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side Space Composition Elemen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지식산업센터 배치유형과 외부공간구성 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 구로구와 금천구 준공업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Changes in Knowledge Industrial Center Layout Planning Types and Outside Space Composition Elements -Focusing on Guro-gu and Geumcheon-gu in semi-industrial district in Seoul-)

  • 이상균;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44-6353
    • /
    • 2014
  • 지식산업센터는 제조업의 공장 중심에서 산업과 사회의 변화로 지식기반 및 정보통신 등 다양한 용도를 포함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 관련 제도를 바탕으로 세 시기로 구분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배치유형과 외부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배치와 외부공간계획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1999년 이전에는 차량중심으로 건물배치가 이루어졌지만 대지의 형태에 따라 중앙배치, 편측배치로 이루어졌다. 둘째, 분산배치는 저층부인 지원시설을 통합하고 고층부 공장동을 분산배치하여 부분통합배치로 건물의 단일화가 이루어졌다. 셋째, 1999년 개정된 건축법에 의해 준공업지역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시작으로 외부공간이 넓어지고 건축면적이 줄어들면서 외부공간구성이 오피스나 오피스텔과 같은 업무시설의 계획기법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다.

마사치오의 "삼위일체" 벽화에서 나타난 공간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The Holy Trinity" Fresco Painted by Masaccio)

  • 김석만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6호
    • /
    • pp.7-2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rom the "The Holy Trinity" fresco painted by Masaccio in the early Renaissance pain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levation composition of the "The Holy Trinity" fresco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structure through horizontal axis on horizontal line around vanishing point. The upper structure is composed of vertical axis formed through the disposition of the "Trinity" elements and horizontal axis on horizontal line. The lower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sarcophagus and skeleton in such inside and the altar supported through circular columns of left and right. 2. The section composition of the "The Holy Trinity" fresco is composed of the ceiling structure of cylindrical-shaped vault on upper part around basic square floor plan that is interior space and upper structure. The exterior space and lower structure is placed with sarcophagus in inner part that altar and step is projected as same height and width in the outside direction. 3. The basic floor composition of the "The Holy Trinity" fresco is planned by square shape around structural columns that is placed at corners as symmetry through transverse, longitudinal and diagonal axis. The whole floor composition planned through the altar and step that is in exterior space at front, the apse of round form at rear part and the structure of the middle story concept at interior. 4. The visual aspect of the "The Holy Trinity" fresco is composed of the stable balance in relation with distance and height because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 as well as the upper structure and lower structure is formed by regular proportion system. The elevation angle of visual range was planned to view in detail generally or partially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system and element, characters through proper visual distance, center and position.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유소니언 주택 평면의 공간 개념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the Space Concept of Usonian House Floor Plans of Frank Lloyd Wright)

  • 황용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2-2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eral patterns of the floor plans and space of Usonian house which designed by Frank Lloyd Wright. this the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F.L.Wright's houses mostly used simple geometric shapes as the basis for most of his architectural designs. In his early works, his typical floor plans were square or rectangular shapes, which gradually were transformed into various kinds of shape to make the adjustment of location of the site and shape. 2) The general patterns of floor plans of his U-houses were L-shaped or straight shaped using a $4{\times}4$ grid system. Most of U-houses consisted of 3 space: living room, workspace(Kitchen) & dining, and bedroom. Among them, a workspace worked as core role in each house. 3) Even though solid wall is the opposite concept of the transparent glass but most U-houses were designed to have solid walls on one side to provide a gallery space(to secure habitability of resident) and transparent glass walls used on the other side to connect between interior space and natural space of exterior. 4) The cantilever have not been used before Usonian house but F.L.Wright used it which take charge of functions as transfer space between inside space and outside space. 5) F.L.Wright saw the nature as a truth, so he thought the interior space would be natural and all houses must be able to adjust to the natural environment.

