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arian dysgerminom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난소배세포종(Ovarian Dysgerminoma)의 방사선 치료 (Radiation Therapy of Ovarian Dysgerminoma)

  • 장재천;서창옥;김귀언;박창윤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권1호
    • /
    • pp.111-118
    • /
    • 1983
  • To evaluate natural history of ovarian dysgerminoma and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reatment of ovarian dysgerminom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in 5 nonirradiated cases and 20 irradiated cases.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Radiation therapy is essential in treatment of ovarian dysgerminoma. 2. Even in stage 1 a, significant recurrence rate is expected in surgery only group. 3. Even in recurrent cases, if adequate radiotherapy is given in stage 1-3, we can predict near complete curability and in stage 4, we can get considerable benefit. 4. Dysgerminoma beyond stage 2 is highly fatal without radiotherapy. 5. Involved field irradiation including whole abdomen and booster RT on bulky tumor area is sufficient in radiotherapy of stage 1, 2, 3, without paraaortic node involvement. Further mediastinal and supraclavicular irradiation is indicated in stage 4 or stage 1, 2, 3, with paraaortic involvement. 6. If b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was done. Elective irradiation is recommended in any condition because preservation of ovarian function is not further needed. 7. In cases of small encapsulated stage 1a, We can delay post op. RT under close observation in order to preserve fertility.

  • PDF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s of Ovarian Dysgerminoma)

  • 정은지;서창옥;성진실;금기창;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21-228
    • /
    • 1996
  • 목적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방법, 국소 제어율, 치료 실패 양상, 생존율 등 치료 성적을 분석해 보고,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13 환자들에서의 적절한 치료 방침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5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연세 의대 신촌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터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34명의 난소 미분화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예의 gonadoblastoma(46,XY)와 3예의 혼합 배세포종(mixed germ cell tumor)을 제외하고 나머지 순수 미분화세포종(pure dysgermlnoma) 환자 29예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치료 방법에 따라 두군으로 나누어 성적을 분석하였다. 1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21예였고,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군으로 8예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8-39세였고 중앙치는 23세였다. 진단 시 임상 증상은 촉지되는 복부 골반부 종괴가 가장 호발하였다. 병기는 I이 23명으로 $89.3\%$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방사선치료는 병기 I, II에서는 전복부조사 20-25 Gy, 골반부에 축소하여 10-15 Gy 추가 조사하였고 종격동과 쇄골 상부의 방사선치료는 대부분 II기 이상의 진행된 병기에서 20-26 Gy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추적 관찰 중앙치는 80개월(13-201개월)이었다. 결과 :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인 1군(21예)은 전원 국소제어 및 무병 생존중이었다.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8예인데 이중 6예에서 국소 재발지 발생하여 4예는 구제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1예는 항암화학요법을 1예는 재수술만 시행 받았다. 구제 치료 결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4예중 3예, 항암화학요법 받은 1예 및 재수술을 받은 1예는 완치되었으나, 1예만 암종증(carcinomatosis)으로 진행되어 방사선치료후 11개월에 사망하였다. 그러므로 29예 전체의 5년 국소 제어율 및 5년 생존율은 $96.6\%$(28/29)였다. 일측 난소에 국한된 병기 la 환자 13예 중 7예는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들은 전원 국소제어 되어 20-201개월간(중앙치 80개월) 무병 추적 관찰 중이나, 수술로 일측 난소난 관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없이 지내던 6예의 환자 중 5예에서 재발하였으나 이들 모두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재수술 등의 구제치료에 성공하였다. 즉 13예의 병기 la 환자 전원이 20-201개월간 무병 생존 중이다. 결론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부가함으로 종양의 크기, 병기, 수술법에 관계없이 $100\%$ 국소 제어율 및 $100\%$ 5년 생존율을 획득하였다. 수술후 재발한 경우라도 암종증(carclnomatosis)이나 복부 이외의 장기에 원격 전이가 없다면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또는 재수술로 구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la 환자에서는 보존적 수술인 일측 난관난소절제술만 시행하고 추적 관찰하는 것도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겠다.

