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와송(瓦松) 추출물이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Immune System)

  • 권진;한광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5-320
    • /
    • 2004
  • 와송 (OJB)의 면역 및 항암 효과를 관찰한 결과, 와송은 생쥐의 비장 및 흉선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임파구 아집단분석 결과 비장 T세포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는데 비장 T세포 중의 $T_H$세포 및 Tc세포가 모두 증가되었고, 혈청 중 ${\gamma}-interferon$의 생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와송은 L1210세포 및 U937세포 등의 백혈병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촉진시키는 항암능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인산과 카리 시비량에 따른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s Affected by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ation)

  • 이창우;김홍영;전승호;신성철;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4-149
    • /
    • 2008
  • Shoot weight of Orostachys japonicus should determine its profitability. The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ation (0, 5, 10, 20 kg $P_2O_5$ or $K_2O$ /1000 $m^2$) on its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flowering. Night-break treatment of 2 hours at midnight were done since Aug. 25 when afterward samples were taken every 4 weeks to Nov. 16. Growth, morphological and flowering related characters were measured from each sample. Plant height, inflorescence length, number of leaves including bracts and stem diameter were increased with increased P and K levels. Leaf and bract, floret, shoot and total dry weights showed similar response to the above morphological characters although P fertilization more increased them than K fertilization. Florets were more formed with increased P and K levels but were not flowered due to the night-break treatment, meaning that P and K fertilization had little effect on anthesis of the florets formed.

와송약침액이 Oxidant에 의한 신장세포손상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herbal acupuncture on oxidant-induced cell injury in renal epithelial cell)

  • 박상원;김철홍;윤현민;장경전;안창범;송춘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1호
    • /
    • pp.171-187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i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herbal acupuncture (OjB) provide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loss of cell viability and DNA damage induced by oxidant in renal proximal tubular cells. Methods : The cell viability was evaluated by a MTT reduction assay and DNA damage was estimated by measuring double stranded DNA breaks in opossum kidney (OK) cells, an established proximal tubular cell line. Lipid peroxid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malondialdehyde (MDA), a product of lipid peroxidation. Results : H2O2 increased the loss of cell viability in a time-dependent manner, which were prevented by 0.1% OjB. The protective effect of OjB was dose-dependent over concentration range of 0.05-0.5%. H2O2 caused ATP depletion and DNA damage, which were prevented by OjB and the hydrogen peroxide scavenger catalase. The loss of cell viability by H2O2 was not affected by the antioxidant DPPD, but lipid peroxidation by the oxidan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DPPD. Generation of superoxide and H2O2 in neutrophils activated by phorbol-12,13-dibutyrate was inhibited by OjB in a dose-dependent manner. OjB inhibited generation of H2O2 in OK cells treated with antimycin A and exerted a direct H2O2 scavenging effect. Exposure of OK cells to 1 mM tBHP caused a significant depletion of glutathione which was prevented by OjB. OjB accelerated the recovery in cells cultured for 20 hr in normal medium without oxidant following oxidative stres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jB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nt-induced cell injury and its protective effect was resulted from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 PDF

식용유지의 가열시 와송 추출물이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ong(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xtract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Edible Oil During its Heating)

  • 이수정;신정혜;서종권;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18
    • /
    • 2009
  •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된 와송의 열수추출물을 대두유 및 돈지에 0.1, 0.5 및 1.0 g/100 mL의 농도로 첨가하고 $180^{\circ}C$에서 가열하는 동안 유지의 산화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유지의 색도는 가열시간이 경과될수록 증가되었으며, HWE 첨가구에서 색도가 다소 높았다. 아니시딘가는 가열시간이 경과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48시간 가열 후 0.5 및 1.0 g/100 mL의 HWE 첨가구, 1.0 g/100 mL의 FWE 첨가구를 제외하면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돈지에서는 시료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산가는 가열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대두유에서 시료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었으며, 가열 48시간 이후 HWE 첨가구가 FWE 첨가구에 비해 다소 낮았다. 과산화물가도 HWE 첨가구가 FWE 첨가구보다 낮았다. TBA가는 대두유에서 가열 24시간 이후에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돈지에서는 가열전기간 동안 대조구보다 낮았다. 따라서 와송 열풍건조시료는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하며, 돈지의 가열시 산화안정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차광처리가 바위솔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Shading Effect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홍동오;이창우;김홍영;강진호;유영섭;신성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9-243
    • /
    • 2006
  • 개화 이후 고사하는 일임성 식물인 바위솔은 가을철에 집중되는 자연산의 출하시기와 중복되지 않도록 비가림 하우스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우스 시설로 인한 차광 (무차광, 35, 55, 75, 95% 차광)이 바위솔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 화서장, 엽과 포엽수 및 경직경은 광도가 가장 약한 95% 차광시 가장 짧고, 적거나, 가늘었던 반면, 여타 차광 처리간에는 차이가 적다 할지라도 차광이 심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 엽과 포엽중, 경중, 근중, 지상부중, 전체건물중은 무차광에서 가장 많았으며 차광이 심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3. 형성된 소화수는 건물중과 같이 무차광에서 가장 많고 차광이 심할수록 감소되었으나, 95% 차광시 아주 적었다. 4. 차광처리로 소화가 개화된 개체는 관찰되지 않아 광도가 제한되는 시설하우스에서 여타 처리를 통하여 바위솔의 인공재배는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 방법에 따른 와송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Drying Methods)

  • 이수정;서종권;신정혜;이현지;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05-611
    • /
    • 2008
  • 건조 방법이 와송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와송을 천일건조,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한 후 물 및 95%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물보다 에탄올추출물에서 높았으며, 건조 방법에 따라서는 열풍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자공여능, 환원력, hydroxyl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은 열풍건조> 동결건조> 천일건조 시료의 순으로 높았으며, 물보다 에탄올추출물에서 항산화능이 높았다. 따라서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의존적인 것으로 생각되며, 와송의 항산화능을 증대시키기 위한 적절한 전처리 방법은 열풍건조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