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Chemicals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25초

TOF-SIMS를 이용한 광물 표면의 단층조직 분석 연구 (Mono-layer Compositional Analysis of Surface of Mineral Grains by Time-of-Flight Secondary-Ion Mass Spectrometry (TOF-SIMS))

  • 공봉성;;김주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7-134
    • /
    • 2005
  • 금속제련공학 및 환경과학 분야에 있어서 물질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적 조성이 중요한 요소이나, 입자 표면의 화학조성과 미분화된 입자들의 표면 반응성을 제어함과 동시에, 입자 계면에서 일어나는 중금속과 유기물질등의 반응은 제련공정과 환경오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여러 종류의 화학 물질과 광물입자 표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계면반응 과정의 이해는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자 표면 분석에는 ex-situ 법을 사용하는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분석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는 분석대상시료의 크기가 보통 100 마이크론에서 1 cm 정도의 범위 안에 혼재-혼합되어있는 고체 입자들을 분석하기 때문에 채취 분석된 X-ray의 원래 발산한 입자표면을 분석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Time-of-Flight Secondary-Ion Mass Spectroscopy (TOF-SIMS)를 응용하여 황화광물의 부유선광 공정 중 생성된 미세한 유화광물입자$(30\~75\;microns)$ 표면에 형성된 무기, 유기물의 반응 관찰을 통해 이들의 정성분석 및 상대적 정량분석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Allium속 방향성 성분의 분석과 방향성 성분이 고자리파리(Delia antiqua) 산란에 미치는 영향 (Analyses of Valatile Compounds from Allium sup. and Ovipositional Response of Delia antiqua to Various Volatile Chemicals)

  • 김영회;조형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1호
    • /
    • pp.12-19
    • /
    • 2001
  • Allium속 작물의 방향성 성분을 분석하고 방향성 성분이 고자리파리 산란에 미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Allium속 작물의 주요 방향성 성분은 sulfide계 화합물로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마늘(66.1%), 대파(66.1%), 쪽파(62.3%), 양파(39.2%) 및 부추(4.2%)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cyclooctasulfur가 소량으로 대파, 쪽파, 풋마늘에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용매에 의한 조추출물이 고자리파리의 산란에 미치는 정도는 dichloromethane의 경우 마늘(32.1%)과 부추(7.2%)에서 최고와 최저를 나타내었으며, 증류수를 통한 조추출물은 쪽파(29.7%)와 부추(12.3%)에서 최고와 최저를 나타내었다. Allium속 방향성 성분을 회석하는데 선발할 유기용매에 대한 산란 반응은 ethyl alcohol(52.5%)과 ether(5.9%)에서 최고와 최저를 나타내었다. Diallyl disulfide(1%)를 이용하여 방향성물질의 양에 따른 산란정도는 20 ${\mu}(26.6%)$ 100 ${\mu}(14.0%)$에서 최고와 최저를 나타내었다. Sulfide계 화합물을 중심으로 한 산란선호성은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allyl sulfide(17.2%)와 acethylthiophene(0.8%)에서 최고와 최저를 나타내었고, 100% 농도의 경우 ethyl alcohol이 43.3%로 많은 산란을 하였다. 방향성 성분의 농도별 산란은 sulfide 화합물의 경우 주로 I% 농도에서, ethyl alcohol은 고농도에서, 그리고 기타 성분은 각기 다른 농도에서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특히 100% 농도는 dimethyl disulfide와 ethyl alcohol를 제외하고는 수분만을 포함한 모래를 사용한 대조구보다 낮은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물질에 대한 반응은 furfuryl mercaptan에 46.9%의 많은 산란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온천 배수 유입에 따른 소형 하천의 생태계 변화와 회복에 관한 연구 -소형 하천에서 온천 배수가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rmal Effluents on the Epilithic Algal Community in Small Stream Originating from the Seokjung Hot Spring)