  • PDF

도축 젖소에서 발생한 악성 난소생식세포종 증례보고 (A case of malignant dysgerminoma in a slaughtered dairy cow)

  • 정지열;허지웅;정예지;구경녀;최권락;소병재;윤순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49-152
    • /
    • 2015
  • An abnormally enlarged right ovary and a mass in fat surrounding the right kidney were discovered in a dairy cow during routine postmortem examination at slaughter. The ovary was dark reddish and multinodular in shape. Numerous cystic structures were identified in the mass. Histopathologically, the ovary was completely replaced with large, uniform, polyhedral neoplastic cells containing vesicular nuclei and prominent nucleoli. The mitotic index was high. In the lymphatic vessels, tumor emboli were observed. Another mass in the fat surranding the right kidney had the same histological features as the ovarian mass. This animal was diagnosed with malignant dysgerminoma and metastasis to other peritoneal organs.

난소 미분화배세포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 of Ovarian Dysgerminoma)

  • 신성수;박석원;신경환;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79-385
    • /
    • 1997
  • 목적 : 난소 미분화배세포종은 젊은 가임기 여성에 발생하며 방사선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 복식자궁전적출술 및 난관난소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통상적인 치료 방법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이전에 서울내학교병원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친료 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0년 8월에서 1991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16명의 환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2명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추적기간은 51개월에서 178개월로 중앙값은 99개월이었다. 연령분포는 11세부터 42세로 중앙값은 22세이었다. 병기별 분포는 IA기 3명, IC기 8명, 11기 2명, 111기 3명이었다. 1명의 환자에서 Turner's syndrome이 동반되어 있었다. 방사선치료는 6 MV와 10 MV 선형가속기나 Co-60 원 격치료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전 복부에 1950-2100cGy(중앙값=2000cGy)후 골반부에 1050-2520cGy를 추가하여 골반부에 총 3000-4500cGy(중앙값=3500cGy)를 조사하였다. 5명의 환자에 서는 대동맥임파절 부위에 900-1500cGy를 조사하였고, 대동맥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1명에서는 1620cGy후 전이 부위에 900cGy를 추가하여 총 4470cGy를 조사하였다. 대동맥 임파절 전이가 있었던 1명을 포함한 5명의 환자에서는 종격동 및 쇄골 상부에 2520cGy를 조사하였다. 절제가 불가능하여 방사선치료만 받은 2명의 환자는 111기 1명과 좌측 쇄골상 임파절 전이가 동반된 IV기 1명이었다. III기 환자에서는 전 복부에 2000cGy후 골반부에 2070cGy, 대동맥 임파절에 2450cGy를, IV기 환자에서는 전 복부에 2000cGy후 골반부 및 대동맥 임파절에 2400cGy, 종격동에 2520cGy 그리고 좌측 쇄골 상부에 3550cGy를 조사하였다. 결과 : 난관난소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의 5년 국소 치유율은 $100\%$이었으며 종격동 조사를 시행하지 않은 131기 환자 1명에서 종격동 전이가 발생하였으나 항암화학요법으로 치유되어, 전체 환자에서의 5턴 생존율은 $100\%$를 보였다. 방사선치료만 받은 2명의 환자는 각각 112, 155개월간 무병 생존하고 있다. 결론 : 난소 미분화배세포종에 있어서 난관난소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는 물론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의 방사선치료의 완치율은 매우 높았다. 그러나, 방사선만 아니라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치유율이 높으므로 난소의 기능을 보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항암화학요법에 저항성이 있거나 치료 후에 재발된 경우에 방사선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PDF

난소 악성 생식세포종의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of Malignant Ovarian Germ Cell Tumors)

  • 변우목;조길호;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417-422
    • /
    • 1993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난소 악성 생식세포종으로 확진된 12례를 대상으로 CT 소견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내배엽동 종양은 낭성 종괴내 일부 고형조직과 격막이 혼재되어 있는데 반하여 미성숙 기형종은 비교적 특징적인 지방조직과 석회화가 보였고, 미분화 세포종은 비록 1례지만 전형적인 낭성 종괴가 없는 고형 조직으로 충만하였다. 그러나 혼합 생식 세포종은 2종이상의 생식 세포종이 혼합된 종양이므로 특징적인 CT 소견없이 혼합된 종양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모든 종양들의 크기는 11cm에서 33cm의 비교적 컸다. 결론적으로 젊은 여성에서 큰 난소 종양이 있을 때 CT 영상에서 그 조직성상을 분석하면 그들의 감별진단이 가능하리라고 생각되었다.

