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ter medullary collecting tubul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Endothelin Increases Intracellular Free Calcium in Isolated Rat Nephron

  • Cha, Seok-Ho;Cho, Young-Jin;Lee, Kweon-Haeng;Endou, Hitoshi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5호
    • /
    • pp.565-572
    • /
    • 1997
  • In the freshly isolated rat nephron, the effect of endothelin-1, -2 and -3 (ET-1, -2 and -3) on cytosolic free calcium concentration ($[Ca^{2+}]_i$) was determined using the fluorescent indicator Fura-2/AM. $[Ca^{2+}]_i$ increase was investigated in 9 parts of the single nephron including glomerulus (Glm), $S_1,\;S_2,\;S_3$, cortical and medullary thick ascending limb and cortical (CCT) and outer medullary collecting tubule (OMCT). Endothelins increased $[Ca^{2+}]_i$ in Glm (ET-1; $127{\pm}17%$, ET-2; $93{\pm}5%$, ET-3; $169{\pm}17%$), CCT (ET-1; $30{\pm}6%$, ET-2; $38{\pm}19%$, ET-3; $158{\pm}18%$) and OMCT (ET-1; $197{\pm}11%$, ET-2; $195{\pm}11%$, ET-3; $215{\pm}37%$) at 10-7 M. In OMCT, ET-1 and ET-2 increased $[Ca^{2+}]_i$ in a dose-dependent manner ($10^{-10}{\sim}10^{-6}$ M). To the contrary, ET-3-induced $[Ca^{2+}]_i$ rise was begun from $10^{-12}$ M. BQ-123Na, an antagonist of ETA receptor, at $10^{-4}$ M inhibited about 30% of $[Ca^{2+}]_i$ rise induced by ET-1 and -3. Binding experiments using $[^{125}I]ET-3$ showed the existence of $ET_B$ receptor in OMCT. This binding was replaced by ET-1, ET-2 or ET-3 by the almost same degree but not by angiotensin II or vasopressin.

  • PDF

분화중인 흰쥐 콩팥의 요세관에서 nNOS의 발현 (Expression of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in Developing Rat Kidney)

  • 송지현;류시현;김진;정주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2호
    • /
    • pp.141-148
    • /
    • 2008
  • Nitric oxide는 콩팥에서 혈류의 조절, 사구체 혈액역동학 및 요세관의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로서 최근 세포의 주기조절, 유사분열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발생중인 콩팥에서의 nNOS의 발현은 성체와는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생중인 콩팥에서의 발현 양상 및 발현시기 등에 대해서 알려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생중인 콩팥을 이용하여 분화중인 요세관에서 nNOS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성체에서 nNOS의 면역반응성은 사구체 보우만주머니의 벽측상피와 치밀반, 내림가는부분 및 수질집합관에 발현되었다. 발생중인 콩팥에서는 임신 15일에 처음 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부위는 원위세관의 굵은오름부분이었다. 임신 20일에서 출산후 14일까지 새로이 형성되는 요세관의 굵은오름부분에서 관찰되었으나, 분화를 마친 요세관에서는 그 발현 양상이 감소하였다. 출생후 21일경에는 최종적으로 치밀반에만 국한되어 발현되었다. 속수질에서는 내림가는 부분과 속수질 집합관에서 발현되었으며 그 양상은 수질 중간부위에서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시작부위와 말단부위에서는 약하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굵은오름부분에서의 nNOS의 발현은 요세관의 분화정도와 일치하며 특히 그 발현양상이 분화가 활발한 시기에 강하게 발현되고 분화가 저하된 후에는 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발생중인 콩팥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