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motic stabilize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의 원형질체 분리 및 재생 (Protoplasts Isolation and Reversion of Fomitella fraxinea)

  • 김경수;유창현;공원식;김영호;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75-280
    • /
    • 1998
  • 장수버섯(Fomitella fraxinea)의 원형질체 분리와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포벽 분해 효소 종류별 원형질체 분리 시험을 수행한 결과 장수버섯 ASI 17001은 Novozym 234+Cellulase onozuka R-10+${\beta}-Glucuronidas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원형질체 분리율이 $8.9{\times}10^4/ml$로 가장 높았다. 원형질체 분리시 사용하는 삼투압 조절제로는 0.6 M sucrose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처리시간은 3시간이 가장 양호하였다. 원형질체 재생율은 0.6 M sorbitol에서 0.02%로 다른 조절제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KCl는 전혀 재생이 되지 않았다.

  • PDF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from Young Hyphae of the Citrinin Producing Fungus Monascus ruber

  • Norlha, Tenzin;Lee, I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43-546
    • /
    • 2005
  • Optimized conditions for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from young hyphae of Monascus ruber were established. Heat shock treatment of spores gave rapid and synchronized germination. Spores collected from cultures grown for 7-8 days at $30^{\circ}C$ were germinated until over 70% germ tubes reached to 3-5 spore length. Enzymatic digestion of young hyphae was optimal with 50 mg/mL Glucanex in 0.1 M sodium citrate buffer containing 0.8 M mannitol as an osmotic stabilizer. Regeneration rate was around 10% when 0.8 M sorbitol was used as an osmotic stabilizer in regeneration medium. These conditions will be applied in genetic study of M. ruber that produces citrinin at high level and thus is good model strain for molecular genetic dissection of citrinin biosynthesis.

느티만가닥 버섯의 원형질체 분리와 재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toplast Isolation and Regeneration of Lyophyllum ulmarium)

  • 최혜진;김병각;현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49
    • /
    • 2003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proper conditions for protoplast isolation and regeneration from the mycelia of Lyophyllum ulmnrium. Protoplast isolation and regeneration are influenced by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enzyme, osmotic stabilizer, reaction time and age of mycelia. A combination of Novozyme 234 (10mg/ml) and cellulase Onozuka R-10 (10 mg/ml) with 0.6 M $MgSO_4$ was most effective for isolation of the protoplasts. The optimum reaction time of the mycelia with the lytic enzymes was 3.5~4 hours at $28^{\circ}C$ in shaking condition at 120 strokes per min. High yield of the protoplasts were obtained from its 4~5 days old mycelia on complete agar media. Its protoplasts were regenerated to normal hyphae. Regeneration media with 0.6 M sucrose were proper for regeneration of the protoplasts. Their regeneration frequency on complete agar media was 2.3~2.7%.

Autolytic Enzyme을 이용한 Rhizopus oryzae의 원형질체 생성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Protoplast Induction by Autolytic Enzyme of Rhizopus oryzae)

  • 이영하;최영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3-280
    • /
    • 1986
  • Rhizorus oryzae의 생장 및 autolysis에 따른 여러가지 autolytic enzymes의 활성도 변화와 이 autolytic enzyme system을 이용한 원형질체 생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Autolytic·phase의 culture filtrate 내에 함유된 autolytic enzyme은 Rh. oryzae 균사체로부터의 원형질체 생성에 효율적인 세포벽 분해효소로 작용하였으며 Autolytic enzyme중 원형질체 생성은 proteolytic 및 chitosanase activity와 가장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이와같은 autolytic enzyme을 이용한 원형질체 생성은 10시간 배양한 균사체에 0.5M mannitol을 사용하였을 때 최고의 수율을 보였으며 원형질 생성의 최적온도 및 pH는 각각 $25{\sim}30^{\circ}C$$6.0{\sim}6.5$로 나타났다 한편 18시간 배양된 균사체를 osmotic stabilizer와 aut-olytic enzyme을 1 : 1이 되도록 처리하고 5시간 동안 $30^{\circ}C$에서 incubation하여 얻은 원형질체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효소에 의하여 가수분해되는 세포벽 주변으로부터 원형질체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ellulomonas속 원형질체 재생과 종간 융합조건 (Protoplast Regeneration and Interspecific Fus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배무;조보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3-309
    • /
    • 1988
  • Cellulose를 이용할 수 있는 Cellulomonas속 균주의 종간 세포의 융합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원형질체 재생 및 융합조건에 대해 검토하였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원형질체는 osmotic stabilizer를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유동성 한천배지로 중층하여 재생시켰고 재생 확인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항생물질 내성과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의 유전자 표지에 확인하였다. Lysozyme을 처리하여 형성된 C. flavigena 원형 질체의 세포벽 재생은 osmotic stabilizer로 0.4M sorbitol을 포함하는 재생배지에서 약 15% 수준이었으며 여기에 Polyvinyl Pyrrolidone(PVP) 3% 첨가로 재생율을 약 3배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Cellulomonas속 균주의 변이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은 융합유도제로 PEG 6000을 취하여 최적농도 40% (w/v), 치적 처리시간 15분, Ca농도 25mM에서 약 2.0$\times$$10^{-4}$ - 4.0$\times$$10^{-4}$의 융합빈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Studies on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Ganoderma lucidum

