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ental Stork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자연상태에서 황새의 섭식 행동과 서식지 선택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Foraging Time Budget and Habitat Selection of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in Natural State)

  • 성하철;정석환;김정희;김수경;박시룡
    • 환경생물
    • /
    • 제26권2호
    • /
    • pp.121-127
    • /
    • 2008
  • 멸종위기종 황새의 보존와 복원 계획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황새의 섭식행동과 서식지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 있는 산지형 습지 일부에 울타리를 치고 황새 암수의 한 쪽 날개의 첫째날개깃 일부를 잘라 방사하여, 6월 16일부터 7월 11일까지 25일간 일일 그리고 시간에 따른 섭식 행동 변화, 먹이 종류 및 양, 먹이 서식지 선택을 관찰하였다. 황새 암수의 하루 중 시간에 따른 섭식 시간과 휴식 시간은 이차함수적인 관계를 보여주었으나 이런 경향성은 25일간에 걸쳐 암수 간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또한 황새는 다른 유형의 서식지 및 같은 유형의 연구지역 끝 쪽에 위치한 습지(습지 2)보다 연구지역 중간에 있는 습지 (습지 1)를 더 많이 이용하였다. 습지 1에 대한 이용 정도는 25일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두 번째로 많이 이용된 논은 연구 기간 후반부로 갈수록 줄어들었고 반면에 습지 2와 통로의 이용 정도는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암컷은 수컷보다 섭식에 보다 많은 시간 소비하였으나 섭식효율성은 암수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서식지 조성 및 관리적 측면에서 황새의 섭식행동과 생태에 대한 의의를 논의에서 다루었다.

한반도 중서부 지역 논습지를 이용하는 조류 현황 (Status of Birds using Rice Fields in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 남형규;김미란;최그린;장둘리;최승혜;조광진;최락중;최순군;방혜선;나영은;김명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3-147
    • /
    • 2016
  • BACKGROUND: Rice fiel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habitats for various bird species. The list of bird species occurred in rice fields in Korean peninsula have been documented. However, information of listed bird species is included not only rice fields but also other wetland habitats such as lakes, tidal flats and rivers.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status of bird observed in rice fields of Korea.METHODS AND RESULTS: Birds using rice fields defined as birds which forage or rest on rice paddies, levees, ditches and farming roads. Birds using rice fields recorded as total 124 species belonging to 40 families. Anatidae and Scolopacidae were the best represented family, followed by Ardeidae, Accipitridae, Motacillidae and Emberizidae; 50% of species belonged to these six families. 18 of 124 endangered wild species, which designated threatened at the national scale, found in this study regions.CONCLUSION: Despite interest in birds using rice fields of Korean peninsula, knowledge of birds and rice fields there is extremely limited. We need more studies to understand and conserve for birds in rice fields of Korea.

화학살충제의 사용이 한국 중서부지역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 분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sticide Use on Distribution of Waterbirds in Rice Fields at Mid-western Part of South Korea)

  • 남형규;김미란;최그린;장둘리;최승혜;조광진;최락중;나영은;김명현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61-364
    • /
    • 2016
  • 자연습지의 감소로 인해 논습지를 이용하는 수조류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논습지는 수조류 개체군의 유지를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서 역할을 한다. 논습지를 이용하는 수조류에 관해서는 여러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화학살충제의 사용이 수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학살충제의 사용이 수조류의 분포를 결정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 2014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대호간척농지 내 조성된 친환경농업지역과 관행농업지역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 백로류, 오리기러기류의 분포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해오라기, 황로, 중백로와 같은 백로류에서 화학살충제 사용이 분포를 제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분류군에서는 화학살충제가 분포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향후 다층 스케일의 공간적 스케일에서 분석을 통해 더욱 명확한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화포천 습지보호지역 토지 매수 우선순위 산정 - 깃대종 서식지 적합성 지수를 고려하여 - (Prioritizing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 Based on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

  • 심윤진;홍진표;이길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71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ioritize land purchase in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by reflec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considering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lagship spec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lagship species, Oriental White Stork and Been Goose, which can represent the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were selected through selection criteria and expert feedback. Based on the habitat requirements of the selected flagship species, SI(Suitability Index) for the flagship species was reviewed and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was assessed. The conservation value of the wetlands was divided into five grades from very high to very low. The area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were mainly distributed around wetlands and waters in upstream and downstream of Hwapocheon wetland protection area. The land purchase prior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ades by overlapping the thematic maps of the conservation value of wetlands, the economics, and the urgency of restoration. The arable lands which can disrupt wetland ecosystems are analyzed as priority areas where priority purchasing is required. Relatively well-preserved wetlands and areas have low land purchase prior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iodiversity is considered in land purchase priorities.

