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Paddy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29초

액비 및 유기농법 적용에 따른 농경지에서의 오염부하 원단위 평가 (Assessing unit load in farmland by application of liquid manure and organic farming)

  • 소현철;장태일;홍승길
    • 농촌계획
    • /
    • 제23권4호
    • /
    • pp.39-48
    • /
    • 2017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has proposed new methodology for estimating unit loa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st unit load based on short-term and local area based data. In the case of agricultural land, however, the results presented by NIER are still limited because of various agricultural activities and farmlan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liquid manure treated paddy field and organic farming upland were selected for considering agricultural diversity. Four different methods for evaluating unit load were used for comparing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different methods presented various trends compared with those of existing studies. Paddy field treated liquid manure was 1.3 times higher for T-N load and 3.1 times for T-P load than conventional paddy field. Conventional upland was 4.4 times higher for T-N load and 1.8 times higher for T-P load than organic farming upland. In the case of non-conventional farmland, this study showed different values with the unit loads presented by NIER.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apply the unit loads considering various agricultural conditions when establishing environmental policy and rural planning.

벼 재배시 혼합유기질비료 시용이 질소이용율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with Rice Cultivation on Yield and Nitrogen Use Efficiency in Paddy Field)

  • 조광래;원태진;강창성;임재욱;박경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52-159
    • /
    • 2009
  • 혼합유기질비료 시용 후 벼 재배시 무기태질소 함 량, 질소이용율, 수량 등을 조사하여 질소 화학비료 대체 가능성을 검토코자, 화학비료 3요소구, 혼합유기질비료 0, 100, 150% 시용구 등 5처리를 두어 2006년도에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 토양 중 $NH_4-N$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표면수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시험후 토양 중 Av. $P_2O_5$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에서 많았으나 Ex. K 함량은 적었다. 수도체 중 질소이용율은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아 질소 화학비료 대체 가능성이 있었다. 이앙 후 30일, 60일에서 경수는 혼합유기질비료 100% 시용구가 대조구 보다 많았다. 혼합유기질비료 중 질소 함량과 단백질 함량과는 정의 상관, 식미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 완전립 비율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다. 혼합유기질 비료 100% 시용구의 쌀 수량은 대조구 $4,892kg\;ha^{-1}$에 비해 4% 증가하였다. 벼 재배시 대조구의 쌀 수량과 대등한 혼합유기질비료의 시용량은 [질소 토양검정시비량 ${\div}$ 혼합유기질비료질소함량 $(g\;kg^{-1})/1,000{\times}0.93)/1,000$]으로 산출되었다.

개간 및 답전윤환 인삼재배지에서 유기물처리에 따른 토양생물상 변화 (Changes in Soil Biota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in Reclaimed Upland and Paddy-converted Soils Cultivated with Korea Ginseng)

  • 어진우;박기춘;연병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72-877
    • /
    • 2011
  • 인삼재배에서 논전환밭의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개간밭과 더불어 유기물투입의 효과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토양생물은 유기물의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유기물 시용이 토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유박과 퇴비를 개간밭과 논전환밭에 $20Mg\;ha^{-1}$$40Mg\;ha^{-1}$로 투입하였다. 미생물상 변화는 인지 질지방산을 분석하여 검정하였고, 동물상의 변화는 미소동물의 개체밀도를 측정하였다. 미생물에 대한 PLFA 지수나 미소동물의 밀도는 개간밭보다 논전환밭에서 높았다. 개간밭에서는 유기물 투입에 의한 처리간 차이가 적었다. 논전환밭에서는 퇴비 $40Mg\;ha^{-1}$ 처리구에서 날개응애 밀도가 증가하였고, 이들의 밀도는 곰팡이 PLFA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는 개간밭에서 유기물 함량이나 토양생물의 밀도가 낮은 심토로 개간하면 유기물을 투입하여도 토양생물에 대한 효과가 적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논전환밭에서는 유기물에 대한 토양생물들의 반응이 다르며 토양의 물리화학성도 토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논전환밭과 개간밭에서는 유기물에 대한 토양생물의 반응이 다르므로, 투입된 유기물의 분해나 이에 따른 양분의 순환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두 토양에서 시비방법을 다르게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월동기 논 생태계 절지동물의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of Overwintering Arthropods in a Paddy Field Ecosystem)

