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relationship

검색결과 929건 처리시간 0.028초

아파트 모델하우스 인테리어 색채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2001{\sim}2004$년 부산지역 분양 아파트를 중심으로-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Model House -Sale in lots Apartment in Busan, $2001{\sim}2004$-)

  • 정유경;김진옥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15-24
    • /
    • 2005
  • 다양한 스타일의 주거공간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과 더불어 점차 색채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확대되어 주거공간에서의 색채의미가 부각되고 있으며, 다양화되어 가는 사회적인 변화에 맞는 색채계획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공간에서의 색채에 대한 중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색채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최근에 분양된 아파트 모델하우스의 색채 경향을 분석하여 주거공간 색채 디자인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1{\sim}2004$년 사이 부산지역에서 분양되어진 모델하우스를 중심으로 평형별, 공간별의 4배색(벽/천정, 가구류, 창호류, 바닥)을 통해 형용사 이미지를 도출하는 정성적 분석방법과 'Hue & Tone 120 색체계'를 이용한 빈도분석을 통한 색채 사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색채 분석 결과를 보면 공간별로는 차별화를 주기 위한 색채계획 보다는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한 통일감을 주기 위한 방향으로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평형대별로는 면적의 확대 감이나 고급스러움을 나타내기 위해 차별화 된 색채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남산에서의 임형과 토양 환경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in Various Forest Types and Soils in Mt. Namsan)

  • 길지현;심규철;전영문;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291-300
    • /
    • 2004
  • 서울 남산을 대상으로 임형과 토양 특성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환경부 고시 생태계위해외래식물로 광조건이 좋은 길가와 계곡의 교란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 하층에 주로 출현하였으며, 신갈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초본층 식별종은 주름조개풀과 담쟁이덩굴이었다. 서양등골나물의 피도와 우점수종의 피도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NOVA, p>0.05). 토양함수량,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 표층의 두께(F-H layers)등 토양 환경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한 군락에서 토양함수량 및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가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하지 않은 군락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표층(F-H층)의 두께와 서양등골나물의 피도는 강한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p<0.05).

삼겹살과 고등어 조리시 발생하는 나노입자의 시간과 거리에 따른 크기분포와 PAH 검출 (Measurement of Nanoaerosol Size Distributions and PAHs Detection After Cooking)

  • 한정석;우창규;노승렬;배용준;성향기;최만수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71-77
    • /
    • 2011
  • Pork belly meat and mackerel are popular meals in Korea. Although a lot of people enjoy cooking these food, there have been some reports that generated organic particles during cooking could be thereas on of lung cancer of nonsmoking housewives. In addition, some experiments show that carcinogens may be included in meat and fishes which we eat usually. For this reason, particle size and concentration in formation during cooking are necessary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les and the diseases. Thus, we identify number concentrations and size distributions of generated nano aerosol in cooking with respect to time, hood operation, and distance between cooking and measurement locations.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nano aerosol(diameter sizes are between 10 to 700nm)are decreased after the cooking from $8{\times}10^6{\sharp}/cm^3$ to zeroth order in pork belly meat cooking, and from $3.5{\times}{\times}10^6{\sharp}/cm^3$ to zeroth order in mackerel cooking respectively. When it comes to hood operation during cooking, the detected concentrations of generated aerosols are decreased as in taking flow rate of the hood increases. In cooking pork belly meat, the reduced amount of concentration is about $3{\times}10^6{\sharp}/cm^3$ compared to no hood operation, when hood in taking flow rate is $610m^3/hr$ In mackerel cooking, reduced concentration is $6{\times}10^5{\sharp}/cm^3$ in the same condition. Also, Naphthalene and Fluorene, which are known a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detected in the generated aerosols during cooking.

