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id mycorrhiza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A Review of Orchid Mycorrhizae in Korea

  • Lee, Sang-S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169-178
    • /
    • 2002
  • Orchids are evolutionally known to be the most advanced plants in the order Liliales, and comprise approximately 1,000 genera and 35,000 species world-wide. In Korea, more than 110 species of Orchidaceae have been reported to be cultivated or to be collected in the wild. Orchids aye mostly dependant on orchid mycorrhizae(OM) throughout or in part of their life cycle. The OM endomycorrhizae belonging to basidiomycetes or rarley ascomycetes are needed for orchid seed germination. Various fungi, including plant pathogenic, antagonistic and symbio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orchid native to Korea. The OM fungi collected from the roots of Cymbidium goeringii were three species of Rhizoctonia namely, R. repens (anamorph state of Tulsanella repens), R. endophytica (Ceratobasidium cornigerum), and an unidentified species (possibly an anamorph of T. calospora). These symbiotic fungi induced peloton in the cortical cells of orchid roots, and differed biologically and in 18s rDNA sequences from plant pathogenic Rhizoctonia species. Also, the mycorrhyzal fungi enhanced the orchid root absorption of nitrogen sources and minerals from the soil. The activity of mycorrhizal fungal hyphae in the roots caused prevention from pathogenic fungi. In nature, the peloton is observed in the cortical cells of Cymbidium goeriingii roots, indicating mycorrhizal colonization in the native orchid roots. On the other hand, pathogenic fungi such as Fusarium and/or Rhizoctonia species are mostly isolated from commercial orchid plants. These suggest that application of symbiotic mycorrhizal fungi should be needed for orchid cultivation in nurseries and at the time of transplanting.

Multiple Symbiotic Associations Found in the Roots of Botrychium ternatum

  • Lee, Jun-Ki;Eom, Ahn-Heum;Lee, Sang-Sun
    • Mycobiology
    • /
    • 제30권3호
    • /
    • pp.146-153
    • /
    • 2002
  • Two types of mycorrhizae, orchid(OM) and arbuscular mycorrhizae(AM), were observed in the cortical cells of Botrychium ternatum roots. The vesicles or arbuscules of AM fungi were examined and the fresh or digestive pelotons by other species of basidiomycetes were also observed in the roots under light microscope. These symbioses were, as the genomic DNAs extracted from roots of B. ternatum reacted with the specific primers, confirmed with PCR technique, being added to more strong evidences. These discoveries were rarely happened in the roots, especially a fern in nature. OM was observed in the roots of B. ternatum collected from the nationwide areas, whereas AM was only in the roots of B. ternatum collected from Chung-Buk areas. It is speculated that OM are associated with the nitrogen cycle in Islands and the growth of B. ternatum in the inland of Central Korea is related to both the phosphate and nitrogen cycle in the na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B. ternatum is a typical species with two types of mycorrhizae under various growing conditions.

Molecular Identification of Mycorrhizae of Cymbidium kanran (Orchidaceae) on Jeju Island, Korea

  • Hong, Ji Won;Suh, Hyoungmin;Kim, Oh Hong;Lee, Nam Sook
    • Myc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475-480
    • /
    • 2015
  • A fung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was used to identify the mycorrhizae of Cymbidium kanran. The family Russulaceae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group in both root and soil samples. In phylogenetic analyses, the majority of the Russulaceae clones were clustered with Russula brevipes and R. cyanoxantha. Therefore, C. kanran may form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the genus Russula.

