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arian metastasi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난소 미분화배세포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 of Ovarian Dysgerminoma)

  • 신성수;박석원;신경환;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79-385
    • /
    • 1997
  • 목적 : 난소 미분화배세포종은 젊은 가임기 여성에 발생하며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복식자궁전적출술 및 난관난소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통상적인 치료 방법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이전에 서울내학교병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친료 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0년 8월에서 1991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16명의 환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2명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추적기간은 51개월에서 178개월로 중앙값은 99개월이었다. 연령분포는 11세부터 42세로 중앙값은 22세이었다. 병기별 분포는 IA기 3명, IC기 8명, 11기 2명, 111기 3명이었다. 1명의 환자에서 Turner's syndrome이 동반되어 있었다. 방사선치료는 6 MV와 10 MV 선형가속기나 Co-60 원 격치료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전 복부에 1950-2100cGy(중앙값=2000cGy)후 골반부에 1050-2520cGy를 추가하여 골반부에 총 3000-4500cGy(중앙값=3500cGy)를 조사하였다. 5명의 환자에 서는 대동맥임파절 부위에 900-1500cGy를 조사하였고, 대동맥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1명에서는 1620cGy후 전이 부위에 900cGy를 추가하여 총 4470cGy를 조사하였다. 대동맥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1명을 포함한 5명의 환자에서는 종격동 및 쇄골 상부에 2520cGy를 조사하였다. 절제가 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만 받은 2명의 환자는 111기 1명과 좌측 쇄골상 임파절 전이가 동반된 IV기 1명이었다. III기 환자에서는 전 복부에 2000cGy후 골반부에 2070cGy, 대동맥 임파절에 2450cGy를, IV기 환자에서는 전 복부에 2000cGy후 골반부 및 대동맥 임파절에 2400cGy, 종격동에 2520cGy 그리고 좌측 쇄골 상부에 3550cGy를 조사하였다. 결과 : 난관난소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의 5년 국소 치유율은 $100\%$이었으며 종격동 조사를 시행하지 않은 131기 환자 1명에서 종격동 전이가 발생하였으나 항암화학요법으로 치유되어, 전체 환자에서의 5턴 생존율은 $100\%$를 보였다. 방사선치료만 받은 2명의 환자는 각각 112, 155개월간 무병 생존하고 있다. 결론 : 난소 미분화배세포종에 있어서 난관난소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는 물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의 방사선치료의 완치율은 매우 높았다. 그러나, 방사선만 아니라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치유율이 높으므로 난소의 기능을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항암화학요법에 저항성이 있거나 치료 후에 재발된 경우에 방사선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PDF

MicroRNA-126은 난소 종양세포의 줄기세포 전사인자 (Sox2와 Lin28) 발현을 조절한다 (MicroRNA-126 Regulates the Expression of Stem Cell Transcription Factors (Sox2 and Lin28) in Various Ovarian Tumors)

  • 박호;제갈승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8-305
    • /
    • 2015
  • 최근 종양을 극복하고자 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가운데 하나로, 종양세포내에 발현되는 줄기세포 전사인자들(Oct4, Sox2, KLF4 and Lin28)을 억제하여 종양을 치료하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실험은 미분화 전사인자를 표적(조절)하는 microRNA-126을 이용하여 난소종양세포들(6종: HSC832(t)c, Ovcar3, Skov3, PA-1, TOV21G and Tov112D)들 생존과 성장에 어떠한 생물학적 변화를 유도하는지 연구하였다. Scramble과 microRNA-126를 난소종양세포들에 처리 후 세포모양 관찰결과 Skov3를 제외한 난소 종양세포들에서 형태학적 모양 변성과 부유현상을 관찰하였다. CCK-8을 이용한 세포분열능 분석에서 Skov3를 제외한 난소 종양세포들의 분열능력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Tov112D, Tov21G and PA-1에서 각 시간대별로 뚜렷한 세포분열 능력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RT-PCR결과 미분화 전사인자들(Sox2, Lin28)의 발현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microRNA-126이 다양한 난소 종양세포들을 표적하여 세포분열능과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가역적 환경(유전자 발현조절)을 제공함과 동시에 임상 치료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ZD1480 Can Inhibit the Biological Behavior of Ovarian Cancer SKOV3 Cells in vitro

