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verall migrat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2초

Phloroglucinol Enhances Anagen Signaling and Alleviates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 Seokmuk Park;Ye Jin Lim;Hee Su Kim;Hee-Jae Shin;Ji-Seon Kim;Jae Nam Lee;Jae Ho Lee;Seunghee B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812-827
    • /
    • 2024
  • Phloroglucinol (PG) is one of the abundant isomeric benzenetriols in brown algae. Due to its polyphenolic structure, PG exhibit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the impact of PG on anagen signaling and oxidative stress in human dermal papilla cells (HDPCs) is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G for improving hair loss. A non-cytotoxic concentration of PG increased anagen-inductive genes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β-Catenin. Since several anagen-inductive genes are regulated by β-Catenin, further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PG upregulates anagen signaling. Various biochemical analyses revealed that PG upregulated β-Catenin signaling without affecting the expression of Wnt. In particular, PG elevated the phosphorylation of protein kinase B (AKT),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inhibitory phosphorylation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GSK3β) at serine 9. Treatment with the selective phosphoinositide 3-kinase/AKT inhibitor, LY294002, restored the increased AKT/GSK3β/β-Catenin signaling and anagen-inductive proteins induced by PG. Moreover, conditioned medium from PG-treated HDPCs promoted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via the AKT signaling pathway. Subsequently, we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G. PG ameliorated the elevated oxidative stress markers and improved the decreased anagen signaling in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HDPCs. The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taining assay also demonstrated that the antioxidant abilities of PG effectively mitigated H2O2-induced senescence.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G potentially enhances anagen signaling and improves oxidative stress-induced cellular damage in HDPCs. Therefore, PG can be employed as a novel therapeutic component to ameliorate hair loss symptoms.

칠레 남부 라고 소피아 (Lago Sofla) 심해저 하도 역암의 층구조와 퇴적 스타일 (Architecture and Depositional Style of Gravelly, Deep-Sea Channels: Lago Sofia Conglomerate, Southeyn Chile)

  • 최문영;조형래;손영관;김예동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23-33
    • /
    • 2004
  • 칠레 남부에 분포하는 라고 소피아 역암 (후기 백악기)은 이암이 우세한 심해 퇴적층 (Cerro Toro Formation) 내에 렌즈상으로 산출하고 남북방향으로 120 km 이상 연장된다. 라고 소피아 역암은 융기대전면분지 (foreiand basin)인 마젤란 분지의 융기대전면곡분 (foredeep trough)을 따라 발달한 심해저 하도계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연장이 대단히 좋은 역질의 심해저 하도가 발달하는 것은 현생 심해저 환경에서 매우 드문 현상으로 라고 소피아 역암은 퇴적학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예이다. 연구지역의 북부에 분포하는 라고 소피아 역암은 이암 퇴적층 사이에 협재하는 3-5매의 역암체로 구성되고, 고수류 측정에 따르면 퇴적물은 동, 남, 남동 방향으로 운반된 것으로 유추된다. 이 역암체는 융기대전면곡분의 서편에 위치한 해저사면을 따라 발달한 심해저 하도계의 지류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되며, 지류들은 남북방향의 주하도로 수렴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부 지역의 라고 소피아 역암은 300 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역암체로 구성되고, 남북방향으로 긴 융기대전면분지의 축을 따라 발달한 주하도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역암체는 층리를 보이는 역암, 괴상 혹은 점이층리의 역암, 기질지지 역암으로 구성되며, 각각은 저탁류에 의한 밑짐 운반, 고밀도 저탁류, 니질 암설류에 의해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층리역암에서 측정된 고수류 방향은 남남서항으로 주하도의 방향을 지시한다. 반면, 북부 및 남부 지역의 기질지지 역암에서 측정된 고수류 방향은 흔히 하도 방향에 대해 고각도를 이루는데, 이는 하도의 둑 또는 주변 사면이 붕괴하여 니질 암설류가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형태구성 (architecture) 분석 결과, 라고 소피아 역암은 육상의 역질 망상하천 퇴적층과 유사한 구성요소로 구성되며, 라고 소피아 심해저 하도계는 망상하천과 유사한 지형적 특성을 지녔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하도 역암 내 큰 규모의 층구조는 동쪽으로 이동 누적된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지구조 운동에 의해 주하도가 점진적으로 동쪽으로 이동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가로림만 어업자원에 관하여 (Fisheries Resources in Garolim Bay)

