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dinance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4초

항만공사(PA) 운영 활성화를 위한 법률 정비와 지원조례 설치방안 -부산항만공사와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Managing Legal Issues and Developing Ordinance for the Effectiveness of Port Authority: Focused on Busan Port Authority and Busan Metropolitan City)

  • 손애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
    • /
    • 2004
  • This study deals with legal issues and solutions for a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Busan Port Authority(BPA) and proposes Busan Metropolitan City Ordinance for the effectiveness of BPA because the role of BPA is to improve Busan regional economy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In order to prepare the ordinance,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urrent legislation related to Port Authority(PA), which empowers central government to control the management of port, should be amended to strengthen the port autonomy by allowing PA and local government to control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n port independently and enabling the building of cooperative system from the City for BPA.

  • PDF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자치법규 분석 (Analysis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Library)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7-138
    • /
    • 2014
  • 본 연구는 전국 245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가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 자치법규를 전수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자치법규 제정현황을 점검하고, 도서관 설치 및 운영을 뒷받침하는 법제적 근거로 작용할 수 있는 자치법규 제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245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도서관 자치법규는 조례가 393건, 규칙이 187건, 훈령(규정)이 43건, 예규(지침)가 6건으로 모두 629건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도서관 관련 자치법규가 전무한 지방자치단체는 32개이며, 도서관운영 조례가 없는 지자체는 40개, 작은도서관 운영조례가 없는 지자체는 144개, 독서문화진흥조례가 없는 지자체는 196개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서관 자치법규 제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도권 한방난임치료지원 조례 제정의 정책 확산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Ordinance Enactment for Supporting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in the Metropolitan Area)

  • 김윤환;임병묵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7-124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nactment of local municipalities' ordinance for supporting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s : For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data on the enactment of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and socio-demographic data of the local municipaliti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Enhanced Local laws and regulations Information System and on-line statistical databas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w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budgeting of local municipalities, the number of population, the number of births, the number of Korean Medicine doctors,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 Up to 2000, the ordinances for supporting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were enacted in 16 local municipalities and the budget for that was supported by 18 local municipalities. Regarding the effect on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s, it was found that budgeting of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had a positive (+) effect, and the metropolitan government's budgeting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had a negative (-) effect.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rdinance for Korean Medicine infertility treatment is a policy tool derived based on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faced by each local municipality rather than the political influence of health provider's groups.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분석 (Analysis of Ordinance in a Local Government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ferential Purchasing System of Products Manufactured by Disabled)

  • 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32-745
    • /
    • 2016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조례분석을 통해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활성화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015년 7월 현재 지방자치단체가 제정 또는 입법예고한 조례 44건을 조례의 각 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전국 지자체 중 44개 지자체에만 조례가 제정되어(18.1%) 더 많은 지자체의 조례제정이 필요하다. 둘째, 조례의 구성내용 분석결과 조례의 목적 및 적용대상기관, 이행계획, 구매 협조 요청, 구매촉진 의무는 대부분의 지방차지단체에서 제시되고 있었다. 반면에 그 외 항목은 명시되지 않은 곳이 많았고 특히, 지자체장의 책무는 30개만 명시되어(68.1%) 있었다. 셋째, 상위 법령 위반(불일치) 조항이 있었다. 넷째, 이행계획 수립을 위한 위원회 설치에 관한 조항은 한 곳도 명시되지 않았다. 우선구매 확대를 위해 계획단계에서부터 학계, 현장, 장애인당사자가 포함된 위원회 설치의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적극적인 우선구매를 위한 조례 항목의 신설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생산 유통 판매 기반마련을 위한 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중앙정부가 지자체의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관련 조례와 실적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LID관련 지방정부 조례제정 특성 기초연구 - 서울시, 수원시, 남양주시를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features of LID-related Ordinance Enactment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 - mainly on Seoul City, Suwon City and Namangju City -)

  • 이미홍;한양희;현경학;임석화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1호
    • /
    • pp.25-40
    • /
    • 2016
  • 본 연구는 저영향개발(LID)의 전국적 확산을 위해 실질적으로 시설의 설치 및 관리의 주체가 되는 국내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제도인 조례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이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방정부에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저영향개발(LID)과 연관된 주요 검색어 4개(물의 재이용, 빗물, 물순환, 저영향)를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추출하였으며, 법제처 사이트 검색을 통해 주요 검색어가 포함된 99개의 관련 조례를 도출하여, 이를 검색어별 지방정부 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과거 2000년대 중반에 제정된 빗물관련 조례가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한 조례로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물순환과 저영향이라는 키워드를 포함한 조례가 현재 전국에 3개(서울특별시, 남양주시, 수원시)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적으로 저영향개발(LID)를 포함하고 있는 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업무 담당자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의 빗물, 물의 재이용 관련 조례는 강우강도 불투수율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하기보다 행정자치부가 배포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정되고 있어 내용상 지자체마다 동일하다. 둘째, 현재 제정된 조례가 단순한 기술 시설에 국한되어 있어 토지이용 및 공간을 포함하는 저영향(LID) 개념을 포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저영향개발(LID)의 의미를 올바로 반영하기 위해서는 서울특별시와 같은 관련 조례 제정 및 강우강도, 불투수율 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파트단지 설계기준 평가를 통한 설계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ontrol Through the Evaluation of Design Guidance for Apartment Complexes)

  • 안건용;김귀곤;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5-32
    • /
    • 1986
  • Today, the control and criteria of design for apartment site are heavily dependent on laws and ordinance in Korea. But they are indefinite and some part which are deficient in laws and ordinance, are dependent on professional judgement. So trey are not consistent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ir ap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damental date for the future establishment of better control and criteria, by way of evaluation method about existing control and criteria of design in apartment site in the countr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reviewing the present laws and ordinance, carrying out the questionaire survey and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by doing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are as follows; 1) More definite criteria of site density are necessary. 2) Stricter criteria and control about the orientation are indispensible for more efficient use of site. 3) More diverse facilities must be provided. 4) The laws and ordinance must be strengthen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landscape area. 5) It is desirable to provide the criteria of bicycle road to save energy. 6) The facilities criteria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must be strengthened. 7) The mechanism for the reflection of habitant's attitudes and beliefs should be established. 8) It's necessary to simplify the permission procedure to save tilde and money.