Identification of the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Korean Native Orchid

  • Lee, Sang-Sun;You, Jae-Hyung
    • Mycobiology
    • /
    • 제28권1호
    • /
    • pp.17-26
    • /
    • 2000
  • The orchid symbiot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roots of Korean native orchid (Cymbidium goeringii) collected and Chinese orchid (C. sinense) obtained from greenhouses. They were identified as a species of Rhizoctonia, based on the sequences of 18r rDNA, the microscopic observations of mycelia, and the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commercial orchids. The isolate collected from Chinese orchids was revealed to be a species of Ceratobasidium endophytica, and to be different from the other isolates at the thickness of the mycelia stained in the root cells of Korean native orchids. The other isolates collected from the Korean native orchids were considered to be a species of Tulsanella repens (anamorphic: Epulorhiza repens) or its related one. The physiologic or microscopic variations were oftenly observed among them, but the tendency of grouping these in the 18s rDNA sequences were observed to b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localities collected. The further taxonomical segregating for Korean symbiotic fungi was not made because the information concerned were limited in this moment, but was recognized as based on the sequences of 18s DNA.

  • PDF

한국의 자생 난과식물에서 난균근균(蘭菌根菌)(Orchid Mycorrhizal Fungi) 분리 (Isolations of Orchid Mycorrhizal Fungi from the Korean Native Orchid Plants)

  • 이상선;유희균;백기엽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2호통권81호
    • /
    • pp.101-110
    • /
    • 1997
  • 현재 원예계에서 난의 재배는 중요한 품목이며, 화훼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우리 나라의 5개 자생지에서 채집한 춘란과 난 농원에서 조직 배양하여 재배한 심비디움류의 뿌리에서 공생하는 균을 분리하고, 또한 염색하여 현미경 관찰을 하였다. 난의 뿌리세포에 침투한 균은 읽히고 꼬인 정도가 다양한 균구를 형성하였다. 균구를 이루는 균사들의 직경은 가느다란 것에서 굵은 것까지 다양했고, 소화 단계상 다양한 균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난 뿌리속에 있는 내생균근균을 순수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R. repens와 R. endophytica var. endophytica로 동정하였다. 이들의 균을 제주한란과 오트모론을 이용하여 공생관계를 측정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 동양란과 서양란의 접종하여 개체당 생체량의 증가율을 측정하였을 때 난균근균에 감염된 실험구의 난이 모두 대조구의 난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자생란인 보춘화에서 분리된 R. repens가 난과식물에 대해 공생 능력이 있는 난균근균임을 확인하였다.

  • PDF

Interactions of Newly Isolated Orchid Mycorrhizal Fungi with Korean Cymbidium kanran Hybrid 'Chungsu'

  • Lee, Jun-Ki;Lee, Sang-Sun;Eom, Ahn-Heum;Paek, Kee-Yoeup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51-156
    • /
    • 2003
  • Two fungal isolates obtained from roots of Cymbidium goeriingii in Jeju island were confirmed to be symbiotic with orchid plantlets, and were compared with other orchid mycorrhizal(OM) fungi previously isolated. The two isolates differed in their peloton structures formed in the roots of Cymbidium kanran hybrid 'Chungsu' and in responses of orchid plant. These two isolates differed from the additionally tested OM fungi in some features, and from root damaging species of Rhizoctonia and Fusarium as based on cluster analysis after PCR-RAPD with the primers, Bioneer-28 and OPO-2. With this simple and fast technique, it was possible to distinguish OM fungi from the plant root pathogenic fungi based on calculation of their polymorphic bands. This technique can therefore be helpful to distinguish the OM fungi from the root pathogens. Particularly, the new isolates are considered as new resource of symbiotic fungi for horticultural industries.

균근과 버섯 그리고 국내 연구동향 (Mycorrhizae, mushroom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

