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inary Least Square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72초

Domestic Government Debt and Economic Growth in Indonesia: An empirical analysis

  • Bukit, Alexander Romarino;Anggraeni, Lukytawati
    • 융합경영연구
    • /
    • 제5권1호
    • /
    • pp.27-37
    • /
    • 2017
  • Domestic government debt securities is one of the steps which is taken by the government of Indonesia as a major source of financial budget, covering for the budget deficit, debt payments and interest deb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know the development of budget deficits, government debt and impact of domestic government debt securities against economic growth in Indonesia. Method of analysis us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analyzing the impact of the domestic debt against economic growth in Indonesia. This research uses time series data from 1997 to 2014. Total government debt and domestic government debt securities in Indonesia increased during the last five years. The average of domestic government securities was above 50 percent of the total government debt. Estimated results showed domestic government debt securities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to economic growt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has a negative effect to economic growth. Other variables such as the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and receipt of remittance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total imports and government expenditure have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against economic growth.

장수의 환경생태학적 요인에 관한 지리가중회귀분석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Environmental-Ecological Factors of Human Longevity)

  • 최돈정;서용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7-63
    • /
    • 2012
  • 정규최소자승법(OLS : Ordinary Least Square)은 장수인구의 지역적 분포와 적용된 환경변수들의 관계가 공간상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장수현상이나 그와 관련된 변수의 공간적 특성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지리가중 회귀분석(GWR :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모형은 지리적 가중 함수를 통해 인접지역들의 공간적 유사성을 대변할 수 있다. 또한 환경특성에 따른 장수인구분포의 공간적 변이를 국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장수의 환경생태학적 요인들에 대해 보통 최소자승법과 GWR모델간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GWR모형이 OLS모형보다 높은 모형 부합도를 가지고 특정 환경 변수가 가지는 효과에 대한 공간적 변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위회귀를 이용한 한반도 연안 해면 고도의 장주기 선형 추세 분석 (Analysis of Long-term Linear Trends of the Sea Surface Height Along the Korean Coast based on Quantile Regression)

  • 임병준;장유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2호
    • /
    • pp.63-7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분위회귀를 이용하여 1993~2016년 동안의 한반도 조위 자료의 장주기 선형 추세를 분석하였다. 일반 선형회귀(OLS: Ordinary Least Square)와 50% 중간 분위 회귀 결과를 비교했을 때 특히 황해에서 약 2~3 mm/year의 회귀 결과의 차이를 발견하였으며, 이는 극한 값 변화에 기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해역별로 하위(1%) 분위와 중간(50%) 분위, 상위(99%) 분위의 값이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황해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상위 분위와 하위 분위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미한 "상향 발산형" 회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상위 분위가 중간 분위에 비해 유의미하게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남해안에서는 상위 분위가 하위 분위보다 더 작은 증가 값을 가지는 "상향 수렴형" 회귀 결과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조화 분석을 통해 알려진 조석 분조들을 제거한 결과에서는 없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분위 회귀의 지역적 특성은 조석 세기의 장주기 변동과 연관이 있다고 추측된다.

확정기여형 연금에서의 우리사주와 2006년 연금보호법의 효과 (Employee ownership in Defined Contribution and the Effect of the Pension Protection Act of 2006)

  • 박희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33-242
    • /
    • 2020
  • 우리는 확정기여금 제도를 통한 근로자의 우리사주 소유가 경영진의 경영권 통제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보고, 2006년 미국 연금보호법 제정이 근로자의 우리사주 소유와 기업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1999년부터 2014년까지의 Form 5500 데이터를 이용해서 선형 회귀분석(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을 실시했다. 그 결과 우리는 근로자의 우리사유 소유가 높은 회사는 법이 채택된 이후 토빈의 Q로 측정한 기업 가치가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2006년 연급보호법은 인해서 근로자의 우리사주 소유를 감소시키고 수탁자의 충실의무를 강화함으로써 경영권 통제 동기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2006년 연금보호법 제정이 근로자의 우리사주 소유와 주식성과 혹은 시장반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회귀식 사용에 따른 화학 분석 과정의 불확도 처리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Uncertainty in Linear Regression Method for Chemical Analysis)

  • 우진춘;서정기;임명철;박민수
    • 분석과학
    • /
    • 제16권3호
    • /
    • pp.185-190
    • /
    • 2003
  • 회귀식 사용에 따른 불확도 계산의 정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정된 방법의 최소제곱법(Modified Least Square Method, MLS)과 회귀식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불확도 처리 과정을 각각 1차 식에 적용하고 비교하였다. 회귀식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불확도 처리 과정에서, 대부분의 경우 불확도 값이 크게 계산되고 있어 확률적으로 안전한 범위를 표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표준시료 농도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클 때 (교정점이 우발적으로 흩어지는 정도의 표준 편차가 5% 수준, 표준시료 농도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7% 수준) 회귀식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불확도 계산 방법으로 얻은 값이 고 농도 측정에서 매우 작게 평가되고 있어 확률적으로 매우 위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경우, 통계학적으로 불확도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하여, 수정된 방법의 최소제곱법이 유리하다고 판단하였다.