  • PDF

사회복지사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분석 (Analysis of Ordinance for Labor Conditions Improvement of Social Worker)

  • 이용재;원훈희;강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89-199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향상을 위해 제정된 지방자치단체 조례분석을 통하여 사회복지종사자 등을 위한 조례제정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7월까지 현재 지방자치단체가 제정 또는 입법예고한 조례 42건을 대상으로 조례의 각 항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례의 구성내용 분석결과 조례의 목적, 적용대상, 지자체장의 책무, 실태조사, 지원계획 수립, 처우개선 등 사업은 42개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동일하게 제시 되었다. 반면에 처우개선위원회, 포상은 없는 지방자치단체가 상당히 많았다. 둘째, 사회복지종사자 처우개선 수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는 조례가 많아서,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종사자 인건비기준 혹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수준 등으로 사회복지종사자 처우개선 수준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위해 실태조사 기간이 명확치 않으며 처우개선을 논의하기 위한 조직과 지원체계가 명확치 않았다. 따라서 사회복지종사자 처우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기간을 명시하며 주기적으로 실태를 파악하도록 하고, 사회복지종사자 처우개선 위원회 등을 조직하여 지원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nalysis of Festival Ordinances of Gyeonggi Province: Focusing on Developing A Representative Festival of Seongnam City

  • PARK, Hyun Jung;HAN, Seon Mi;KWON, Ki Hyun;SEO, Won Jae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9
    • /
    • 2021
  • Purpose: In Seongnam City, a number of festivals are held in various areas, led by the city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representative festival of Seongnam City, which can enhance the brand value of Seongnam, a cultural city, and promote a sense of local community and economic effects, is emer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estival-related ordinances of Gyeonggi-do local governments, and to deriv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festival support ordinances representing Seongnam C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d the database of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of the Ministry of Legislation and the autonomous legal information system to thoroughly investigate the ordinances related to festival support of basic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and the whole country. To do th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168 organizations (68.6%) of 245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have adopted the festival support ordinance, and there are a total of 231 ordinances. In the case of basic organizations, out of 228 basic organizations, 151 organizations, including Seongnam City, adopted the ordinance on festival support, showing an adoption rate of about 6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asic organizations that enacted representative festival related ordinances among Gyeonggi-do basic organizations, 9 out of 28 cities adopted 16 representative festival ordinances, based o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supporting representative festivals. Conclusions: In the case of Seongnam City, it is believed that in order to develop a representative festival, an ordinance to support the representative festival must be established.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the ordinance for the representative festival were discussed.

건축허가기준으로서 조경법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Landscape Ordinance of the Korean Building Code)

  • 서응철
    • KIEAE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79-85
    • /
    • 2011
  • Landscaping on building sites has been regulated by Building Code in Korea. By Article 42 of the Code, landscaping is mandat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people should comply with the code to get the building permit. On the other hand, sustainability tends to be a prime value these days. Because of the intrinsic nature of Korea Building Code, the landscaping was not adequately implemented in reality. After studies on the landscape ordinance, the major problems on the mandated landscaping has been speculated as follows: 1. As far as landscaping has been regulated by single building code, there seems to be a limitation. Urban Planning Code etc. would be another mean to adequate landscaping. 2. Speculations on landscape details associated with landscape plans are needed for building permit process. 3. By any level of law, the landscape should be reinforced for public buildings and developments because of its own publicity. 4. Locally sound landscape would be implemented through Special Architectural District etc.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지방자치단체 유사조례 간의 연계성과 자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and the Autonomy between the Act on the Guarantee of Rights of and Suppor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Similar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 전지혜;이세희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367-402
    • /
    • 2018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이를 모법으로 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유사 조례간 연계성(일치성) 및 자치성(차별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조회된 전국 63개의 지자체 조례와 발달장애인법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모법의 조항별 내용을 기준으로 조례와의 일치성을 분석하였고 자치성은 조례의 내용적 측면에서 모법과 다른 사례가 있는지 행정적 측면에서 이행 의지를 보다 강조한 사례가 있는지 내용분석으로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모법의 조례 반영률은 조항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복지지원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일치율이 높았고 발달장애인의 권리 보장은 조례상 반영률이 낮았다. 이는 발달장애인을 보호적 관점에서 보는 법적 제도적 특징을 보이는 증거로 볼 수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존중이나 권리보장에 관한 내용이 조례에 적극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조례 반영률이 0%인 조항도 있었는데, 해당 지역에서 타법에 의해 보장될 수도 있기에 지역 내 관련 제도의 부재를 의미하지는 않으나 제도적 사각지대의 가능성이 있다. 향후에는 발달장애인 관련 지역 내 여타 법제도와의 상보성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져 제도적 사각지대에 발달장애인이 놓이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의 자치성이 내용적 측면 및 실질적 이행을 돕는 행정적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단체장의 책무를 강조하거나 실태조사를 강조하거나 복지위원회 운영을 명시하거나 모법상에 없는 내용을 추가적으로 조례에서 담아내고 있기도 했다. 향후 조례제정을 고려하는 지자체는 이와 같은 사례를 참고하여 지방자치의 특성을 살린 지역 밀착적인 실현가능한 조례를 제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