  • PDF

Outcomes of Malignant Ovarian Germ-Cell Tumors Treated in Chiang Mai University Hospital over a Nine Year Period

  • Neeyalavira, Vithida;Suprasert, Prapapor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4909-4913
    • /
    • 2014
  • Malignant ovarian germ cell tumors (MOGCT) are rare neoplasms that most frequently occur in women at a young reproductive age. There have been limited data regarding this disease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We therefor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outcomes of MOGCT treated at our institute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12. Seventy-six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is period with the mean age of 21.6 years and 11.8% were pre-puberty. The two most common symptoms were pelvic mass and pelvic pain. Two-thirds of the studied patients presented at an early stage. The most common histology was immature teratoma (34.2%) followed by endodermal sinus tumor (28.9%), dysgerminoma (25%), mixed type (10.5%) and choriocarcinoma (1.3%). Over 80% of these patients received fertility sparing surgery and about 70%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with the complete response rate at 73.3% and partial response at 11.1%. The most frequent chemotherapy was BEP regimen (bleomycin, etoposide, cisplatin). With the mean follow up time at 56.0 months, 12 patients (15.8%) developed recurrence and only an advanced stage was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The ten year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rate of our study were 81.9% and 86.2%, respectively. In conclusion, MOGCT often occurs at a young age. Treatment with fertility sparing operations and adjuvant chemotherapy with a BEP regimen showed a good outcome. An advanced stage i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recurrence.

소아에 발생한 악성 난소 종양 (Malignant Ovarian Tumor in Children)

  • 신혜아;김대연;조민정;김태훈;김성철;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34-142
    • /
    • 2010
  • Malignant ovarian tumors in children are very rare, and consist of about 1 % of all childhood malignant tum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for children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who had been treated surgically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1989 and March 2009. There were 32 patients, ranged in age at surgery from 2 to 15 years (mean; 10.4 year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4.7 months (from 1 month to 188 months). Pathologic diagnosis were; immature teratoma (n=10), mixed germ cell tumor (n=10), and dysgerminoma (n=6). Tumor stage was classified by the staging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The number of patients in stage I, II, III, and IV were 24 (75 %), 2 (6.2 %), 4 (12.5 %), and 2 (6.1 %), respectively. The tumor recurred in 4 patients. Seven patients of group 1 did not receiv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in three of them, the tumor recurred. Twenty-five patients (group 2) underwe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there was only one recurrence. One patient who did not receiv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expired 10 months after operation because of tumor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The overall 5-year event free survival (EFS) was 84.2 %: group 1 in 44.4 %, and group 2 in 95.7 %. Tumor recurrence was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p=0.004). In conclusion, proper surgical procedures with releva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might improve clinical results in children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 PDF

8-year 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Lymph Nodes Metastasis, Oncologic and Pregnancy Outcomes in Apparent Early-Stage Malignant Ovarian Germ Cell Tumors

  • Chatchotikawong, Usanee;Ruengkhachorn, Irene;Leelaphatanadit, Chairat;Phithakwatchara, Nisara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4호
    • /
    • pp.1609-1613
    • /
    • 2015
  • Purpose: To determine the rate of lymph node metastasis, oncologic and pregnancy outcomes in apparent early-stage malignant ovarian germ cell tumor (MOGCT). Materials and Methods: Medical records of apparent early-stage MOGCT patients undergoing primary surgical treatment at Siriraj Hospital, Bangkok, Thailand,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3,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irty-eight patients had apparent stage I-II MOGCT. The mean age was $22.1{\pm}7.7years$ (median, 20.8 years; range, 7.7-35.6 years). The mean tumor size was $17.8{\pm}6.5cm$ with a median of 20 (range 4-30) cm. Three most common histopathologies were dysgerminoma (12 patients, 31.6%), immature teratoma (12 patients, 31.6%), and endodermal sinus tumor (6 patients, 15.8%). Twenty-seven of 38 patients underwent lymphadenectomy; 13 patients (48.2%) were stage IA and 8 patients (29.6%) were stage IC. The rate of retroperitoneal nodes metastasis was 7.4% (2/27 patients). At 26.1 months of median follow-up time (range 1.9-88.5 months), 9 patients retained fertility functions, with uneventful pregnancies in 3 of these. Only one patient (2.6%) had progression of disease at 4.9 months after surgery. The 5-year survival rate was 97.4%. Conclusion: As the rate of pelvic or para-aortic node metastasis in MOGCT is considerable, lymphadenectomy should be incorporated in surgical staging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