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ptera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8초

한국산 섬서구메뚜기속(Atractomorpha)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Review of the Korean Atractomorpha Saussure, 1862 (Orthoptera: Caelifera: Pyrgomorphidae))

  • 김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03-409
    • /
    • 2009
  • 한국산 섬서구메뚜기속(Atractomorpha)의 분류학적 검토를 통해 섬서구메뚜기(Atractomorpha lata (Motschulsky, 1866))와 분홍날개섬서구메뚜기(신칭)(A. sinensis Bolivar, 1905) 두 종을 확인하였다. 이 중 분홍날개섬서구메뚜기는 한반도 남단의 섬 제주도와 가거도로부터 처음 보고되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두 종을 비교하여 동정할 수 있는 검색표, 기재, 사진 및 분포 정보를 제시하였다.

산림 내 묘지 지역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 (Insect Fauna of Cemetery Area in Forest from Korea)

  • 박진영;박종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5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지역에서 유일하게 잔디가 식재되어 있는 집단묘지에서 출현하는 곤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1목 39과 77속 86종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노린재목(Hemiptera)이 25종(29.1%)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이 17종(19.8%), 메뚜기목(Orthoptera) 13종(15.1%), 나비목(Lepidoptera) 11종(12.8%), 잠자리목(Odonata) 5종(5.8%), 벌목(Hymenoptera) 4종(4.7%), 파리목(Diptera) 2종(2.3%), 바퀴목(Blattaria), 사마귀목(Mantodea), 집게벌레목(Dermaptera)이 각각 1종(1.2%) 순으로 조사되었다. 노린재목(Hemiptera)과 메뚜기목(Orthoptera)의 출현이 많은 것은 대부분 조사지의 식물상이 잔디와 더불어 서식하는 억새풀, 띠풀, 넝쿨딸기 그리고 가시박, 칡 등 키 작은 화본과 식물, 개망초, 바랭이, 호밀풀 등의 초본식물로 구성된 초지형태로 식식성 곤충들에게 적합한 서식처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별 분석에서 도로변과 인접하고 여러 가지 인공적인 영향(St. 1)으로 곤충의 다양성이 묘지 중앙이나 산림과 인접한 조사지(St. 2, 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다양성을 보였다. 비록 산림내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묘지지역이지만 잔디구역은 묘지잡초들과 더불어 잔디를 먹이원으로 하는 노린재목, 메뚜기목 곤충들 그리고 이 곤충들을 포식하기 위해 모여드는 사마귀, 딱정벌레류의 포식성 곤충 등, 묘지지역 역시 산림 속 하나의 조그만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결과 산림내 잔디지역의 곤충다양성은 주로 식식성 곤충 위주로 분포 되어 있었으며 향후 산림생태계 내에서 잔디지역을 유일하게 포함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잔디지역이 조성되며, 지속적으로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잔디지역의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산림생태계 및 산림다양성 연구에 이바지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sect Allergy

  • 옥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90-193
    • /
    • 1993
  • 알러젠은 크게 옥외 알러젠과 옥내 알러젠으로 중요하게 취급되는 종류로는 집먼지, 집먼지 진드기, 바퀴류, 애완동물의 털이나 분비물 등이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바퀴류는 곤충강(class insecta)의 직시목(Order Orthoptera)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에서 기원하여 무역의 발달과 더불어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 등으로 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4000여종의 바퀴중 30여종이 사람과 함께 집에서 살고 있다. 본 총설에서느 바퀴류의 생태 및 공통항원과 종특이항원에 대하여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 PDF

한국산 곱등이류에 관하여 (On the Genus Diestrammena with one Unrecorded Species in Korea (Stenopelmatidae , Orthoptera))

  • 손영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
    • /
    • 1963
  • 지금까지 한국산 곱등이과 비충은 D.apicalis 와 D.marmorata 의 이중이 분포되어 있음이 밝혀져 있었으나 필자가 1959년 8월 , 광릉에서 채집한 직혈류를 정리한 결과 그 중 일종 Diestrammena goliath 가 한국미기록임이 밝혀졌으므로 발표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