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ter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7초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2-519
    • /
    • 1999
  • 1991년 1월에서 10월 사이 영일만 3개 정점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59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춤양태 (Repomucenus huguenini), 까나리 (Ammodytes personatus),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가 개체수에서 우점하였다. 출현종수와 채집량은 겨울에는 적었고, 봄과 여름에 많았으며, 종조성은 정점 간의 차이는 적었고 계절에 따라 변하였다 영일만 저어류의 출현종수, 평균 개체수 ($630 inds./10^3\;m^2$) 및 평균 생물량 ($13,131g/10^3\;m^2$)이 서해나 남해 내만에 비하여 높았고, 종다양성지수도 2.00-2.54로 높았다.

  • PDF

강원도 홍천강 유역에 서식하는 수달의 식이물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ood Items of River Otter Residing in the Hongchon Stream)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91-596
    • /
    • 2012
  • 홍천강 유역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청정지역으로 수생태계의 대표적인 수달이 서식하는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서 서식하는 수달의 서식지분석을 위해 식이물 연구가 수행되었다. 총 478개의 흔적 및 배설물이 사용되었으며, 수달의 식이물 분석 결과 80.5%가 어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류 중 이 지역에서 가장 우점하는 갈겨니(Zacco temminckii)의 식이물이 확인되었으며, 양서류 및 조류가 섭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철 식이물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먹이자원이 여름철에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군업천과 내촌천의 식이물 구성 및 빈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현재 이 지역은 홍천-양양간 고속도로 건설이 진행되는 지역으로 수달 식이물 분석을 통한 인공서식지, 관리방안 도출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계절과 서식지 유형에 따른 국내 Eurasian otter (Lutra lutra)의 스트레스 반응 (Stress Response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Relation to Habitats and Season)

  • 이건주;조현진;나정은;장재민;장진우;이학영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80-90
    • /
    • 202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ess response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stress hormones by using the fresh feces of wild otters in the Gwangju stream and Seomjin river during summer and winter in 2018. We compared seasonal and regional number of spraints (=otters' feces), temperature, altitude, water width, land cover, and water quality with stress hormones. The stress hormone levels were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and significantly different to season and reg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fe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ason and region,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hormone. This study suggested assessing stress hormones as another promising method for the analysis of status of wild otters and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olicy, especially in urban area.

부속구를 부착한 슬롯 만곡형전개판의 성능에 관한 모형실험 (Model Test on the Three-Slot Cambered Otter Board with Accessories)

  • 권병국;고관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2호
    • /
    • pp.71-77
    • /
    • 1994
  • A serious of study is carried out to practical use of the three-slot cambered otter board improved by the authors. As the first step, we designed main plates, slots and accessories, such as holding plate, fan-shaped towing plate, normans, center ring, etc. Standing on this design, we made the simple cambered and three-slot cambered model otter board with accessories in a linear scale 6:1. and carried out model test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these boards. The obtain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simple cambered board with accessories, the values of the maximum shear coefficient($C _{LX}$ ). drag coefficient(($C _{D}$) and hydrodynamic efficiency($C _{L}$/$C _{D}$ ) are 1.39, 0.56, 2.48 at $22^{\circ}$ of the angle of stall respectively. 2. On the three-slot cambered board with accessories, $C _{LX}$/$C _{D}$ and $C _{I}$/$C _{D}$ are 1.67, 0.92, 1.82 at $32^{\circ}$ of the angle of stall respectively. 3.$C _{LX}$ of board with accessories is smaller 10~12% than that of only the main plate, and the angle of stall is almost same. 4. $C _{LX}$ and the angle of stall of the three-slot cambered board with accessories are greater 20% and $10^{\circ}$ than that of the simple cambered board respectively.

  • PDF

PIV를 이용한 만곡형 전개판의 유동장 계측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s of Flow Field around Cambered Otter Board Using Particle Image Velocimetry)

  • 박경현;이주희;현범수;노영학;배재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1호
    • /
    • pp.43-57
    • /
    • 2002
  • 본 연구는 고성능 전개판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개판 주변의 유동장을 계측할 수 있는 해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CFD를 이용한 유동장의 수치 해석과 유동장의 정량적, 정성적 계측이 가능한 PIV 실험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전개판 주변의 가시화된 영상을 PIV 기법을 이용한 화상처리로 유동특성을 해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CFD에 의한 해석 결과와 유동 패턴을 비교하였다. 또한, 회류 수조에서의 양력 계수 및 항력계수의 계측 결과를 상호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수치 해석된 결과와 PIV의 실험 결과는 정성적으로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물리적으로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개판의 유동장 분석을 위하여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가시화 실험을 실시하고, PIV 기법으로 화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동입자의 흐름으로도 충분한 정성적인 유체운동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2) PIV해석결과가 정량적인 결과이므로 이를 다양한 후처리 방법을 통해 속도벡터장, 순간 유동장, 평균 와도로 나타내어 유동장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3) 최대전개력계수가 나타난 영각 24$^{\circ}$에서 비교한 CFD와 PIV 해석 결과, 유동 패턴은 유사하였고, 두 경우 모두 전개판 후연에서 약간의 경계층 박리가 발생하였으나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4) PIV에 의한 속도 벡터도, 순간 유선도, 평균 와도로 후처리한 결과, 영각 24$^{\circ}$에서부터 경계층 박리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영각 28$^{\circ}$이상이 되면 심하게 전연으로 발생지점이 이동하게 되고, 그 폭도 확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cology of Otters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Holts in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gion of the Seomjin River

  • Jo, Yeong-Seok;Choi, Byung-Jin;Won, Chang-Man;Kim, Joo-Pill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160-16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prey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the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gion of the Seomjin River.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12-month period from March 2003 to February 2004 by spraints analysis and an investigation using artificial holts. We found seasonal variation in the number of spraints and composition of prey items. Fish were the main prey items throughout the period (82%), and other prey items included birds (14%), amphibians (2%) and arthropods (1%). In addition to prey identification, we investigated habitat utilization by otters through spraints distribution. The traces of otters were discovered in five of the six total artificial holts.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 artificial holts in the study area seemed to be limited as evidenced by the low frequency of traces in the holts.

고대부터 고려까지 모피물에 관한 고찰 (A study on Furs and Feltry from Ancient to Koryo Korea)

  • 이춘주
    • 복식
    • /
    • 제22권
    • /
    • pp.193-204
    • /
    • 1994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urs and peltry were discussed in the terms of usage and kinds from the literature survey of the relevant referenc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duced. From Ancient to Koryo a kind of acient of Korea a lot of furs and peltry were produced and dressed. The leopad of Gochosun Korea was worthy of gold as an expensive goods to China. red dyed pelt of Silla Korea was traded with China and that pelt dyeing tech-nology of that pelt developed. The marten of Koryo was trade to Arabia and an otter skin to Kum Dynasty as loved goods. Korean furs and peltry made a reputation and were used for trading goods with China Japan and Arabia. Tratment technology in Korea became known to foreign country. There is another record that sheep and camels were offered to Koryo by around countries, And that Koryo employed men of Kum Dynasty as a shepherd. From ancient to Koryo Korea had had many kinds of furs of peltry as using goods such as leopard mart otter skin panther bear, manchurian wapili, fox, porpoise rat, mankey, horse, pig, wild bear, goat, cow, cat, dog, tiger, deer, raccoon dog and so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