  • 정연태;문연자;김미연;최민규;길봉섭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345-358
    • /
    • 1999
  • 본 연구는 온천 배수의 유입이 소형 하천의 부착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전북 고창군 석정온천에 발원하는 하천과 그 주변의 소형 하천을 대상으로 1996년 2월부터 1998년 9월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온천 배수의 유입이 직접 일어나는 지점에서는 저온기에 남조의 Oscillatoria와 Phormidium이 중심이 된 독특한 남조피막이 형성되었다. 특히, 부착조류의 출현 및 군집구조는 온천 배수의 영향 하천과 비영향 하천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전체적으로 조사시기에 상관없이 규조의 높은 종 출현(전체의 58%)과 남조강의 높은 생물량(전체의 67%)이 대조적이었으며, 전자는 하천의 하류에 주로 분포하고, 후자는 집중적으로 상류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동계에 뚜렷하였으나, 계절이 전환되면서 보이지 않았다. 녹조와 유글레나류 등은 계절 및 지점에 큰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대부분의 환경요인들은 하천방향을 따라 강하게 감소하였으나, 질산성 질소는 하천방향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본 조사하천은 온천 이용이 저온기에 집중됨으로서, 배출지점에 남조피막과 같은 독특한 하천생태계가 형성되지만, 하천방향에 따라 비영향 하천의 유입, 남조피막과 하천퇴적물과의 상호작용 등에 의한 화학물질의 빠른 감소로 하천의 하류로 갈수록 심한 오염현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온천배수의 지속적인 유입이 이루어진다면, 하천의 퇴행적 천이가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알킬페놀류 화합물의 양서류 발생독성: 종설 (Developmental Toxicity of Alkylphenols in Amphibians: A Review)

  • 박찬진;안혜선;안효민;계명찬
    • 생태와환경
    • /
    • 제44권2호
    • /
    • pp.103-112
    • /
    • 2011
  • 내분비계장애물질과 같은 유기화합물에 의한 수계의 오염은 지구적인 양서류 감소의 원인으로 의심되고 있다. 양서류는 수정 후 변태에 이르는 생활사를 수중에서 진행하므로 수환경 오염물질에 의한 독성효과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모델이다. 또한 양서류는 인간을 비롯한 육상척추동물과 발생학적으로 많은 공통점을 가지므로 공중보건학적 관점에서도 수환경 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에 적항한 모델생물이다. 특정 화학물질이나 환경매체의 안전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수환경의 독성물질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독성종말점에서 독성정보가 필요하다. 알킬페놀류 화합물은 농업, 공업, 가정활동에 사용되고 있으며, 수환경 내에 잔류하여 다양한 수생동물에서 내분비계장애효과를 갖는다. 본 소고에서는 양서류의 배아, 유생을 대상으로 알킬페놀류 화합물의 종류별, 노출경로 및 농도, 노출 시기에 따른 발생장애와 발생기형 유발효과와 그 기작에 관한 국내외 자료를 정리하였다. 육수환경 잔류 오염물질의 중장기 노출독성 평가모델로서 양서류배아 발생독성평가법의 유용성을 제안하였다.

環境汚染의 解決을 위한 綜合科學的 接近方法 (I)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the Solution of Enviromental polution)

  • 신현덕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7-216
    • /
    • 1979
  • Environmental pollution or contaminations caused by various kinds of pollutants have become one of most serious problems of our time. Environ mental pollution is the unfavoralble alteration of our surroundings, through direct or indirect effects of changes in energy patterns, rediation levels, chemical and physical constitution and abundances of organisms. These changes may affect humans directly or through their supplies of water and of agicultural and other biological products, their physical objects or possessions, or their opportunities for recreation and appreciation of nature. Pollutants that meet the criteria of this defini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e numerous: gases (such as sulfur dioxide and nitrogen oxides) and paniculate matter (such as smoke particles, lead aerosols, and asbestos) in the atmosphere; pesticides and radioactive isotopes in the atmosphee and in waterways; sewage, organic. chemicals, and phosphates in water; solid wastes on land; excessive heating (thermal pollution) of rivers and lakes; and many others. Some of these pollutants are introduced into the environment naturally, others by human actions, and most in both ways. Our major concer is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resulting wholly or largely as a by-product of human activities, because these can be controlled most readily. Environmental pollution cannot be solved by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It should be handled by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combined methods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wen as social science disciplines for the better solution of this critical problem. In this respect, introducing "Environmental Science," a new scientific approach for the solu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is now widely accepted by most developed countries of the world will be very helpful for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basis for a new scientific approach to environmental pollution. Environmental science is "the study of all systems of air, land, water, energy, and life that surround Man. It includes all sciences directed to the system-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drawing especially upon such disciplines as meteorology, geophysics, oceanography, and ecology, and utilizing to the fullest knowledge and techniques developed in such fields as physics, chemistry, biology, mathematics and engineering as well as many social science disciplines, such as economics, such as economics, law, political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The components of this discipline are not new, for they are drawn from existing areas of science within biology chemistry, physics, and geoscience. What is really new about environmental science, however, is it siewpoint - its orientation to global problems, its conception of the earth as a set of interlocking, interacting systems, and its interest in Man as a part of these systems.