TWINSPAN과 DCCA Ordination에 의한 백두산(白頭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분석(分析) (The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in Mt. Paekdu by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and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Ordination)

  • 송호경;김성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310-319
    • /
    • 1992
  • 백두산(白頭山) 삼림군집(森林群集)의 구조(構造) 및 종(種) 조성(組成)과 입지(立地)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TWINSPAN과 DCCA를 사용(使用)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해발(海拔) 1,700m-1,950m 대(帶)에 서 Betula ermanii, Larix olgensis, Abies nephrolepis, Picea jezoensis 등(等)의 순(順)이고, 해발(海拔) 1,300-1,500m 대(帶)에서 Abies nephrolepis, Pinus koraiensis, Larix olgensis, Betula mandshurica, Picea jezoensis 등(等)의 순(順)이다. 삼림토양(森林土壤)은 유효인산량(有效燐酸量)에서 7ppm-1,153ppm으로 과대치를 보이고 있다. 백두산(白頭山)의 삼림군집(森林群集)과 해발고(海拔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해발고(海拔高)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덤불오리나무, 사스래나무, 만주잎갈나무,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신갈나무군집(群集) 등(等)의 순(順)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사스래나무군락(群落)이 우점(優占)한 곳을 중심(中心)으로 사스래나무, 만주잎갈나무, 분비나무 사이의 관계(關係)을 살펴보면, 사스래나무군집(群集)은 해발고(海拔高)가 가장 높은 곳에, 사스래나무-만주잎갈나무군집(群集)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과 $K^+$의 함량이 많은 곳에, 분비나무군집(群集)은 $Mg^{{+}{+}}$$Ca^{{+}{+}}$의 함량(含量)이 많은 곳에 주로 분포(分布)하고 있다. 군집(群集) 분포(分布)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주요(主要) 환경요인(環境要因)은 해발고(海拔高)이다.

  • PDF

트리플 힐릭스와 대학 창업보육의 발전방안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riple helix and University-Business incubation)

  • 설명환;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3호
    • /
    • pp.99-112
    • /
    • 2018
  • 본 연구는 트리플 힐릭스 (Triple Helix) 관점으로 대학의 창업보육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창업보육과 관련된 연구의 보완과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외 창업보육과 관련된 트리플 힐릭스 (Triple Helix)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트리플 힐릭스(Triple Helix)와 대학 창업보육을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대학 창업보육의 혁신을 위해 운영인력에 대한 충분한 역량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와 정책적 함의가 우선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창업보육의 협력관계는 몇 번의 정태적인 협력관계가 아닌 유기적이며 동태적인 협력관계로 이어져야 한다. Top Down 방식이 아닌 Bottom Up으로 창업보육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는 내부에서의 혁신을 바탕으로 창업보육을 기획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변혁을 이끌어야 한다. 셋째, 창업보육의 동태적 협력을 위해 각 주체 간의 조직마다 상황에 맞는 경계관리활동(Boundary Spanning)을 파악하고, 흡수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조직에 대한 관리와 실천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주체 간 경계활동과 지식변환에 관해서는 추후 연구과제로 남기며 혁신적인 대학 창업보육의 발전을 기대해본다.

현미중(玄米中) 중금속(重金屬) 함량예측(含量豫測)을 위한 토양침출액(土壤浸出液)의 비교(比較) I. 침출액(浸出液)의 종류(種類)와 토양중(土壤中) 카드뮴, 아연(亞鉛) 및 연(鉛)의 침출성(浸出性) (Comparison of Soil Extractants for Estimation of Cadmium, Zinc and Lead in Brown Rice Grown at Paddy Soils near Old Zinc-Mining Sites)

  • 유순호;박무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5-30
    • /
    • 1985
  • 침출액(浸出液)의 종류별(種類別) 토양중(土壤中) Cd, Zn, Pb의 침출성(浸出性) 및 이들 중김속(重金屬)과 토양특성(土壤特性)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코자 폐아연광산지역(廢亞鉛鑛山地域)의 린근답(隣近畓)에서 채취(採取)한 토양시료(土壤試料) 84점(點)을 사용(使用)하여 0.1M-염산(鹽酸), 0.1M-실산(室酸), 0.001M-ED TA 및 0.1M-수산(修酸)암모늄등(等) 4종(種)의 침출액(浸出液)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한 결과(結果) 침출정도(浸出程度)는 0.1 M $HCl{\geq}0.1M-HNO_3> 0.001 M-2Na EDTA>0.1 M NH_4-oxalate$순(順)이였으며 침출액(浸出液)의 pH가 낮을수록 침출력(浸出力)이 강하였다. 또 침출액간(浸出液間) 및 전함량(全含量)과 침출액성(全含量) 중김속(重金屬) 함량간(含量間)에는 고도(高度)의 회귀관계(回歸關係)가 성립(成立)되었으나 침출력(浸出力)이 극히 낮은 0.1 $M-NH_4-oxalate$는 중김속(重金屬) 오염량(汚染量) 식은 토양(土壤)에 대(對)한 작물(作物)의 오염정도추정(汚染程度推定)을 목적(目的)으로 토양(土壤)을 분석(分析)할 경우 적용(適用)하기에는 부적합(不適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양중(土壤中) Cd, Zn 및 Pb는 토양(土壤)의 pH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가지나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과 CEC와는 지역간(地域間)에 서로 상반(相反)되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양(陽)이온중 Mg만이 유의성(有意性) 있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냈다.

