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mixture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6초

산도를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 혼합물을 처리한 토양 침출수의 양분용출 패턴 (Major plant nutrient-releasing patterns in the leachates from the soil incorporated rice hull biochar adjusted pH with dry fish powder)

  • 최재이;이동건;김민정;남주희;심창기;홍승길;신중두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3호
    • /
    • pp.55-6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차를 미생물 담체로 활용하기 위해 pH 조절제로서 구연산과 목초액을 각각 처리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을 혼합한 토양 침출수의 양분 용출 패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왕겨 바이오차 pH 6.0~7.0와 어분을 혼합비(4:6)로 조제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는 산도를 조절하지 않은 바이오차 처리한 토양을 대조구(RB+DF), 목초액으로 산도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의 혼합물(RBP+DF)을 처리한 토양, 구연산으로 산도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의 혼합물(RBC+DF)을 처리한 토양 3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겨 바이오차와 어분을 혼합한 토양 침출수 중에 NH4-N, NO3-N, PO4-P, K의 농도를 분광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로서 RBC+DF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 중에 NH4-N와 PO4-P 누적함량은 가장 높았고, 또한 RBP+DF를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에서 NO3-N와 K의 누적함량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해 NH4-N와 PO4-P는 구연산으로 산도를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를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에서, NO3-N와 K는 목초액으로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 처리한 토양의 침출수에서 각각 흡착능이 낮아 더 많이 용출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미생물 담체로서 산도를 조절한 왕겨 바이오차의 시용에 따른 작물 생육 반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쌀누룩 첨가비율에 따른 순무 발효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Turnip Juice Depending on the Adding Rate of Rice-Nuruk)

  • 김은미;정석태;김태영;최윤희;조용식;박신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49-55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ood material and, examination of fermented juice using turnips. The highest yield of fermented juice was with the mixture ratio of 60% turnip, 20% rice-nuruk and 20% sugar. The total acidity and turbidity increased depending on the adding rate of rice-nuruk. By reducing sugar concentration by 24.9%, 22.6% and 25.3% resulted in samples containing 5%, 20% and 35% of rice-nuruk. The reduced sugar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at 35% rice-nuruk and 5% sugar. As a result of enzyme activity, ${\alpha}$-amylaze was the highest at 5% rice-nuruk and 35% sugar, and glucoamylase was increased by depending on the rice-nuruk concentration. The main organic acids in fermented turnip juice were succinic acid, acetic acid and lactic acid, and wer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ermented turnip juice was higher than that of non fermented turnip juice. Also,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89.58{\pm}0.00$) in 35% rice-nuruk at pH 3.0.

Reducing Characteristics of Potassium Triethylborohydride

  • Yoon, Nung-Min;Yang H.S.;Hwang, Y.S.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4호
    • /
    • pp.285-291
    • /
    • 1987
  • The approximate rates, stoichiometries and products of the reaction of potassium triethylborohydride $(KEt_3BH)$ with selected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representative functional groups under the standard condition $(0^{\circ}C,$ THF) were examined in order to explore the reducing characteristics of this reagent as a selective reducing agent. Primary alcohols, phenols and thiols evolve hydrogen rapidly whereas secondary and tertiary alcohols evolve very slowly. n-Hexylamine is inert to this reagent. Aldehydes and ketones are reduced rapidly and quantitatively to the corresponding alcohols. Reduction of noncamphor gives 3% exo- and 97% endo-norboneol. Anthraquinone is cleanly reduced to 9,10-dihydro-9,10-dihydroxyanthracene stage. Carboxylic acids liberate hydrogen rapidly and quantitatively but further reduction does not occur. Anhydrides utilize 2 equiv of hydride to give an equimolar mixture of acid and alcohol. Acid chlorides, esters and lactones are rapidly and quantitatively reduced to the corresponding alcohols. Epoxides are reduced at moderate rates with Markovnikov ring opening to give the more substituted alcohols. Primary amides liberate 1 equiv of hydrogen rapidly. Further reduction of caproamide is slow whereas benzamide is not reduced. Tertiary amides are reduced slowly. Benzonitrile utilizes 2 equiv of hydride in 3 h to go to the amine stage whereas capronitrile takes only 1 equiv. The reaction of nitro compounds undergo rapidly whereas azobenzene and azoxybenzene are reduced slowly. Cyclohexanone oxime rapidly evolves hydrogen without reduction. Phenyl isocyanate utilizes 1 equiv of hydride to proceed to formanilide stage. Pyridine N-oxide and pyridine is reduced rapidly. Disulfides are rapidly reduced to the thiol stage whereas sulfoxide, sulfonic acid are practically inert to this reagent. Sulfones and cyclohexyl tosylate are slowly reduced. Octyl bromide is reduced rapidly but octyl chloride and cyclohexyl bromide are reduced slowly.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의 첨가가 반추위 발효와 메탄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rpenoids-Rich Plant Extracts on Ruminal-fermentation and Methane Production)