  • Sun, Zhao-Ling;Tang, Ya-Juan;Wu, Wei-Guang;Xing, Jun;He, Yan-Fang;Xin, De-Mei;Yu, Yan-Li;Yang, Yang;Han, P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823-4827
    • /
    • 2013
  • Objective: To study the mechanism of effects of AZD1480 on the SKOV3 ovarian cancer cell line. Methods: The MTT method was used to assess cellular proliferation, flow cytometry for cellular apoptosis, the scratch test to determine migration, transwell chamber assays to detect cellular invasion, plate clone experiments to detect the clone forming ability and Western blotting to determine p-STAT3 protein levels. Results: The proliferation rate, migration ability, invasiveness and the clone forming ability of SKOV3 cells were reduced after treatment with AZD1480, while apoptosis rate and chemotherapeutic susceptibility were increased. After treatment with AZD1480 plus cisplatin, the apoptosis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the expression level of p-STAT3 protein was decreased. Conclusion: AZD1480 can inhibit the proliferation, invasion, metastasis and clone formation of SKOV3 cells, induce cellulsar apoptosis, increase the chemotherapeutic sensitivity and reduce the expression level of p-STAT3 protein.

Metastatic Bone Disease as Seen in Our Clinical Practice - Experience at a Tertiary Care Cancer Center in Pakistan

  • Qureshi, Asim;Shams, Usman;Akhter, Azra;Riaz, Sabih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369-4371
    • /
    • 2012
  • Aim: Metastatic tumor of bone is the most common malignancy involving bone and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prognosis in advanced cancers. The prognosis depends upon the primary site of origin and the extent of disease. In current study, we present the pattern and distribution of metastatic bone disease seen in the leading cancer care center of Pakistan, Shaukat Khanum Cancer Hospital & Research Center (SKMCH & RC), Lahore. Materials & Methods: All cases of bony metastatic disease were included that presented in the Pathology Department, from Jan 2005 to July 2011. Patients of all ages and both sexes were included. Primary bone tumors, lymphomas, sarcomas and other malignancies were excluded. The d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with SPSS 16.0. Results: A total of 146 cases of metastatic bone disease were included in the study. Out of the total cases, 79 were male and 67 were female. Age range 25-82 years (median 52). Hip bone was the most frequent bone involved, with femur and vertebrae as second and third in the list. The commonest bone involved in males was vertebrae with 23 cases and in females was hip bone with 22 cases. Regarding primary site, cancers of breast, prostate and gastrointestinal tract were at the top of the list with prostate and breast being the most frequent primary sites of metastasis in males and females respectively. Conclusion: Bone metastasis is an important entity to consider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whenever a bony tumor especially carcinoma present in older age. Our data are comparable with international findings and the literature available regarding the site and distribution of skeletal metastatic lesions. A slight deviation noted was more common bony metastatic lesions with ovarian primaries in females and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s in males in our study.

Clinical Outcomes o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Metastatic Brain Tumors from Gynecologic Cancer : Prognostic Factors in Local Treatment Failure and Survival

  • Shin, Hong Kyung;Kim, Jeong Hoon;Lee, Do Heui;Cho, Young Hyun;Kwon, Do Hoon;Roh, Sung W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4호
    • /
    • pp.392-399
    • /
    • 2016
  • Objective : Brain metastases in gynecologic cancer (ovarian, endometrial, and cervical cancer) patients are rare, and the efficacy of Gamma Knife Radiosurgery (GKRS) to treat these had not been evaluated. We assessed the efficacy of GKRS and prognostic factors for tumor control and survival in brain metastasis from gynecologic cancers. Methods :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From May 1995 to October 2012, 26 women (mean age 51.3 years, range 27-70 years) with metastatic brain tumors from gynecologic cancer were treated with GKRS. We reviewed their outcomes, radiological responses, and clinical status. Results : In total 24 patients (59 lesions) were available for follow-up imaging.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9 months. The mean treated tumor volume at the time of GKRS was $8185mm^3$ (range $10-19500mm^3$), and the median dose delivered to the tumor margin was 25 Gy (range, 10-30 Gy). A local tumor control rate was 89.8% (53 of 59 tumor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9.5 months after GKRS (range, 1-102 months). Age-associated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KPS), the recursive partitioning analysis (RPA) classification, and the number of treated lesions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HR=0.162, p=0.008, HR=0.107, p=0.038, and HR=2.897, p=0.045, respectively). Conclusion : GKRS is safe and effective for the management of brain metastasis from gynecologic cancers. The clinical status of the patient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overall survival time.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 환자 재발진단과 치료반응평가에 있어서 FDG-PET의 역할: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복부전산화단층촬영 및 종양표지자 판독의 비교 분석 (Role of FDG-PET in the Diagnosis of Recurrence and Assessment of Therapeutic Response in Cervical Cancer and Ovarian Cancer Patients: Comparison of Diagnostic Report between PET, Abdominal a and Tumor Marker)

