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oliths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8초

Early overcounting in otoliths: a case study of age and growth for gindai (Pristipomoides zonatus) using bomb 14C dating

  • Andrews, Allen H;Scofield, Taylor R.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53-62
    • /
    • 2021
  • Gindai (Pristipomoides zonatus) is one of six snappers in a management complex called the Deep 7 of the Hawaiian Islands. Little is known about its life history and a preliminary analysis of otolith thin sections indicated the species may exhibit moderate growth with a lifespan approaching 40 years. Preliminary age estimates from the previous study were reinvestigated using the same otolith sections in an attempt to validate those ages with bomb radiocarbon (14C) dating. From the misalignment of birth years for the otolith 14C measurements with regional references - the post-peak bomb 14C decline period - it was concluded that previous ages were inflated from overcounting of the earliest growth zone structure in otolith sections. The oldest gindai was re-aged to 26 years once the age reading was adjusted for early overcounting, 13 years younger than the original estimate of 39 years for this fish. In general, the earliest otolith growth of gindai was massive and complicated by numerous subannual checks. The approach of lumping the early growth structures was supported by the alignment of 14C measurements from otolith core material (first year of growth). The result was greater consistency of calculated birthdates with the 14C decline reference, along with minor offsets that may indicate age estimation was imprecise by a few years for some individuals. The revis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applied to the validated age-at-length estimates revealed more rapid growth (k = 0.378 cf. 0.113) and a lifespan of approximately 30 years. The findings presented here are a case study of how the bomb 14C decline period can be used as a tool in the refinement of age reading protocols.

동해 강원도 연안 임연수어, Pleurogrammus azon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Okhotsk atka mackerel, Pleurogrammus azonus in the coastal of Gangwon-do, East Sea)

  • 양재형;윤병선;김종빈;최영민;박정호;이재봉;박기영;이동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1호
    • /
    • pp.54-64
    • /
    • 2018
  • The age and growth of Pleurogrammus azonus in the coastal of Gangwon-do, East Sea were determined, from monthly samples of commercial catches, caught by the gill net and set net fishery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8. Gonadosomatic index (GSI) began to increase in September, and reached the maximum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After spawning GSI began to decrease from January. The annuli of P. azonus are formed once a year, with the boundary between opaque and translucent zones forming from December to January. The relationships between fork length (FL) and body weight (BW) were $BW=0.005FL^{3.240}$($R^2=0.963$) for females and $BW=0.006FL^{3.238}$($R^2=0.946$) for males. The FLs at annuli formation in otoliths were back-calculated from the otolith-length relationship and were adjusted to von Bertalanffy growth curves to $FL_t=70.54(1-{\exp}^{(-0.099(t+1.188))})$ for females and $FL_t=51.87(1-{\exp}^{(-0.135(t+1.697))})$ for males. Until the age of 3 years, males grew faster than females; however, from the age of 4 years, females grew faster than males. In the future, we want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growth and water temperature changes in the East Sea.

진해만 대구의 부화일 및 초기 성장에 관한 연구 (Spawning Time and Early Growth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Jinhae Bay, Korea)

  • 곽우석;최병언;이소광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0-117
    • /
    • 2012
  • 진해만 대구의 산란기 수온, 부화일과 초기성장을 추정하였다. 2006년부터 2009년 사이 11월에서 5월까지 매월 8개의 정점의 수온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주 산란기의 수온은 $7{\sim}9^{\circ}C$였다. 2006~2008년의 주산란기인 12월에서 2월사이 산란어의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수컷에 비하여 암컷이 유의하게 컸으며, 1월에 최대값을 보였다. 2008년 5~6월에 채집된 치어의 전장은 37.5~94.9 mm ($63.2{\pm}11.0mm$; mean${\pm}$SD) 범위였으며, 이석의 부화 이후 일륜수의 평균(${\pm}$SD)은 5월 17일 표본에서는 $102{\pm}15$, 5월 29일에는 $119{\pm}16$, 6월 3일에는 $116{\pm}18$였다. 이석의 일륜수로부터 추정한 부화일은 12월 하순에서 3월 중순이었으며, 주부화 시기는 1월 하순에서 2월 중순이었다. 부화 이후 일령(t)에 대한 전장(TL, mm)의 성장은 Gompertz 성장식, $TL_t=123.2{\exp}\{-{\exp}[-0.0165(t-81.814)]\}$ ($r^2$=0.93, n=273)로 나타낼 수 있었다.