  • PDF

농약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시스템 연구 및 그 응용 (Biosensor System for the Detection of Agrichemicals and Its Applications)

  • 박태정;양민호;이상엽;김수현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227-238
    • /
    • 2009
  • 현재까지의 농약 검출용 바이오센서는 화학 센서, immunoassay, 화학 테스트 킷과 같은 다른 잘 알려진 분석 방법들과 경쟁적으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바이오센서가 농약을 증명하는 간단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chromatography 방법들을 대체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정량적 분석 방법이 아직도 미비하다. 안정하고 강력한 바이오센서의 발전을 위해서 유전자 조작을 이용한 효소 개량을 통해 좀 더 민감하고 반응속도가 빠른 생촉매와 특이성이 높은 항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바이오센서의 안정성 개선과 transducer 표면으로부터의 빠른 신호 전달을 위해 새로운 고정화 방법이 탐구되어져야 한다. 비록 약간의 방법들이 시료의 전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지라도 센서의 안정성은 또 다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래서 현장 적용을 위해, 보다 간편한 시료의 전처리과정 혹은 직접적인 분석 방식이 동일시되어 개선되어야 한다. 향상된 fabrication 기술을 이용한 소형화 센서 혹은 일회용 킷의 개발은 개인용 및 산업용, 의약용 등의 여러 분야에서 실시간으로 분석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실제 샘플의 빠르고 자동화 및 소형화된 분석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장차 매우 선택적인 다중 검출 바이오센서의 설계에 더 많은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앞으로 잔류농약 검출을 위한 휴대형 바이오센서의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서, 무엇보다 현재의 GC, LC (혹은 GC/MS, LC/MS) 분석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샘플 전처리 방법의 경우, 다량의 샘플로부터 유기용매 등을 이용한 추출방법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샘플 전처리를 간소화하고 간단한 측정방법으로 전체의 측정결과를 대변할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하고 잔류농약의 법적 허용기준과 적용이 가능한 방법을 찾아내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저가 탄소섬유를 이용한 악취제거 기술 개발 (The Preparation of Low Cost Activated Carbon Fibers for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hemicals and Odor)

  • 임연수;유기상;김희석;정윤중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928-93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AN계 안정화섬유를 원료로 하여 수증기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에 의해 여러 등급의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고, 비표면적, 요오드 흡착량, 미세구조, 세공구조 등을 측정하여 제조조건에 따른 그 특성변화를 고찰하였다. 수증기를 이용한 물리적 활성화에서 기존의 탄화과정과 활성화과정의 2단계를 이용한 공정과, 탄화공정과 활성화 공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1단계 활성화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저가로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연구하였다. 2단계 법에서는 안정화 섬유를 $900^{\circ}C$에서 탄화한 후 이를 다시 $900^{\circ}C$에서 활성화하는 방법으로 $1019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소섬유를 얻었으나 1단계 방법에서는 $900^{\circ}C$에서 $1636m^2/g$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들 활성탄소섬유 사이에는 비표면적, 요오드 흡착력, 기공분포 등이 서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Brunauer-Deming-Deming-Teller(BDDT)에 의한 분류에서는 제I형을 나타내는 공통점도 가지고 있었다.

