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control parenting styles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2초

과잉간섭 양육방식이 휴대 전화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ver-control parenting styl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bile phone dependenc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우재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200-209
    • /
    • 2017
  • 본 논문은 과잉간섭 양육방식이 휴대전화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5년 초등학교 4학년 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AMOS의 bootstrapping 검증으로 실행하였다. 연구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잉간섭 양육방식과 우울, 우울과 휴대전화의존도, 과잉간섭 양육방식과 휴대전화의존도의 경로를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잉간섭 양육방식이 휴대전화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를 성별, 지역, 교급을 통제한 상황에서 검증한 결과, 우울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이 휴대전화에 의존되는 과정에 부모의 과잉간섭 양육방식이 중요한 원인 변인으로 작용함을 인지해야 하고, 부모의 과잉간섭 양육방식으로 인한 아동의 우울감정을 휴대전화의존 전 단계에서 부터 다루어야 하는 중요 변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가정환경, 가족관계는 휴대전화 예방 뿐 아니라 아동이 독립된 성인으로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 기본 근간이 되는 바탕이 됨을 인지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로부터 과잉간섭 양육방식을 받은 아동의 휴대전화의존도 문제에 대한 개입을 위한 실천적 논의가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