아산(牙山) 외암(外岩)마을의 주거변화(住居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1988년 전통건조물보존지구 지정 이후 2001년까지-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Oe-am Folk Village -From 1988 to 2001 (after Designated as a Traditional Preservation Area) -)

  • 이왕기;이강복;최홍기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3호
    • /
    • pp.77-91
    • /
    • 2001
  • The study is the analysis on Oe-am village which is designated as a folk-preservation village in 1988 and is included in the fact of the dwelling change through Spot-Survey and Case-Investigation in the last decade from now(2001), The result shows the main change on the stand-up dining room installation, the place with the boiler and bathroom installation, the additional expan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mall twice or third space, the using change, the prototype restoration.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shown the following. 1. There is the dual structure that the villager repairs that because the repairing operation is biased the prototype restoration since the government construction. 2. The internal change is come from more at thatched house than at tiled house and the order of the main element's change is Kitchen (35%), main room (30%), living room (24%) and other rest room (11%). 3. The change of the dining room in the internal composition material is the strongest and the change is included in the using change, the installation of the new sub-division in the spot and the expansion of the outside if necessary. The reason of the main change is life-style's. Therefore we can know the change of the dwelling structure and we are able to make a modern-life. Also, If the restoration or repair is necessary, the change element on that must be considered.

  • PDF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조영 및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Munam Pavilion in Changnyeong(聞巖亭))

  • 이원호;김동현;김재웅;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41
    • /
    • 2014
  • 본 연구는 창녕 문암정(聞巖亭)의 역사문화적 가치 및 원형을 구명하기 위하여 문집, 기문 등의 문헌분석과, Arc-GIS를 바탕으로 조영실제 및 입지와 공간구성, 경관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문암정의 조영자는 문암 신초(辛礎, 1549~1618)로 자연에 귀의하고자하는 조영자의 자연관을 알 수 있었으며, 문암정의 조영시기는 벼슬에서 물러나 문암정을 조성하고 소영하였다는 내용이 나타나는 1608~1618년도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문암정은 주변 산지에 위요되어 있고, 급경사지에 형성된 성곽과 같은 고립지형 정상부에 문암정을 조성하였다. 문암정은 별서로서 그 지역의 명승으로 인식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문암정 주변의 마을진입로의 교량과 계성천의 석축, 보, 주변 농경지의 시설 및 주택 등으로 인하여 과거의 조망경관이 훼손된 상태이다. 셋째, 문암정은 문암정이 위치한 중심공간과 문암정 동 서측에 위치한 진입공간, 영정각을 중심으로 하는 배향공간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문암정의 원형은 문암정과 문암바위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로, 현재의 진입동선과는 달리 조성 당시에는 직접적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문암정의 공간구성요소는 배롱나무 수림, 점경물로서의 각자바위, 그리고 정자 건조물로 구분되어진다. 문암정 일원의 식생은 경내와 경외로 나뉘어, 경내는 매우 제한적인 식재가 이루어졌으며, 경외는 전면의 배롱나무 수림과 후면의 송림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중, 대규모의 배롱나무 군락은 조영자와 결부된 희귀한 역사기록 종 자원으로의 자연유산에 해당한다. 각자바위는 문암정 건조물과 인접하여 공간의 영역성을 표현하고 있으며, 조영자와 관련된 경물로 작용하고 있고, 한 가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기록행위의 하나로 문암정 전면의 각자바위군(群)은 일정한 방향성과 규범을 가지고 시기별로 조성된 보기 드문 사례이다. 다섯째, '문암팔경'은 방위에 따라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가 4개소, 방위에 따른 경관요소가 4개소로 나타났다. 방위와 관계없는 경관요소로는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 문암정 후면 송림, 옥천계곡, 관룡사 대흥사이다. 방위와 관계한 요소 중 절대방위에 해당하는 요소로는 대흥사, 화왕산, 계성천, 영취산으로 판단되며, 상대방위로는 관룡사, 영취산, 옥천계곡, 공지기고개로 판단된다. 이 중 현존하는 대상은 창녕 사리 배롱나무 수림과 문암정 후면 송림, 계성천 옥천계곡 등이 있으며, 이외의 경관요소는 명확한 장소와 대상의 추정이 불가능한 일반적 팔경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현재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문암정은 문암 신초가 말년에 난세를 피하여 자연에 은거하기 위해 조성된 정자로, 정자와 관련된 문암집과 문암충의록 등 조영관련 기록이 남아 있으며, 독특한 형태를 나타내는 정자의 입지와 각자바위를 통한 기록문화, 대규모의 배롱나무 노거수 군락, 팔경의 경영을 통한 문화경관적 요소가 남아있는 곳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