  • PDF

대구지역의 빗물 중 화학적 성분의 계절별 및 지역별 농도분포 (Seasonal and Regional Concentr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in Rainwater in Daegu Area)

  • 송희봉;이은경;정동숙;김인옥;이명숙;권병윤;이경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2-526
    • /
    • 2006
  • 대구지역에 내린 빗물의 수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채취한 빗물시료 34개에 대하여 pH, 전기전도도 TOC, TIC TC와 같은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화학성분의 농도는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업지역과 상업지역은 주거지역과 대조지역보다 화학성분의 농도와 전기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산성우의 발생빈도(27.2%)가 비산성우(72.8%)에 비해 훨씬 낮았고, 또한 TC의 구성비율은 유기성인 TOC(72.5%)가 무기성인 TIC(27.5%)보다 높게 나타났다. 강수가 잦을수록 화학성분의 농도는 어느 정도 낮아지고, 반대로 무강수일이 길수록 화학성분의 농도가 높아졌다. 2003년에 비해 2005년의 대기질이 다소 개선된 원인은 환경행정당국의 대기오염 저감노력과 함께 지역 경기침체로 인한 다양한 영향을 받는데 있었다.

경인지역 대규모 사업장과 소규모 사업장의 작업환경 및 종사 근로자의 질병 이환율 비교 (Comparisons on the worker's health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 between small and large industries in Kyeungin industrial complex)

  • 원종욱;송재석;노재훈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2호
    • /
    • pp.392-401
    • /
    • 1997
  • Generally working environment and worker's health status of small scale industries (SSI) which employ less than 50 workers are known to be poorer than those of large scale industries(LSI) which employ more than 500 workers.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injuries in Korea, prevalence rate of occupational injuries of SSI was 3.1 times as high as LSI.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valence rate of occupational disease and werkers with suspected occupational disease(D1) between SSI and LSI. To confirm these two different facts, we surveyed working environment and worker's health status of SSI and LSI in Kyeungin industrial complex. Workers in SSI were 10,878 and workers in LSI were 8,291 and number of hazardous agents in SSI were 3,554 and those of LSI were 1,916. We found following results. First, proportion of male workers and workers who were less than 30 yens old and more than 50 yens old was higher in SSI compared to LSI. Second, worker in SSI had more liver disease, viral hepatitis, and pneumoconiosis than in LSI, and there were more worker with suspected occupational disease, general disease, and worker needed close observation in SSI. But these effects had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under the condition controlled by age and sex with logistic regression. Third, the numbers measured for specific chemicals, organic solvents, and heavy metals in SSI was more than in LSI. However there was on difference in the excess rate of each hazardous agent between SSI and LSI. As the above results workers' health status in SSI was poorer than in LSI, but these results were mainly due to the population structure difference. Although there were som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problems of sensitivity and validity for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 the concept that working environment and worker's health status in SSI should be reviewed. In future the study that will reveal the real weak point of SSI should be performed.

  • PDF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유해작업환경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harmful working environments for Increase of Labor productivity.)

  • 조태웅;유익현;박성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44
    • /
    • 197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armful factors in working environments and to investigate the labor productivity after improvement of environments, surveying 93 industrial establishments of 10 industries located in Youngdeungpo industrial area in Seou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highest noise level of 125dB(A) was indicated at the rolling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2) The best illumination level was shown in precise machinery industry and the worst was indicated in rubber products, metallic products and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es. 3) Thermal conditions were above threshold limit value (TLV) at more than two processes of all industries except printing industry. 4) The highest dust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in textile and wearing manufacturing industry. 5) Organic solvents were detected at 52 processes in 93 industrial establishments and 33 processes of them showed higher than TLV. The results about harmful chemicals were as follows: a) sulfur dioxide ($SO_2$)was determined higher than TLV on welding process of metall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and heat treatment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b) Carbon monoxide (CO) concentration was 700ppm at heat treatment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indicating 14 times of TLV. c) vinylchloride concentration in the air of PVC raw material mixing process and PVC preparation process of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was determined higher than TLV. d) Hydrochloride (HCl) concentration in the air of wire expanding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was determined higher than TLV. 7) Higher values of lead concentration than TLV were determined at lead welding metall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and type planting process of process of printing industry, $1.8mg/m^3$ and $0.3mg/m^3$ respectively. 9) 22, 968 of 52, 855 workers (i.e. 43.5%) in 93 industries were exposed to various harmful agents. 10)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illumination in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40 lux to 420 lux) resulted in an increase in productivity of 6.5% per capita and a decrease in faulty products of 19%. 11) Improvement of environments using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resulted in a decrease of harmful substances lower than TLV and an increase in productivity of 11.4%. 12) Improvement of shovelling tools based on ergonomics resulted in a reduction in energy expenditure of 25.3% and an increase in productivity of 32.2% per capi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