 와이어구동 링크들간의 전달특성 분석 및 실험을 통해서 이들의 기대하지 않은 동작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한 보상식을 통해서 기대하지 않은 동작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