  • 서화영;이경주;황인수;주정일;김광호;공민재;최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17-422
    • /
    • 2021
  • 월동기 논과 논두렁에서 서식하고 있는 다양한 절지동물의 발생밀도를 조사하여 생물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력흡충기를 이용하여 논과 논두렁에서 각각 5지점씩 50×50 cm 격자 내에 있는 지표면과 식물을 흡입하여 채집하였다. 논과 논두렁에서 채집한 총개체수는 41,197개체였으며, 대부분 Collembola, Hemiptera, Diptera가 많이 채집되었다. 영농형태별 유기농법 재배지와 관행농법 재배지에서의 절지동물 출현패턴은 거의 유사하였으나 채집된 개체수는 유기농법 재배지에서 더 많았다. 종다양성지수, 종풍부도지수, 종균일도 지수는 논보다는 논두렁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고,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논과 밭 토양의 표면전하 특성에 미치는 토양 유기물 영향 (Effects of Soil Organic Matter on Surf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Paddy and Upland Soils)

  • 임수길;이문용;현승훈;이상은;정창윤;김정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4-419
    • /
    • 1998
  • 우리나라 논 밭 경작지 토양의 표면전하에 미치는 유기물의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화강암 풍화토(사촌통, 상주통)와 석회암 풍화토(율곡통, 평전통)를 가지고, 유기물 제거 전후 토양의 표면전화 특성을 이온흡착법을 이용하여 pH 3.5~9.0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유기물 제거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토양의 표면 음전하는 실험 pH 범위 내에서 pH 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pH 다누이 변화량에 대한 토양 표면 음전하의 단위 변화량(dCEC/dpH)을 토양 표면전하의 pH 의존성 지표로 제안하였다. 유기물 제거후에는 0.16~1.91의 범위로 크게 낮아졌다. 자연 토양 pH 조건에서 전체 토양표면전하량 중 유기물에 의한 표면전하량의 비율은 15.0~82.4% 범위로 나타났다. 토양유기물 1%가 발현하는 토양표면전하량은 $0.22{\sim}5.03cmol^+\;kg^{-1}$로 토양별로 차이가 컸다. 토양 유기물이 dCEC/dpH에 미치는 영향은 oxalic acid 추출 산화철 함량이 많은 논토양이 밭토양에 비하여 작았다.

  • PDF

농법 차이에 따른 농경지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 및 군집 구조의 변화 (Change in Bio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s in Agricultural Fields depending on Different Farming Methods)

  • 김훈;김교진;순옌;조영주;김태연;문명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7-706
    • /
    • 2018
  • 유기 농업은 토양에 물리적, 화학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군집 구조와 생태적 영향을 통해 생물 다양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충청북도 괴산 내 유기 농법 및 관행 농법 시행 논과 밭에서 육상 및 저서 무척추동물상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종 다양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 곳에서 총 680종(14,371개체)이 확인되었으며 유기 농법을 시행하는 지역에서 더 많은 종 수가 확인되었다. 특히 개체 수에 따른 다양한 지수 분석을 시행한 결과, 유기 농법 시행 논에서 관행 농법 시행 논에 비해 약 40% 높은 다양성이 관찰되었고, 밭의 경우 유기 농법 시행 지역에서 약 10% 높은 다양성이 확인되었다. 종 풍부도의 경우 유기 농법 시행 논에서 약 60% 높게 나타났고, 유기 농법 시행 밭에서는 약 40% 높게 나타났다. 우점도와 균등도 지수 분석 결과, 관행 농법 시행 논에서만 낮은 균등도와 특정 종의 우점도가 높게 나타나 부분적인 우점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 분포의 경우 네 곳 모두에서 노린재목, 파리목, 거미목의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체 수의 경우 유기 농법 시행 지역에서는 노린재목, 파리목, 거미목, 벌목의 개체 수가 가장 많았고, 관행 농법 시행 지역에서는 파리목, 노린재목, 거미목, 딱정벌레목의 개체 수가 높게 나타났다.