  • PDF

동해 심해분지 시추퇴적물의 음속과 감쇠계수 (sound Velocity and Attenuation Coefficient in the Core Sediment of Deep-Sea Basin, East Sea of Korea (Sea of Japan))

  • 김성렬;이용국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9-66
    • /
    • 1991
  • 동해 심해분지 시추퇴적물 (수심, 1850 m 에서 수평(H), 수직(V) 방향에 대한 음 속(V/SUB p/)과 감쇠계수 (q/SUB p/)가 실내분석방법으로 측정되었다. 채취된 시추퇴 적물이 길이는 약 250 m 이었으며, 측정 음원은 중심주파수 500 m 의 초음파 변환기 (ultrasonic p-wave transducer)가 사용되었다. 1,480~1,500 m/sec 정도의 변화를 보 이는 V/SUB p/의 비동방성 (A/SUB p/)은 $\pm$1.0% 이내로써, 수평 또는 수직 그 어느 쪽 이 빠르다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는 시료의 대부분이 균질 (homogeneous) 한 니질퇴 적상이며, 심한 생물교란 (bioturbation)과 함께 높은 공극율(85% 이상)에 따른 다량 의 해수 함유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Q/SUB p/의 분포범위는 5~10 정도이며 전 반적으로 퇴적물 하부로 내려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은 탄산염 (CaC0$_3$)과 유기물 함량 의 증가와 함께 silt가 증가하고 clay가 감소하는 퇴적물 입도 (texture)의 변화로 해 석된다. 그러나 화산재(volcanic ash)가 나타나는 최하부층에서는 14.9 의 높은 Q/SUB PH/값도 보이고 있다. V/SUB PH/와 Q/SUB PH/의 역상관관계는 퇴적물 물성변화 뿐만 아니라 높은 함수율로 인한 해수특성(높은 Q/SUB p/, 낮은 V/SUB p/)의 영향도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굴껍질 시비수준이 사과 고두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the Incidence of Bitter pit and the Application Level of Crushed Oyster Shell in Apple Orchard)

  • 허재영;이성태;김민근;홍광표;송원두;노치웅;조주식;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37-643
    • /
    • 2010
  • 석회고토 및 패화석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토양개량제로 활용가치가 높은 굴껍질을 사과 '감홍' 재배 과수원에 시용하여 고두병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였다. 석회고토와 굴껍질을 처리한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표토와 심토의 토양 pH와 치환성 칼슘 함량이 증가된 반면, 치환성 나트륨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사과의 고두병 발생비율은 무처리구가 10.4%로 가장 높았고 굴껍질 4 Mg$ha^{-1}$ 이상 처리할 경우 3.7% 이하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석회고토 처리구는 8.9%로 무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굴껍질 시용량과 수확기 표토 및 심토의 pH와 치환성 칼슘 함량은 고두병 발병비율과 고도로 유의적인 부의상관을 보였다. 고두병 발병비율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굴껍질 시용량은 4 Mg $ha^{-1}$ 이지만 시험 후 토양의 치환성 칼슘 함량, pH 및 과실중량, 수량 등을 감안할 때 최적의 굴껍질 시용량은 2 Mg $ha^{-1}$로서 석회소요량과 같았다.