  • 황희순;하동욱;이수경;이일동;이신자;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29-646
    • /
    • 2013
  • 본 연구는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메탄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반추위액은 티머시(timothy)와 농후사료를 6:4의 비율로 급여한 반추위 cannula가 시술된 한우 암소에서 채취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식물추출물은 박하(Mint), 소나무(Pine), 삼나무(Japan cedar), 초피나무(Sichuan pepper), 편백(Hinoki cypress) 그리고 해송(Japanese black pine)을 사용하였으며, 반추위액과 McDougall buffer를 1:2의 비율로 혼합한 배양액을 0.3g 티머시와 식물 추출물(기질의 5%)이 담긴 50ml serum bottle에 혐기상태로 15ml를 분주하였다. Serum bottle은 $39^{\circ}C$, 150rpm으로 3, 6, 9, 12,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결과 pH 값은 점점 감소하였으며, 전 배양시간에 걸쳐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건물 소화율은 배양 3시간대는 Mint 처리구만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이후 24시간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성이 없었다. 총 가스발생량은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낮았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배양 12시간대까지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메탄 발생량의 경우 24시간대에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첨가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였다. 미생물 성장량은 첨가구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나타냈으나 24시간대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으로 성장량이 감소하였다. 암모니아 측정량은 배양 12시간부터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72시간대는 감소하였다.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도 대조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한 Terpenoid 함유 식물 추출물 6종 모두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저감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Mint 및 Pine 추출물은 총 VFA, acetic acid 및 propionic acid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상기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반추위 발효성상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메탄 발생을 저감하는 식물 추출물로는 Mint 및 Pine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복분자와 클로렐라 혼합물의 젖산발효 최적조건 및 품질 특성 (Optimal Lactic Acid Fermentation Conditions and Quality Properties for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and Chlorella Mixtures)

  • 김재영;이상욱;김나형;문광현;백승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86-395
    • /
    • 2016
  • 본 연구는 복분자와 클로렐라 혼합물의 기능성 발효제품을 개발하고자 품질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 발효조건을 확립하고, 확립된 방법으로 제조한 혼합 발효물의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항균 활성 등 화학적 특성에 대한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복분자와 클로렐라 젖산발효 혼합물의 최적 발효균주를 확인한 결과 젖산 생성이 Lactobacillus plantarum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최적 발효 온도는 $37^{\circ}C$였다. 이와 같은 조건으로 복분자와 클로렐라 젖산발효 혼합물을 제조하여 관능평가를 한 결과 종합적 기호도 측면에서 클로렐라 분말 5% 첨가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시판 복분자 착즙액(Rubus coreanus Miquel juice; RCM)과 복분자와 클로렐라 5% 첨가 젖산발효 혼합물(RCM-C5)을 제조하여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항균 활성 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RCM과 비교하여 RCM-C5는 수분의 경우 4.90%, 건량 기준 총당은 14.15%, 건량 기준 조섬유는 0.32% 감소하였다. 한편 건량 기준으로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각각 13.75%, 0.18%, 0.73% 증가하였다. 색도는 두 시료 모두 밝고 약간의 황색을 띠는 적색이었지만 RCM-C5가 RCM보다 황색을 더 띠었다. RCM과 비교하여 RCM-C5의 유리당 함량은 0.97%, 유기산 함량은 616.30 mg%, 항균 활성은 그람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가 5.83%, 그람음성균인 Escherichia coil와 Salmonella Typhimurium은 각각 2.94%, 4.67%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본바 일반 복분자 시제품보다 복분자와 클로렐라 젖산발효 혼합물의 품질 특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어, 이를 실제 제품으로 제조한다면 영양 기능성이 풍부한 기능성 발효식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자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Potato and its Characteristics)