  • 허성범;김종만;유재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8-80
    • /
    • 1984
  • 서산부 해안의 가로림만은 연안어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우리 나라 제 1의 조력발전소 후보지로 전망되고 있어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조력발전소가 설립될 경우 이 해역의 모든 해양생태계는 변하게 될 것이므로, 조력발전소 설립 이후의 영향평가와 종합적인 만의 이용개발을 위해서는 건설이전의 어업자원은 정확히 파악되어야만 할 것이다. 1981년 1년간 이 해역에서의 어류 출현분포조사결과 46종의 성어어류와 3종의 어난 및 25종의 치어가 동정분류되었다. 월별 정점별 난치어의 출현분포를 볼 때 가로림만의 내만은 겨울철에 산란한 배도라치류, 까나리 등의 성육장뿐 아니라 봄이나 여름에 산란하는 망둑어류, 멸치, 밴댕이, 동갈양대류, 가자미류 등의 중요한 산란장으로 판단된다. 1978년부터 1980년까지의 종별 어획자료를 참고할 때 가로림만에서의 어업은 봄철 어업과 가을철 어업으로 크게 구분되며 중요한 어종은 베도라치류 치어와 망둑어류, 숭어, 밴댕이 등이며 중요 양식종으로는 굴, 김, 반지락 등이다. 가로림만 입구에 조력발전소가 설립될 경우 베도라치류 및 까나리 치어자원과 숭어, 밴댕이, 전어 등과 같은 회유성 어종은 회유로가 차단되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것이며, 해수의 물리${\cdot}$화학적 환경변화는 저서생물 자원에 큰 피해를 줄 것이다. 따라서 조력발전소 건설 이후 만의 합리적 이용개발을 위해서는 현재의 어업자원을 포함한 전반적인 생태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조력발전소의 수문의 위치 및 크기 등의 공학적인 설계는 이러한 생태학적 특성을 고려하여야만 할 것이다.

  • PDF

Are Neutrophil/Lymphocyte and Platelet/Lymphocyte Rates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is?

  • Unal, Dilek;Eroglu, Celalettin;Kurtul, Neslihan;Oguz, Arzu;Tasdemir, Arz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237-5242
    • /
    • 2013
  • Background: Inflammation is a critical component of tumor progression. Many cancers arise from sites of infection, chronic irritation, and inflammation. It is now becoming clear that the tumour microenvironment, which is largely orchestrated by inflammatory cells, is an essential participant in the neoplastic process, promoting proliferation, survival and migration. Platelets can release some growth factors such as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latelet factor 4, and thrombospondin. Such factors have been shown to promote hematogenous tumour spread, tumor cell adhesion and invasion, and angiogenesis a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umor progress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pretreatment neutrophil to lymphocyte ratio (NLR) and the platelet to lymphocyte ratio (PLR) on survival and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Ninety-four patients with non-metastatic NSCLC were included and separat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median valuse of NLR and PLR (low:<3.44 or high:${\geq}3.44$ and low:<194 or high${\geq}194$, respectively). Results: Pretreatment high NLR and PLR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shorter disease-free and overall survival rates.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all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linked with PLR (OR: 1.87, CI: 1.20-2.91, p: 0.006) and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OR: 1.80, CI: 1.14-2.81, p: 0.012) and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LR (OR: 1.81, CI: 1.16-2.82, p: 0.009) and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OR: 2.30, CI: 1.45-3.66, p: 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high and low NLR in terms of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Similarly,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PLR. Conclusions: Pretreatment NLR and PLR measurements can provide important prognostic results in patients with NSCLC and assessment of the two parameters together appears to better predict the prognosis in patients with NSCLC. The effect of inflammation, indicators of NLR and PLR, on survival seems independent of the response to chemoradiotherapy.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대구 계군 분석 (The Pulation Structure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Tilesiu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 서영일;김주일;오택윤;이선길;박종화;김희용;조은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6-344
    • /
    • 2010
  •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09년 동안 속초, 월성, 거제도, 여수, 거문도, 서남해역에서 채집된 대구어미를 대상으로 유전적 집단구조를 조사했다. 시험에 사용된 28 마리 중에서 8 종류의 haplotype이 발견되었다. 상호 유전자 비교시 0.2-2.2% 범위에서 유전자 변이율을 볼 수 있었다. Gal haplotype은 월성, 거제도, 여수, 거문도, 서남해역에서 모두 발견된 haplotype으로 우리나라 대구의 가장 대표적인 haplotype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Ga2, Ga3, Ga6, Ga7 haplotype은 속초에서만 나타났다. 또한 유전자 상호관계 분석에서도 속초에서 나타난 haplotype은 독립적인 개체군을 형성하고 있으면 다른 haplotype과의 유연 성립율은 50% 이하로 나타났다. 속초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지역적 유전거리는 -0.0123 에서 -0.0423 이면 유전적 이동률은 거의 무한대로 보여 동일한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속초와는 현저한 유전적 거리를 나타내고 있고, 속초의 유전적 다양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서 속초의 대구 개체군은 소형임과 아울러 다른 지역관의 유전적 이동이 거의 차단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어획되는 대구 계군은 속초를 제외하고 활발한 유전적 이동으로 동일한 유전적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사계의 역동성 감소가 지석천 충적하도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uced Sediment Dynamics on Fluvial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Jiseok River)