경북 동해안산 용가자미 (Hippoglossoides pinetorum) 연령과 성장의 재확인 (Reconfirmation of age and growth of the poin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pinetorum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f Gyeongbuk)

  • 정연규;김성태;윤상철;양재형;정경미;오택윤;최광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63-375
    • /
    • 2017
  • The age and growth of pointhead flounder, Hippoglossoides pinetorum caught by gill nets was analyzed in this study from March 2015 to July 2017. New annuli were formed in H. pinetorum otoliths annually, and the boundary was set between the opaque and translucent zones from March and April. The relationships between total length (TL) and body weight (BW) were $BW=0.0025TL^{3.409}$ ($r^2=0.9551$) for females and $BW=0.0057TL^{3.138}$ ($r^2=0.9163$) for males. In this study, the ring of pointhead flounder, H. pinetorum was formed between 3 and 8 for females and between 3 and 6 for males. Total length (TL) and otolith radius (OR) were measured as follows: TL = 7.142 OR + 0.769 ($r^2=0.793$) for females and TL = 6.498 OR + 1.706 ($r^2=0.652$) for males. The mean distances of first ring ($r_1$) were 0.92 mm and 0.91 mm for females and males respectively. The TLs at the time of annulus formation, back-calculated from the otolith-length relationship by reference to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s, were $L_t=43.59(1-e^{-0.15(t+0.007)})$ for females and $L_t=28.13(1-e^{-0.26(t+0.006)})$ for males while the growth between female and male was different.

한국 남해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in the South Sea of Korea)

  • 김영혜;이선길;이재봉;이동우;김영섭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4
    • /
    • 200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어종 중의 하나인 참조기의 이석을 이용하여 최근 어획되는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참조기의 이석은 제주도 근해에서 쌍끌이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것으로 2002년 3월부터 12월 자료와 2005년 1, 2월 자료이다. 사용된 개체수는 1,175미였고, 연령사정에 이용된 개체수는 506미였다. 체장의 범위는 16.3~26.9 cm였으며, 연령은 수컷이 7세, 암컷이 8세까지 나타났다. 참조기의 전중 (Body Weight)와 체장 (Total Length)의 관계는 $BW=0.0044TL^{3.2502}$ ($R^2=0.97$)이었고, 암 수별로 체장에 대한 전중의 차이가 있었다(P<0.05). 참조기의 연령에 대한 체장 자료의 오차구조를 확인한 결과 합의 오차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참조기의 성장식은 von Bertalanffy model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비직선회귀 (non-linear regression)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참조기의 성장식은 TL=33.88 ($1-e^{-0.20\;(t+2.39)}$ ($R^2=0.77$)이었다. 암 수간의 연령에 대한 체장의 상대성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연어과 어류의 계군분석을 위한 기생충의 활용 (Use of Parasites for Stock Analysis of Salmonid Fishes)

  • 김정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2호
    • /
    • pp.112-120
    • /
    • 2007
  • 본 총설에서는 연어과 어류의 계군 분석을 위한 생물학적 표식으로서의 기생충의 유용성에 관하여 다루었다. 계군의 정의는 학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본질적으로 서로 유사한 생물학적 특징을 가지며 타 계군과의 혼합 없이도 스스로 번식이 가능하여 일정한 규모를 유지할 수 있는 일련의 개체들의 모임을 계군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계군을 관리하는 일은 지속적인 생산 및 소비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며 특히 연어과 어류의 계군은 각국이 지속적인 자원 확보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치어를 방류하고 있으며, 이는 각국의 자산으로 간주되므로 공해 상에서 계군을 구분하여야 한다. 계군을 구분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인공 표식, 기생충과 같은 생물학적 표식, 이석 분석, 비늘 분석, 유전정보 분석 등의 방법이 있는데, 각각 장점과 단점이 있으며, 이 중에서 기생충과 같은 생물학적 표식은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기생충이 존재하는 수역을 감수성이 있는 어류가 통과할 때 이 기생충에 감염이 된다. 이후, 감염된 어류가 이동하여 기생충이 존재하지 않는 수역에서 포획될 경우, 이 개체가 기생충이 존재하는 지역을 통과하였음을 유추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이 개체는 기생충에 의해 자연히 표식되는 셈이 된다. 그러나 이 지역을 통과하지 않는 개체는 기생충에 의해 표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생물학적 표식을 통해 각각의 계군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동 경로도 추적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연어과 어류 연구를 목적으로 기생충을 생물학적 표식으로 사용한 각종 예를 들었으며, 이 방법의 장점 및 단점 또한 서술하였다. 연어(Oncorhyunchus keta)는 국내에 소상하는 주된 연어과 어류이며, 북태평양 전역에 분포한다. 한국산 연어는 오호츠크해를 거쳐 북서태평양 및 베링해로 이동한 후 회유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한국산 연어의 공해 상에서 분포 및 회유 경로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으며 한국산 연어 계군을 타 계군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표식도 아직까지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에서는 기생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한국산 연어의 계군 분석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관하여 마지막으로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