  • Choi, Seung-Hee;Kim, Byong-Kak;Kim, Ha-Won;Kwak, Jin-Hwan;Park, Eung-Chil;Kim, Young-Choong;Yoo, Young-Bok;Park, Yong-Hw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158-164
    • /
    • 1987
  • To obtain a new strain of Ganoderma lucidum by protoplast fusion technique, its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were studied. Several factors affecting the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ir optimum conditions. The mycelium was grown for four days on the cellophane membrane placed on G. Incidum complete medium (GCM). When various commercial lytic enzymes were examined for protoplast isolation, the combination of Novozym 234 and $\beta$glucuronidase was found to be effective. An osmotic stabilizer, 0.6 M sucrose in 20 mM phosphate buffer pH 5.8, gave the highest yield of protoplasts. Three-hour incubation in shaking incubator was most suitable for releasing protoplasts. To increase the protoplast yield, pretreatment with 2-mercaptoethanol was carried out. The regeneration frequency in GCM containing 0.6M MgSO$_4$ 7$H_2O$ was shown to be 0.66%.

  • PDF

원형질체 분리, 배양 및 Nicotiana 종간 세포융합에 관한 연구 (Isolation, Culture, and Fusion of Nicotiana Protoplasts)

  • 윤경은;김준철;최상수;손세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8-149
    • /
    • 1979
  • 본 시험은 담배 신품종 육종기술확립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原形質體(protoplast)를 얻을수 있는 방법과 protoplast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1. protoplast를 효율적이며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는 세포붕괴, 細胞模解離 酵素의 농도는 0.5% macerozyme + 2% cellulase (또는 meicellase)였다. 2. 효소처리시간은 품종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4시간 이상이 필요하였으며 1인 작업량으로 보아 4시간이 가장 적합하였다. 3. 等張液을 만들기 위하여는 0.5∼0.7M의 mannitol이나 sorbitol을 이용하는 것이 좋았다. 4. 세포융합시에 Ca++ 이온의 농도는 중요하며 9mM CaCl2를 포함한 PEG용액(0.5g/ml)을 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5. 분리된 protoplast는 B-5 培地에서 계속분열하여 colony를 형성하였다.

  • PDF

Fusarium of oxysporum의 원형질체 융합과 polygalacturonase의 활성 (Protoplast Fusion of Fusarium oxysporum and activity of polygalacturonase)

  • 하경란;민병례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5-199
    • /
    • 1993
  • Fusarium oxysporum을 재료로 하여 polygalacturonase 활성능이 좋은 우량 균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돌연변이주와 원형질체융합주를 선별하였다. MNNG를 처리하여 6개의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주를 유도하였다. 세포벽 분해효소로는 driselase를 이용하고 삼투안정제로 0.6M KCI을 처리하여 돌연변이체로부터 원형질체를 얻었다. polyethyleneglycol 8,000과 $CaCl_2$를 이용하여 영양요구성 돌연변이체의 원형질체 사이에 융합을 시도하여 1개의 융합주를 얻었으며 융합률은 $5.0{\times}10^{-3}$이었다. polygalacturonase 활성도를 수정된 DNS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선별된 융합주와 돌연변이주의 polygalacturonase 활성은 모균주와 비교하여 약 1.5배에서 3.5배가량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mutant Fx-2가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우량균주개발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PDF

Agrocybe cvzindracea의 원형질체 분리 및 환원 (Protoplast Isolation and Reversion from Agrocybe cylindracea)

  • 박신;이재성
    • KSBB Journal
    • /
    • 제5권3호
    • /
    • pp.229-234
    • /
    • 1990
  • Pseudomonas elodea 에 의한 Gellan gum생산시 이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회분식 및 연속식 발효를 하였다. 회분식 배양의 결과로부터 비성장 속도는 $0.16hr^-^1$이었으며 72시간 배양후의 점도는 4500cp, 생성물 농도 0.7g dry weught/100g broth, 및 생산성은 0.08g dry weight/1/hr이었다. 연속식 배양을 통하여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의 농도비(3.0mg-carbon/mg-nitrogen)를 결정하였으며 Gellan gum의 최대 생성속도는 희석율 $0.14hr^-^1$에서 0.6g dry weight/l/hr이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각종 metabolic paeameter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배양액의 유변학적 특성은 Casson equation에 잘 부합됨을 확인하였고, 배양액의 점도와 산소전달계수를 측정하여 고점도 배양시 산소전달의 장애현상을 조사하였다.

  • PDF

Penicillium verruculosum의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Penicillium verruculosum Protoplasts)

  • Chung, Ki-Chul;Park, Chang-Ryeo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6-162
    • /
    • 1988
  • 섬유소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P. verruculosum F-3 의 세포융합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균사체로부터의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세포벽 분해효소로 유효한 각종시판효소제제중 0.5%(w/v) Novozym 234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PDY 배지로 3$0^{\circ}C$ 20시간 배양한 균사체 400mg을 3$0^{\circ}C$ 1시간 반응시 가장 많은 원형질체가 형성되었다. 원형질체 형성을 위한 최적 삼투압 조절제는 0.7M sorbitol(pH5.6)이었고 원형질체 재생을 위한 최적 삼투압 조절제는 0.6M MgSO$_4$(pH 5.6)이었으며 RCM에서의 재생율은 4.6~27.8%였다. 원형질체를 RLM에 배양시 균사체로 환원되는 형태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