황색종 담배에서 생육형질, 품질 및 화학성분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Growth Characteristics , Quality, and Chemical Components in Flue-cured Tobacco)

  • 정기택;반유선;이정덕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19
    • /
    • 198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late among growth characteristics, quality, and chemical components for flue-cored tobacco.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Starch content in harvested green leaf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and leaf weight of harvested green leaf, respectively, while positively with total sugar content in cured leaf, and the ratio of leaf length to leaf width of harvested green leaf. 2.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s in the soil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nicotine content in cured leaf, respectively, and total nitrogen in the soil negatively with total sugar content in cured leaf. 3, Amount of fertilizer, application date of MH, priod of harvesting, and yield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nicotine content in cured leaf, respectively , while negatively with total sugar content. Application amount of MH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otal sugar content, but negatively with nicotine content in cured leaf. Also amount of compost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nicotine content in cured leaf. 4. The ratio of total sugar to nicotine (TS/N) per plant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price (Won/kg) and specific leaf area, but negatively with leaf length. leaf width, leaf area, harvested leaves, and leaf weight in cured leaves, respectively. Yield was correlated negatively with TS/N per plant. 5. TS/N of the best quality tobacco per plant was 12.0. Those of the best quality tobacco in each stalk position were 42.1 for first~third leaf, 28.4 for 4th~6th leaf , 23.7 for 7th~9th leaf, 7.7 for l0th~12th leaf , and 7.8 for over 13th leaf from bottom, respectively. 6, When TS/N was 12.0, optimum values of growth characteristics per plant were 100.5 $\pm$ 10.3g for leaf dry weight, 755.1$\pm$53.2cm for leaf length, 294.4$\pm$25.1cm for leaf width, 8, 892$\pm$111cm2 for leaf area, 16.0$\pm$0.6 leaves for harvested leaves, and 7.32$\pm$0.44mg/cm2 for specific leaf area, respectively. 7. When TS/N was 12.0, optimum values of chemical components per plant were 1.92$\pm$0.28% for nicotine content, and 20.4$\pm$ 1.4 % for total sugar content, and that of yield was 238.3$\pm$ 9.8kg/10a.

  • PDF

태도가 전시가 될 때: '감화'로서의 전시공간 (When Attitudes Become Exhibition: Exhibitional Space as "Affects")

  • 유진상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호
    • /
    • pp.49-70
    • /
    • 2003
  • What is an exhibition? Is it of the system which is designed to serve Art Works in their representation, or is it a place where the artistic presentation could be considered as art work itself? After modernist era, the role of exhibitional space might have been shifted from those two principle raison d'$\^{e}$tre of exhibitional space into another, a new one. What Deleuze would call it as he borrowed the term from Spinozian philosophy : the Affectional Space. This new type of exhibitional space has been announced since 1969 when a Harald Szeeman, young independent curator and art critic from Swiss, has organized his brilliant exhibition "When Attitudes become Form" in Bern. For sure, these intensities in curatorial practices have been existing before like some early 20th century exhibitional efforts by Marcel Duchamp, El Lissitzky, Yve Klein, etc. It has influenced much on many of, otherwise most of contemporary art exhibiting practices. And now it seems to be necessary to give it a conceptual idea which could enlighten better the new paradigm of exhibitional practices that we try to clarify. I would propose the idea of that new exhibitional space as "space of non-organic becoming". This idea is inspired by Deleuze's ever famous philosophical work Thousand Plateaus, which, with Folds by the same author, has contributed to many contemporary and aesthetical debating issues. What is "affect"? Explaining about Spinoza's principle concepts, Deleuze defines it as a kind of durations or variations which are constituted by different levels of perfection. One perfection is precedented or followed by certain perfection bigger or lesser through lived transitions or passages. So each time it actualizes and reflects the state of All as a cut of Reality while each state of affections, images or ideas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duration which binds it to the precedent state and extends it to following one. Affect is also a term of changes. One affects at the same time it is affected. Exhibitional space as affect (or affectional space) is distinguished from representational and presentational space in the way it attributes movement, produces arrangements and generates new factors of artistic creation including those which are outside of ever accepted artistic elements. The concepts of affectional space are used especially to enlighten contemporary situation of artistic and curatorial processes. Art is no more limited to be seen as mere objects of aesthetical admiration, nor as art vis-$\`{a}$-vis art relationship apart from the whole. It includes possibilities and virtuality that appear in the imperceptible and undescribable manners if delimited in given language. As once noticed by Kuhn, we might be living in a paradigmatically shifting world, not only in Art but also in Life. And we need to express it more with Art as moving and affectional nods than as just a clean window or a distinct manual boo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