출혈성 뇌졸중과 허혈성 뇌졸중의 특정인자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pecific Factors for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

  • 유영대;김용남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29
    • /
    • 2002
  • This study questionnaires 166 inpatients and outpatients with stroke in 8 hospitals, including Wonkwang University Gwangju Korean Hospital from July 2 to 31, 2001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general nature, smoking, drinking, obesity, and perception of saltness of patients with stork on the outbreak of stroke and to examine important factors by dividing into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 Finally, collected data is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SPSS 7.5 statistics package. This study reaches a conclusion as follows. 1. For general nature, 86(51.8%) patients have hemorrhagic stroke and 80(48.2%), ischemic stroke in the rate of 1.59:1(male:female), suggesting that male's outbreak is more than female's. Outbreak age is ranged from 20 years to 90 years in order of 60's, 50's, and 40's. 50's-60's accounts for more than half percentage. 2. For smoking, 73(71.6%) of male patients has smoking experience and their 562% has ischemic stroke. Their cross-analysis for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with $x^2=3.90$(p<0.05). 48.6% of patients with smoking experience is ranged from 1 to 10 a day in smoking quantity. 3. For drinking, 90(88.2%) of male patients has drinking experience and their 53.3% has hemorrhagicstroke. Their cross-analysis for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x2=3.40(p<0.1). 59.3% of patients with drinking experience is classified as a overdrinking group. 4. For obesity, low weight is 8(4.8%): normal, 111(66.9%): excessive, 40(24.1%), and obesity, 7(4.2%). In patients with hemorrhagic stroke, excessive weight and obesity are somewhat high(33.7%). The cross-analysis for male's hemorrhagic and ischemic stork by dividing BMI into more and less than 25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x=3.52(p<0.1). 5. For perception of saltness, 21(12.7%) patients eat flat: 76(45.8%) normally, and 69(41.5%), saltily. Many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re classified as a group who eat saltily. The cross-analysis for male's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 shows signifiant difference with x2=10.99(p<0.05). As this study has small sample and selects inpatient and outpatient in certain local hospital,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But the cross-analysis of male's hemorrhagic and ischemic stroke shows signifiant difference in smoking and perception of saltness. Drinking and obesity are more important factors in hemorrhagic stroke and smoking and perception of saltness in ischemic stroke.

  • PDF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와 랜덤 포레스트 분석(Random forest)을 이용한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 군집 특성 파악 (Patterning Waterbird Assemblages on Rice Fields Using Self-Organizing Map and Random Forest)

  • 남형규;최승혜;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8-177
    • /
    • 2015
  • BACKGROUND: In recent year, there has been great concern regarding agricultural land uses and their importance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Rice fields are managed unique wetland for wildlife, especially waterbirds. A comprehensive monitoring of the waterbird assemblage to understand patterning changes was attempted for rice ecosystem in South Korea. This rice ecosystem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 waterbirds conservation. METHODS AND RESULTS: Biweekly monitoring was implemented for the 4 years from April 2009 to March 2010, from April 2011 to March 2014. 32 species of waterbirds were observed. Self-organizing map (SOM) and random forest were applied to the waterbirds datase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 waterbirds distribution. SOM and random forest analysis clearly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and extract ecological information from waterbird dataset. Waterbird assemblages represented strong seasonality and habitat use according to waterbird group such as shorebirds, herons and waterfowl.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SOM and random forest analysis could be useful for ecosystem assessment and management. Furthermore, we strongly suggested that a strict management strategy for the rice fields to conserve the waterbirds. The strategy could be seasonally and species specific.

충남 예산군 예당저수지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특성 (Distribution of Fish and Amphibian in Rice Fields Near the Yedang Reservoir in Korea)

  • 김수경;박현숙;박시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8-57
    • /
    • 2016
  • 예당저수지의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비수변 농경지를 대조군 지역으로 설정하고 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의 개체수 및 생물량 비교, 어류와 양서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분석, 시기별 개체수 변동 특성을 연구하였다. 전체 조사 대상지역에서 포획된 어류종수는 8과 13종이며, 양서류 종수는 5종이었다. 수변 농경지에서는 미꾸리과 어류, 붕어, 잉어 등의 13종의 어종이 포획되었고,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미꾸리과 어류, 붕어 등의 3종의 어종이 포획되었다. 양서류는 황소개구리, 참개구리, 청개구리, 한국산개구리, 옴개구리 총 5종의 유생이 포획되었는데,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5종의 양서류 유생이 포획되었고, 수변 농경지에서는 2종의 양서류 유생이 포획되었다. 수변 농경지와 비수변 농경지의 어류와 양서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변 농경지에는 잉어과 어류가 많이 포획되었으며, 비수변 농경지에는 미꾸리과 어류가 많이 포획되었다. 어류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소 분석결과, 잉어과 어류는 겨울철에 담수되고, 예당저수지와의 거리가 가까운 농경지에서 주로 출현할 가능성이 높으며, 미꾸리과 어류는 산간 저수지로부터 용수가 공급되고, 논과 배수로가 잘 연결되어 있는 농경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서류의 경우, 비수변 농경지에서 수변 농경지보다 양서류의 유생이 많이 포획되었다. 수변 농경지에서는 황소개구리가 우점하였고, 비수변 농경지에서는 참개구리가 우점하였다. 황소개구리 유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요소는 겨울철에 담수되고 예당저수지에 가까운 농경지에서 출현할 가능성이 높았고, 참개구리의 경우는 산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예당저수지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출현할 가능성이 높았다.