적응적 p-Version 유한요소법에서 정규 크리깅에 의한 응력복구기법 (Stress Recovery Technique by Ordinary Kriging Interpolation in p-Adaptive Finite Element Method)

  • 우광성;조준형;이동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A호
    • /
    • pp.677-687
    • /
    • 2006
  • 크리깅 보간법은 지구통계학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보간법의 하나이다. 이 방법은 실험적 베리오그램과 이론적 베리오그램의 작성과 크리깅 보간법의 정식화에 관한 연구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응력복구를 위한 최소제곱법과 대조적으로, 가우스적분점에서의 응력데이타로부터 준정해를 얻기 위해 가중 최소제곱법에 기초를 둔다. 즉, 동일한 가중치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식들과는 달리 가우스적분점에서의 응력값의 보간을 위하여 베리오그램 모델링을 통한 가중치가 결정된다. 한편, 분할된 요소망에 Zienkiewicz와 Zhu에 의해 제안된 SPR기법에 기초를 둔 사후오차평가를 통해 p-차수를 균등 또는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자동체눈 방식이 도입되었다. 이 방법의 정당성을 보기위해 인장력을 받는 개구부를 갖는 평판문제를 해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최소제곱법과의 비교를 통한 크리깅보간법의 정당성을 보여 주었다.

NLS와 OLS의 하이브리드 방법에 의한 Bass 확산모형의 모수추정 (A Parameter Estimation of Bass Diffusion Model by the Hybrid of NLS and OLS)

  • 홍정식;김태구;구훈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4-82
    • /
    • 2011
  • The Bass model is a cornerstone in diffusion theory which is used for forecasting demand of durables or new services. Three well-known estimation methods for parameters of the Bass model are Ordinary Least Square (OLS),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MLE), Nonlinear Least Square (NLS). In this paper, a hybrid method incorporating OLS and NLS is presented and it's performance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OLS and NLS by using simulation data and empirical data. The results show that NLS has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accuracy and our hybrid method has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stability. Specifically, hybri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with less data. This result means much in practical aspect because the avaliable data is little when a diffusion model is used for forecasting demand of a new product.

정상 비모수 자기상관 오차항을 갖는 회귀분석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regression with stationary nonparametric autoregressive errors)

  • 유규상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1호
    • /
    • pp.157-169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비선형 자기회귀 과정을 따르는 오차항을 포함한 회귀모형에서 계수추정법의 비교를 다룬다. 비교를 위해 통상적 최소제곱추정량, 일반화 최소제곱추정량, 모수적 회귀오차 수정법, 비모수적 회귀오차 추정법을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비선형 자기회귀모형의 성질을 전형적인 몇가지 비선형자기회귀 모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비교연구의 결과 네 가지 추정량 중에 모든 상황에서 최선인 추정량은 존재하지 않았으나 비모수 회귀오차 수정 방법이 일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충북 지역 노인들의 삶의 질과 주관적 건강도의 선행요인에 대한 탐구 (Exploration of Antecedents of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Healthiness for Senior Citizen at Chungbuk Province)

  • 송명근;이원석;문준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417-431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Chungbuk province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aging dat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sed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healthiness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selected perceived healthiness, economic participation, annual travel frequency, religion, and fellowship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o account for quality of life. For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implemented econometric analysis, which includes ordinary least square, one-way fixed effect, and feasible generalized least square. Findings - Perceived healthiness positively affected quality of life. Also, quality of lif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economic participation and annual travel frequency. However, religion and fellowship appeared as non-significant attribute to account for quality of life. The results also present that perceived healthiness is positively influenced by economic participation, annual travel frequency, and fellowship.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Given the results, this offers the implication for the senior citizen welfare policy. This study also produced policy implication for local community.

Tutorial: Methodologies for sufficient dimension reduction in regression

  • Yoo, Jae Ke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3권2호
    • /
    • pp.105-117
    • /
    • 2016
  • In the paper, as a sequence of the first tutorial, we discuss sufficient dimension reduction methodologies used to estimate central subspace (sliced inverse regression, sliced average variance estimation), central mean subspace (ordinary least square, principal Hessian direction, iterative Hessian transformation), and central $k^{th}$-moment subspace (covariance method). Large-sample tests to determine the structural dimensions of the three target subspaces are well derived in most of the methodologies; however, a permutation test (which does not require large-sample distributions) is introduced. The test can be applied to the methodologies discussed in the paper. Theoretical relationships among the sufficient dimension reduction methodologies are also investigated and real data analysis is presented for illustration purposes. A seeded dimension reduction approach is then introduced for the methodologies to apply to large p small n regre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