  • 신용서;성현주;김동한;이갑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6-271
    • /
    • 1994
  • 요구르트의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탈지분유의 일부를 감자로 대체(고형물비로 9.52, 13.84, 17.85%)하여 호상요구르트를 만들고, 탈지분유만 첨가한 대조구와 비교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내산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감자의 첨가로 젖산균의 증식과 산생성은 촉진되어 12시간 발효 후 젖산균수와 적정산도는 각각 $3.9{\times}10^{10}$ CFU/ml, 1.0% 이상이었다. 요구르트의 유기산중 구연산은 감자첨가로 증가되었으며, 요구르트의 주된 유기산은 젖산, 구연산, 초산이었다. 요구르트의 점도는 감자의 첨가로 증가되었고, 전체적인 관능치는 감자를 고형물비로 13.84% 첨가한 구에서 우수하였다. 감자첨가 요구르트는 $5^{\circ}C$에서 15일간 저장중 산생성, pH, 생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어 저장성이 우수하였고, pH2.5 이상에서 젖산균의 내산성이 우수하였으며, ${\beta}-galactosidase$ 활성도 탈지분유만 첨가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감자를 고형물비로 13.84% 첨가함으로써 호상요구르트의 기호성을 높이고, 식품 영양학적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세척용 시판 살균제 종류에 따른 신선편의 양상추의 저장 중 미생물 변화 (Effect of commercial sanitizers on microbial quality of fresh-cut iceberg lettuce during storage)

  • 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27-833
    • /
    • 2017
  • 시판 살균제의 실제 적용 시 감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양상추를 신선편의 가공하고, 세척 시 살균제로 이들을 적용한 후 저장 중 pH 및 일반세균, 효모, 곰팡이, 대장균, 대장균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살균제 스크리닝 결과, 0.02%의 염소수 처리 시 3.1 log 감소를, 1% 농도에서 acetic acid는 2.4 log, ascorbic acid는 1.3, citric acid는 0.7 log의 감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판 중인 살균제 대부분에서 2 log 의 감균 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을 신선편의 양상추에 적용하고 $10^{\circ}C$에 저장하면서 양상추의 pH 변화 및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초기 양상추의 pH는 살균제 용액의 pH에 따라 변화하고 있었는데, 용액의 pH가 가장 높은 칼슘제제(12.0)가 6.1, 가장 낮은 Formula 4(4%, pH 1.7)에서 가장 낮은 pH(4.7)로 나타났으며 저장일 경과에 따라 pH는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대장균군을 제외하고 0.02%의 염소수가 가장 높은 수준의 미생물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Formula 4, Fresh produce wash 모두 3% 이상에서 미생물 저해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Formula 4는 대장균 및 대장균군 저해 효과가 매우 좋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효모의 경우 염소수와 Fresh produce wash 및 알코올 살균제 중 키토콜과 칼슘 제제 처리구가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있었다. 시판 살균제에 따라 미생물 저해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염소수와 비교했을 때 초기 미생물 저해 효과는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부가적인 hurdle technology 및 공정관리를 통해 저장 중 항미생물 효과를 지속시킨다면 실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곰팡이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혼합 곡류 누룩의 품질특성 (Assessment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grain Nuruk Made with Different Fungal Strains)