먹이 밀도와 수심에 따른 황새(Ciconia boyciana)의 섭식 행동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Foraging Behavior of Oriental White Storks (Ciconia boyciana) in the Variation of Prey Density and Water Depth)

  • 성하철;김정희;정석환;김수경;조지연;정미라;최유성;박시룡
    • 환경생물
    • /
    • 제27권2호
    • /
    • pp.155-163
    • /
    • 2009
  • 멸종위기종 황새의 야생 방사를 위한 먹이 서식지 조성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야생 황새의 먹이 서식지 보호와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북 청원군 미원면 화원리에 있는 산지형 습지 일부에 울타리를 치고 황새 암수의 한 쪽 날개의 첫째날개깃 일부를 잘라 방사하여, 6월 20일부터 8월 16일까지 서식지 먹이 밀도와 수심 변화에 따른 서식지 이용률 및 섭식행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황새는 밀도가 높은 서식지에서 오랫동안 머물며 섭식시도와 섭식량을 증가시켰으며 수심에 따라 암컷은 수심이 얕은 서식지에서 그리고 수컷은 중간 깊이의 서식지에서 섭식시간과 섭식량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섭식효율성은 밀도와 수심과 관련없이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단지 암수 간의 섭식효율성이 밀도에 따라 그리고 수심이 다른 서식지에서 섭식행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반자연적 환경에 방사된 황새가 먹이 밀도에 따라 섭식 지역을 선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섭식효율성은 개체에 따라 혹은 섭식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봄철 논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의 취식 행동에 따른 서식지 이용 특성 연구 (Influence of Foraging Behaviors of Shorebirds on Habitat use in Rice Fields During Spring Migration)

  • 남형규;최승혜;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8-185
    • /
    • 2015
  • 본 연구는 봄철 한국 중서부지역 논습지를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취식행동을 확인하여 이들의 서식지 이용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종은 종달도요, 알락도요, 청다리도요, 흑꼬리도요였으며, 이들은 논습지에서 쉽게 관찰될 뿐 아니라 형태적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서식지는 봄철 논습지에서 쉽게 확인되는 대표적인 형태인 "갈아엎은 후 물을 댄 필지", "써레질 후 5 cm 이하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 "써레질 후 5 cm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로 나누었다. 종달도요는 "갈아엎은 후 물을 댄 필지"을 이용하였고 이때 주로 시각과 촉각 모두 이용하는 취식 방법을 선택하였다. 알락도요와 청다리도요는 "써레질 후 5 cm 이하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에서 많이 관찰되었고 시각을 이용한 취식방법을 주로 선택하였다. 흑꼬리도요는 "써레질 후 5 cm 이상의 수위를 유지하는 필지"를 이용하였고 촉각을 이용한 취식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토양관리와 관개강도에 영향을 받는 수위가 취식지의 접근성과 먹이 발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봄철 논습지를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자원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s of Shorebirds Diets during Spring Migration Stopovers in Korean Rice Fields)

  • 남형규;김명현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52-460
    • /
    • 2017
  • 내륙에 위치한 논 습지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수조류들에게 풍부한 먹이원을 제공하는 중간기착지로, 도요물떼새류들의 보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풍부한 대형저서생물들을 취식하는 도요물떼새류는 중간기착지에 따라 선호하는 먹이원을 쉽게 바꿀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기착지에서 그들의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취식지에 서식하는 잠재적 먹이원의 종류와 분포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서부지역 논을 중간기착지로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먹이원을 확인하기 위해 당진군 석문면 난지도리에 위치한 농경지의 잠재적인 먹이원과 실제 먹이원을 확인하였고, 잠재적인 먹이원의 분포가 다양한 벼 재배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잠재적 먹이원은 총 10목 15과 19종의 대형저서생물로 나타났으며, 실제 먹이원은 대형저서생물에서 9목 9과로 나타났고, 미꾸리류나 새섬매자기 괴경도 섭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먹이원의 분포는 논갈이나 써레질과 같은 경작으로 형성된 토양의 상태와 농약 사용 유무에 의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먹이원의 종류(대형저서생물, 잔존볍씨, 씨앗)가 가지는 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분포가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추후 논습지를 이용하는 도요물떼새류의 보전 관리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