  • 안기홍;조재한;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20
  • 균근은 지구상의 육상식물 중 약 90% 이상의 식물들과 연합 또는 공생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식물 뿌리 내에 침투하여 토양 중으로 다량의 균사를 뻗어 토양 내의 수분 및 무기양분을 흡수하여 식물에게 제공하는 대신 식물로부터 광합성 산물인 탄수화물을 얻어 살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기주식물 없이는 배양이나 생육이 불가능한 절대 생물영양성이다. 균근의 종류는 기후대, 위도와 고도, 우점하는 식생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크게 내생균근과 외생균근으로 나뉜다. 균근은 일반적으로 절대적 공생이라 할 수 있으나, 일부의 외생균근은 식물의 잔해, 낙엽층 등으로부터 유기물을 분해하여 탄소원을 자체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적 공생의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식물로부터 획득한 탄소의 토양으로의 흐름은 균근에 의하여 중재되어지며 생태계에서 탄소순환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외생균근과 수지상 내생균근은 뿌리의 표면적을 넓히거나 토양 중에 다량의 균사를 뻗음으로서 뿌리 단독으로 흡수할 수 없는 양분고갈지역 바깥의 무기양분 등을 흡수하여 식물에게 제공한다. 또한 균근은 다양한 근권 미생물들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식물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부의 토양미생물은 균근의 발아, 생육, 군집구조 등에 관여하여 식물과의 공생관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양분의 흡수, 식물 뿌리의 성장, 식물병원균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이 균근균권 및 근권 토양 내의 다양한 미생물들과 균근과의 상호관계와 그 기능에 대해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왔으나 아직까지도 밝혀지지 않은 부분들이 많으며 앞으로도 꾸준히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외생균근은 균근성 버섯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이 균류는 수목과 공생하며 버섯의 자실체를 발생시키며 송이, 능이와 같은 고가의 버섯을 생산하는 귀중한 산림 소득원이다. 국내 균근성 버섯의 연구는 주로 송이 인공재배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송이를 인공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은 송이감염묘와 송이접종묘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 이외에도 소나무 유묘의 생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우수 송이균주 선발, 송이 균사생장 조건 및 배양특성, 송이균의 탄소원 이용특성, 송이균환 또는 송이 발생 토양의 균류와 박테리아의 군집구조 분석을 통한 송이균환 및 자실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미생물과 연합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아직까지 균근성 버섯에 대한 인공재배기술이 완전하게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여러 우수한 연구자들의 꾸준한 노력이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국내 기후환경에 발맞추어 야생 균근성 버섯에 대한 생태를 이해하고 꾸준한 연구와 인공재배 기술 개발 시도가 계속 이루어진다면 지금까지 재배가 불가능하였던 균근성 버섯의 인공재배가 성공할 날도 멀지 않으리라 사료된다.

난 균근균 처리가 한란과 호접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chid Mycorrhizal Fungi on the Growth of Cymbidium kanran and Phalaenopsis)

  • 윤종선;박경려;신세균;김익환;이철희;최관순;이상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5호
    • /
    • pp.578-580
    • /
    • 1999
  • 춘란 뿌리에서 분리한 Rhizoctonia속 난 균근균 3종이 난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난 균근균을 기내에서 자라는 한란(제주한란${\times}$일본한란 '남국(南國)' 교잡종) 및 호접란 유묘와 2개월간 공동배양한 다음 온실에서 18개월간 재배하면서 식물체와 균근균과의 공생관계를 조사하였다. 기내에서 2개월간 공동배양한 결과 제주한란${\times}$일본한란 '남국(南國)' 교잡종과 호접란 모두 엽장, 엽수, 엽폭 등 지상부와 근수, 근장 등 지하부 및 생체중에 있어서 무처리구와 균근 균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4개월간 순화 재배한 결과는 제주한란${\times}$일본한란 '남국(南國)' 교잡종의 경우 P1 균(Rhizoctonia repens) 처리구에서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호접란은 무처리구와 균근균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온실에서 1년 6개월 동안 재배한 결과 제주한란${\times}$일본한란 '남국(南國)' 교잡종은 무처리구에 비해 P1 균 처리구에서 초장, 신초수, 엽수, 뿌리수 및 생체중이 증가하였으나, P2 균(R. endophytica) 처리구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P3 균(R. repens : P1 균과는 다른 균주임)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호접란의 경우 무처리구에 비해 P1 균 처리구에서 초장과 생체중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1 균이 제주한란${\times}$일본한란 '남국(南國)' 교잡종의 생육을 크게 촉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