경남지역 논토양 지형과 화학성의 관계 (Topographical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손연규;이성태;허재영;김민근;김은석;송원두;장용선;전원태;옥용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3-148
    • /
    • 2012
  • 경남지역 논토양의 양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60 지점의 화학성분 변동을 1999년부터 2011년까지 4년 주기로 분석하였다. 논토양 pH,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 함량, 유효규산 함량, 치환성 칼슘 및 마그네슘 함량은 1999년에 비해 2011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기물 함량의 초과비율은 1999년 40.0%, 2003년 30.4%, 2007년 48.5%, 2011년 50.8%로 증가하였다. 유효인산 함량의 초과비율은 1999년 55.0%, 2003년 57.7%, 2007년 52.7%, 2011년 63.5%로 2배 이상 과잉 집적되었다. 유기물 함량은 홍적대지에서 가장 높았고 유효인산 함량은 산록경사지에서 가장 높았다. 논토양의 통계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통하여 경남지역 논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지형별 화학특성을 구별할 수 있는 중요인자로 판단되었다.

Analysis of Paddy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Quality in Central Area (Sejong) in Korea

  • Choi, Nag-Gor;Park, Jong-Hyun;Kang, Seong-So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1-70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review and compare crop cultivations upon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rice in Sejong-city from a point of view of farming extension to rice farmers and to utilize the result of the study as a basic guideline for precise agricultural practice. The pH in soils of Sejong was about 6.1-6.6 and had no difference with an average pH of paddy soils in Chung-Nam with pH 6.1. However, the average of organic matter, calcium (Ca) and available silicate in Sejong was lower than the average of them in Chung-Nam. The yields of rice were higher in 2010 than in 2011 and 2012, and the protein contents of rice were the highest in 2011 while the lowest water contents of rice in 2011. The protein contents upon regions were the highest in 2011 with 6.1%, and the amylose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Yeondong-myun, Jeoneu-myun, and Yeonseo-myun in 2010 while Kumnam-myun and Jeondong-myun were the highest in 2012. With the increase of precipitation, the protein content level in rice was increased while the amylose content level tended to decrease. Correlations between the 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and the quality of rice and between level of organic matter in soil and amylose contents were negative (r = -0.507),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isture contents and amylose contents (r = 0.419) and between the water contents and whiteness (r = 0.485) were positive. Becaus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rice yield is determined by the soil characteristics, the consultation to farmers for the proactive soil analysis and for the maintenance of stable level of pH,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silicate based on historical results of analysis is highly recommended. Also, the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weather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rice would be another good way.

Dravya: a Putative Organic Treatment against Alternaria padwickii Infection in Paddy

  • Sathyanarayana, S.G.;Lokesh, S.;Vasanth Kumar, T.;Shetty, H.S.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0권1호
    • /
    • pp.21-25
    • /
    • 2006
  • In the present study, Dravya-an organic compound used for seed treatment along with the common fungicides to test its compatibility in the management of Alternaria padwickii in paddy. Dravya (a sea weed extract) was found highly compatible with fungicides like Bavistin and Dithane M-45. Incidence of Alternaria padwickii and Bipolaris oryzae was also reduced to a greater extent in the paddy seed samples of Dravya treatment. On the other hand, it also enhanced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vigour. Seedlings of treated samples also showed enhanced activity of peroxidase upon challenge inoculation with Alternaria padwickii. The enzyme activity in the seedlings challenged with the pathogen was two fold more over control. The suppression in disease incidence in growing plants indicated the promising effect of Dravya and Dithane M-45 under green- house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