  • 백성열;김주연;최지호;최정실;최한석;정석태;여수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3-108
    • /
    • 2012
  • 밀, 쌀 및 녹두를 분쇄 후 밀기울을 첨가하여 일정 비율(15:1:1:3)로 혼합한 곡물에 양조용 곰팡이의 균종을 달리하여 제조한 누룩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발효 시기별 일반성분 및 효소활성과 유기산 분석을 하였다. 누룩의 pH는 발효 시기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산도와 아미노산도는 두균을 혼합하여 제조한 누룩(AO-AK)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두 균을 혼합한 누룩이 단일 균을 접종한 누룩보다 ${\alpha}$-amylase 및 acidic protease의 효소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누룩의 유기산은 acetic, citric, formic, fumaric, lactic, malic 및 oxalic acid 등이 확인되었다. 전체 유기산 총량은 혼용누룩(2,116.3 mg%), A. kawachii SC60 단용누룩(1,608.5 mg%), A. oryzae RIB1353 단용누룩(1,146.7 mg%) 순으로 혼용누룩의 유기산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두 균주를 혼용하여 제조한 누룩이 단일균주를 사용한 누룩보다 유기산 함량, 효소활성 등 품질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여겨진다.

Recovery of Palladium from a Mixture of Pt, Pd and Rh by Solvent Extraction

  • Kim, berly S. Svalstad;Kim, Nam-Soo;Kenneth N. Ha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482-488
    • /
    • 2001
  • Platinum group metals (pgm) are useful to many industries such as chemical, dental and medical, petroleum, refin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and automotive. Researchers at the South Dakota School of Mines and Technology and PGM Recovery Ltd. have developed jointly an environmentally sound and metallurgically efficient process for extracting these metals from secondary sources. Once these metals have been dissolved in the leach liquor, the individual metals mainly platinum, palladium, and rhodium, should be separated in order to recover the individual metals with high purity. During this investigation, solvent extraction has been chosen as the method used to achieve the separation and extraction of platinum, palladium, and rhodium from the leach liquor. There were three solutions used throughout this procedure: 1) Synthetic solution (200 ppm Pt 80 ppm Pd 20 ppm Rh; 300 ppm Pt, 180 ppm Pd 50 ppm Rh), and 2) Auto catalyst leach liquors (100 ppm Pt, 30 ppm Pd, 20 ppm Rh). The solvents investigated included Lix 84(2-hydroxy-5-nonylacetonphenone oxime in a mixture with 5-dodecylsalicyloxime), Lix 84-I, ACORGA CLX-50 (diester of pyridine 3,5 dicarboxylic acid), and di-hexyl sulfide. The extraction values achieved using ACORGA CLX-50, Lix 84, and Lix 84-I were respectively Pt (25%, 0% 0%), Pd (100%, 99.8%, 95.3%), and Rh (99.1%, 35.5%, 4.25%). The stripping processes for the Lix 84, and Lix 84-I were proven to be more involved than others. The solutions were required to be simultaneously heated and stirred. The percentages acquired through these processes yielded unsatisfactory results. The stripping procedure for the ACORGA CLX-50 was easier to execute, yet the percentage recovered from this process was also unsatisfactory. Overall the di-hexyl sulfide has proved to be the most successful organic for this procedure. The average percent extracted for palladium was excellent with 99.9% - 100% with very little Platinum and rhodium extracted. The ability of stripping palladium in ammonia solution was also found to be excellent.

  • PDF

Solvent Treatment for PEDOT:PSS Conductivity Enhancement

  • 황기환;정원석;남상훈;유정훈;주동훈;부진효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3-333
    • /
    • 2013
  • The poor conductivity of poly (3,4-ethylene dioxythiophene): poly (styrenesulfonate) (PEDOT:PSS) film hinders to use for a flexible electrode in solar cells.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 that the conductivity of PEDOT:PSS film can be enhanced by modifying structures in a mixture of PEDOT: PSS aqueous solution and various organic solvents such as polar protic (2-propanol, methanol, ethanol, formic acid) and aprotic solvents (acetone and acetonitrile). To comparatively study the structural effects on the resulted electrical properties, the films are spin-coated on glasses and ITO. At the same time, a contact angle goniometer is used for clarifying a mechanism of wettability of PEDOT (hydrophobic) and PSS (hydrophilic) on the observed conductivity. The structures and electrical properties are investigated by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FM (Atomic Force Microscopy), and 4-point probe,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