  • 한유미;최재걸;강병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3호
    • /
    • pp.201-208
    • /
    • 2008
  • 목적;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 및 종양표지자와 비교를 통하여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의 재발을 진단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는데 FDG를 이용한 양전자단층촬영(PET)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앞으로 환자의 주요 추적검사방법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 1일부터 2007년 10월 31일 사이에 FDG-PET를 시행한 환자 중 비슷한 시기에 복부 CT를 시행 받은 67명 환자 10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자궁경부암 42예, 난소암 51예). PET, CT 및 혈중 종양표지자에 대한 판독을 후향적으로 서로 비교하였다. 세 검사에서 모두 양성을 보이거나 추적검사상 병변이 커지거나 조직검사 및 기타 검사에서 양성을 보일 때를 재발이라고 정의하여 세 검사방법의 판독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궁경부암군과 난소암군으로 나누어 PET와 복부 CT 종양 표지자에 대한 진단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및 음성예측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재발로 진단된 예는 37예였다. 자궁경부암에서 재발로 진단되었던 경우가 11예(9명)였으며 민감도는 각각 100%(11/11), 54.5%(6/11), 81.1%(9/11)로 PET가 가장 높았고, 특이도는 각각 93.6%(29/31), 93.6%(29/31), 100% (31/31)로 종양표지자가 가장 높았다. 난소암의 재발 진단은 26예(15명)였으며 민감도는 각각 96.2%(25/26), 84.6% (22/26), 80.8%(21/26)로 PET가 가장 높았고, 특이도는 세 검사에서 94.3%(33/35)로 동일하였다. CT에 비하여 PET에서 복강내 전이를 6예를 더 진단하였고 4예의 종격동임파절 및 폐전이를 더 진단할 수 있었으며 2예의 쇄골상와임파절과 1예의 액와임파절의 전이를 더 진단하였다. 재발환자의 분석에서 PET는 복부 외 장기의 재발을 발견할 수 있었고 복부내 재발의 경우에도 CT보다 더 민감하게 재발부위를 찾을 수 있었던 반면 CT의 도움 없이는 정확한 위치 측정이 어려웠다. CT는 잔여종양과 양성섬유화의 구분 및 조직간의 경계부위에서 종양의 구분이 어려웠고 복부 이외 장기의 전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PET는 자궁경부암과 난소암 진단에서 CT에 비해 적용 부위가 크고 조직 대조도가 커 민감도가 높은 검사법으로서 치료 후 잔여 종양의 여부나 재발을 진단하는 데 필수적이 검사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난소암 세포주의 CD44 발현에 미치는 Cucurbitacin-I의 효과 (Cucurbitacin-I, a Naturally Occurring Triterpenoid, Inhibits the CD44 Expression in Human Ovarian Cancer Cells)