  • 옥기영;이삼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5호
    • /
    • pp.445-454
    • /
    • 2012
  • 본 연구는 상류역에 댐이 존재하지 않는 충적하천에서 과거 이치수 위주의 하천정비사업이 하도지형의 장기적인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원인을 유사계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산강 유역의 지석천 중하류역을 대상으로 하도선형, 사주형태와 식생활착율 등의 하도의 평면형상 변화를 분석하고, 하상재료 및 하상변동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연적인 충적하천 당시(1966년)와 제방과 저수로, 취수보 건설 등의 하천정비사업으로 변모된 최근(2002년)의 항공사진의 비교분석결과, 유로형태의 변화(단일사행에서 다지형화), 하도선형의 만곡도 감소(9.2%), 지천사주의 확장, 그리고 사주의 식생활착(97%)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하도의 주수로 고정화와 사주내 식생이입은 댐하류 조절하천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평면 하도특성으로, 대상구간에서도 댐하류역과 유사한 유황의 변화 또는 유사량 감소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유황변동 조사결과, 비록 댐하류 하천에서 나타나는 연간 수위변동의 균일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과거에 비해 홍수빈도와 규모가 감소하였다. 하상재료의 입경은 4~5배정도 조립화 되었고, 하상변동 조사결과 전체적으로 하상저하가 발생하였으나 지천합류부에서 국부적인 하상상승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비록 댐으로 조절되지 않는 충적하천에서도, 하도내의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하여 유사 공급량의 감소, 지천과 본류간의 유사이동능력의 불균형, 그리고 하도내 지형형성 과정의 저하 등과 같은 유사계의 인위적인 교란이, 장기적으로 댐하류 조절하천과 유사한 하도의 평면하도 형상의 변화를 유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Elevated Cellular Retinoic Acid Binding Protein-I in Cerebrospinal Fluid of Patients with Hemorrhagic Cerebrovascular Diseases : Preliminary Study

  • Jeon, Jin Pyeong;Cho, Won-Sang;Kang, Hyun-Seung;Kim, Jeong Eun;Kim, Seung-Ki;Oh, Chang W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7권2호
    • /
    • pp.88-93
    • /
    • 2015
  • Objective : Elevated cellular retinoic acid binding protein-I (CRABP-I)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abnorma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smooth muscle cells (SMCs). Accordingly, a higher CRABP-I level could cause disorganized vessel walls by causing immature SMC phenotypes and altering extracellular matrix proteins which could result in vulnerable arterial walls with inadequate responses to hemodynamic stress. We hypothesized that elevated CRABP-I level in the cerebrospinal fluid (CSF) could be related to subarachnoid hemorrhage (SAH). Moreover, we also extended this hypothesis in patients with vascular mal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emorrhage.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CSF of 26 patients : SAH, n=7; unruptured intracranial aneurysm (UIA), n=7;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n=4; cavernous malformation (CM), n=3; control group, n=5. The optical density of CRABP-I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ting and presented as mean${\pm}$standard error of the measurement. Results : CRABP-I in SAH ($0.33{\pm}0.09$)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UIA ($0.12{\pm}0.01$, p=0.033) or control group ($0.10{\pm}0.01$, p=0.012). Hemorrhage presenting AVM (mean 0.45, ranged 0.30-0.59) had a higher CRABP-I level than that in AVM without hemorrhage presentation (mean 0.16, ranged 0.14-0.17). The CRABP-I intensity in CM with hemorrhage was 0.21 and 0.31, and for CM without hemorrhage 0.14. Overall, the hemorrhage presenting group (n=11, $0.34{\pm}0.06$)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CRABP-I intensity than that of the non-hemorrhage presenting group (n= 10, $0.13{\pm}0.01$, p=0.001).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elevated CRABP-I in the CSF could be related with aneurysm rupture. Additionally, a higher CRABP-I level seems to be associated with hemorrhage development in vascular malformation.

