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omandibular dystonia (OM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뇌손상 후 발생한 이갈이증과 근육긴장이상에 대한 보튤리눔 독소 A와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한 치료 증례 -증례 보고- (Bruxism and Oromandibular Dystonia after Brain Injury Treated with Botulinum Toxin A and Occlusal Appliance -A Case Report-)

  • 김태완;백광우;송승일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19
    • /
    • 2010
  • Bruxism is nonfunctional jaw movement that includes clenching, grinding and gnashing of teeth. It usually occurs during sleep, but with functional abnormality of brain, it can be seen during consciousness. Oromandibular dystonia (OMD) can involve the masticatory, lower facial, and tongue muscles and may result in trismus, bruxism, involuntary jaw opening or closure, and involuntary tongue movement. Its prevalence in the general population is 21%, but its incidence after brain injury is unknown, Untreated, bruxism and OMD cause masseter hypertrophy, headache, temporomandibular joint destruction and total dental wear. We report a case of successful treatment of bruxism and OMD after brain injury treated with botulinum toxin A and occlusal appliance. The patient was a 59-year-old man with operation history of frontal craniotomy and removal of malformed vessel secondary to cerebral arteriovenous malfomation. We injected with a total 60 units of botulinum toxin A each masseteric muscle and took impression for occlusal appliance fabrica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On follow up 2 weeks and 2 months, the patient remained almost free of bruxism. We propose that botulinum toxin A and occlusal appliances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for bruxism and OMD after brain injury.

Oromandibular dystonia after dental treatments: a report of two cases

  • Jang, Soo-Mi;Cho, Yeong-Cheol;Sung, Iel-Yong;Kim, Sun-Young;Son, Ja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6호
    • /
    • pp.379-383
    • /
    • 2012
  • Oromandibular dystonia (OMD) is a rare focal form of dystonia caused by prolonged muscles spasms in the mouth, face, and jaw. OMD can develop after dental treatment, as poorly aligned dentures or multiple tooth extraction may cause an impairment of proprioception in the oral cavity, leading to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dystonia. These repetitive involuntary jaw movements may interfere with chewing, swallowing, and speaking. We report here two cases of OMD after dental procedures.

하악운동이상증의 임상양태 (Clinical Features of Oromandibular Dystonia)

  • 강신웅;최희훈;김기석;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3호
    • /
    • pp.169-176
    • /
    • 2011
  • 하악운동이상증(oromandibular dystonia, OMD)은 턱이나 구강조직의 반복적, 불수의적, 비정상적인 움직임으로 정의되며 저작기능과 교합에 문제를 초래하여 치과치료를 어렵게 하고 보철물의 유지곤란을 야기할 뿐 아니라 잦은 구강 연조직 손상이나 만성 안면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치과의사의 관심이 필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OMD로 진단되어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병력기록부상의 관련 항목을 조사하여 OMD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유형을 분석하였다. 2007년 8월부터 2010년 4월까지 단국치대 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78명의 OMD 환자는 평균 72세의 고령이었으며 여자가 남자에 비해 3.6배 많았고, 평균 10개월 이상의 비교적 긴 병력기간을 보였다. 내원한 OMD 환자의 가장 흔한 주소는 턱의 통증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빈도가 높은 주소는 턱과 구강조직의 조절 안 되는 반복적인 움직임과 구강조직의 통증이었다(p=0.000). OMD 유형은 페구형(jaw-closing dystonia)이 가장 많았고, 측방운동형(lateral jaw-deviation dystonia)과 복합형(combination dystonia)도 많이 발생하였다(p=0.001). 환자의 60% 이상은 OMD 발생과 관련하여 뚜렷한 원인을 인지하지 못했으나 약 19%의 환자들은 보철치료, 발치 등의 치과치료와 관련 있다고 보고하였다(p=0.000). 본원에 내원한 환자는 약물치료가 가장 먼저 시도되었고 진정제(clonazepam)가 거의 모든 환자(97%)에서 처방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OMD는 뚜렷하게 노인, 특히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턱과 구강조직의 통증을 유발하며 과반수 이상은 뚜렷한 원인을 모르지만 일부 환자들은 치과치료 후에 자신의 문제를 처음 인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치과의사는 환자를 치료할 때 OMD의 존재를 간과하지 않도록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