  • 서희원;김진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33-737
    • /
    • 2018
  • 박과 작물에 함유되어 있는 tetracyclic triterpene 성분 중 하나인 쿠쿠르비타신(cucurbitacin)-I는 대장암, 유방암, 간암세포에서의 항종양 활성이 밝혀져 있으나 난소암에서의 쿠쿠르비타신-I의 역할은 보고된 바 없다. CD44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생체 내 리간드인 glycosaminoglycan hyaluronic acid를 통해 세포 외부 매트릭스와 다른 세포와의 접촉을 매개한다. 최근 연구에 의해 CD44의 발현이 난소암세포의 증식 및 세포 부착과 침윤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D44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난소암의 진행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쿠쿠르비타신-I가 난소암세포의 CD44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인간의 난소암 세포인 SKOV-3를 이용한 MTS assay를 수행한 결과, 쿠쿠르비타신-I는 100 nM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의 쿠쿠르비타신-I를 SKOV-3 세포에 처리하여 Western blot 분석과 qRT-PCR을 수행한 결과, 쿠쿠르비타신-I에 의해 CD44의 단백질과 mRNA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쿠쿠르비타신-I에 의한 CD44의 발현 억제가 $NF-{\kappa}B$와 AP-1의 인산화 감소에 기인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쿠쿠르비타신-I가 CD44 발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는 난소암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재로서 쿠쿠르비타신-I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Indole-3-carbinol에 의한 OVCAR-3 인체 난소암세포의 침윤 억제 (Inhibition of Cell Invasion by Indole-3-Carbinol in OVCAR-3 Human Ovarian Cancer Cells)

  • 최영현;김성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23-93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식물체에 널리 분포하는 indole-3-carbinol (I3C)에 의한 OVCAR-3 인체 난소암세포의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 가능성과 이와 연관된 기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I3C에 의한 OVCAR-3 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의 이동성 억제와 연관이 있었으며, 이를 wound healing 및 matrigel invasion assay로 확인 하였다. 아울러 I3C 처리에 의하여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가 증가되었으며, cellular paracellular permeability는 감소되었는데, 이는 I3C 처리에 의해 세포 내 치밀결합(tight junctions, TJs)의 tightness가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RT-PCR 및 immunoblotting 결과에 의하면, I3C는 TJs의 구성 성분이면서 paracellular transport의 선택적 투과성을 조절하는 주요 인자인 claudin-3 및 -4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및 -9의 활성이 I3C 처리에 의하여 매우 억제되었는데, 이는 그들의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 감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따라서 I3C에 의한 OVCAR-3 난소암세포의 침윤성 억제는 TJs 기능의 강화와 MMP 활성의 저하가 주요 인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Does Microinvasive Adenocarcinoma of Cervix Have Poorer Treatment Outcomes than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 Ruengkhachorn, Irene;Hanamornroongruang, Suchanan;Leelaphatanadit, Chairat;Sangkarat, Sut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8호
    • /
    • pp.4013-4017
    • /
    • 2016
  • Background: To compare the pathological findings and oncologic outcomes of stage IA cervical carcinoma patients, between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cas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51 medical records of stage IA cervical carcinoma patients undergoing primary surgical treatment during 2006-2013 were reviewed. Information from pathological diagnosis and recurrence rates were compared wit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Kaplan-Meier method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ere used for survival analysis. Results: The median age was 48.9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ates of lymph node, parametrium, uterine, vaginal, or ovarian metastasis, when comparing adenocarcinoma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verall recurrence rates of adenocarcinoma (5.7%) and squamous cell carcinoma (2.6%)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even when stratified by stage. When comparing progression free survival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adenocarcinoma had an HR of 0.448 (0.073-2.746), p=0.386. Conclusions: Microinvasive adenocarcinoma of cervix has similar rate of extracervical involvement and oncologic outcomes to squamous cell carcinoma.

부인암 환자의 성기능 조사 (Sexual Functioning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 전나미;박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8-315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sexual functioning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Method: Sexually active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without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were recruited in Seoul, Korea from a university medical center.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n anonymous mail-back survey on their sexual functioning. Result: One hundred eighty four women completed questionnaires. Their mean age was 51.0 years and 96.2% lived with their husbands.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cervical cancer(53.8%), ovarian cancer (27.7%), or endometrial cancer(18.5%). Sexual functioning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was relatively low, 15.4, in comparison to Rosen's cutoff scores of 26.6. Un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age, employment status, and their monthly inc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xual functioning. Tumor staging, treatment modality,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s with women's sexual functioning. Sexual arousal, orgasm, and pain were affected by time since last treatment. Conclusion: Sexual counselling or education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should be considered by medical professionals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cluding sexual functio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