Epstein-Barr Virus-infected Akata Cells Are Sensitive to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TSA-provoked Apoptosis

  • Kook, Sung-Ho;Son, Young-Ok;Han, Seong-Kyu;Lee, Hyung-Soon;Kim, Beom-Tae;Jang, Yong-Suk;Choi, Ki-Choon;Lee, Keun-Soo;Kim, So-Soon;Lim, Ji-Young;Jeon, Young-Mi;Kim, Jong-Ghee;Lee, Jeong-Chae
    • BMB Reports
    • /
    • 제38권6호
    • /
    • pp.755-762
    • /
    • 2005
  • Epstein-Barr virus (EBV) infects more than 90% of the world's population and has a potential oncogenic nature. A histone deacetylase (HDAC) inhibitor, trichostatin A (TSA), has shown potential ability in cancer chemoprevention and treatment, but its effect on EBV-infected Akata cells has not been examin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SA on the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the cells. TSA inhibited cell growth and induced cytotoxicity in the EBV infected Akata cells. TSA treatment sensitively induced apoptosis in the cell,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increased number of positively stained cells in the TUNEL assay, the migration of many cells to the sub-$G_0/G_1$ phase in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the ladder formation of genomic DNA.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caspase-dependent pathways are involved in the TSA-induced apoptosis of EBV-infected Akata cells. Overall, this study shows that EBV-infected B lymphomas are quite sensitive to TSA-provoked apoptosis.

미국 오레곤 남부 에오세 전호상 및 섭입대 퇴적층의 탄화수소 근원암 가능성 (Hydrocarbon Source Rock Potential of Eocene Forearc and Subduction Zone Strata, Southern Oregon Coast Range, U.S.A.)

  • 유인창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41
    • /
    • 2005
  • 오레곤 연안 산맥 남부에 분포하는 에오세 퇴적층들에 대한 탄화수소 근원암 평가가 Rock-eval 열분석을 이용 수행되었다. 오레곤 연안 산맥 남부의 에오세 퇴적층 대부분은 가스성향의 Type III 케로겐들을 소량 포함하고 있으며, 열적으로도 미숙성 되었다. 그러나 탄층을 포함하여 일부 퇴적층은 인접 지역에서 발견되는 유기적 또는 열적으로 생성된 메탄가스징들의 근원암이 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유기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오레곤 연안 산맥 남부의 에오세 퇴적층에 대한 탄화수소 근원암 평가는 전반적으로 낮게 평가된다. 그러나 오레곤 연안 산맥 남부 및 인접 지역에 상업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규모의 탄화수소 집적소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세 종류의 가능성 있는 석유 시스템이 인지된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석유 시스템은 오레곤 연안 산맥 남부와 중생대 클라매쓰 산맥 북부의 인접 지역에 나타나며, 섭입대 성숙 메카니즘과 관련된 트러스트를 따라 발달하는 석유 시스템이다. 두 번째 가능성 있는 석유 시스템은 오레곤 연안 산맥 북부에 과압력대와 연관되어 발달될 수 있는 분지중심가스의 석유 시스템이며, 세 번째 석유 시스템은 오레곤 연안 산맥 서부에 나타나는 제3기 화산활동과 연계되어 생성된 열수용액들의 이동과 관입암체들에 의한 열적 숙성에 의한 석유 시스템이다.

  • PDF

RAPD 분자지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집단 유전적 변동 분석 (Gene Flow of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Populations Analyzed by RAPD Molecular Markers)

  • 손예림;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7-44
    • /
    • 2008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사과에 주요 해충이다. 이 해충을 환경친화형 방법으로 방제하기 위해 성페로몬을 이용한 교미교란제 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교미교란제의 처리는 복숭아순나방 방제에 효과적이나 이러한 광범위영역에 대한 구체적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복숭아순나방의 교미행동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복숭아순나방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는 분자지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기술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두 개의 분자지표를 개발하였다. 상이한 지역과 시기에 따라 구분되는 야외 복숭아순나방 집단들에 대해서 이들 분자지표를 이용하여 집단 유전 분석이 실시되었다 이들 분자지표들은 특정지역에서 복숭아순나방 집단들이 시기적으로 유전적 조성에 뚜렷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또한 서로 다른 지역의 복숭아순나방 집단들은 거리에 따라 상대적으로 차이가 증가하였지만, 계절이 진행함에 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