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육성 오차드그라스 품종들의 캘러스 형성율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 (Callus formation Ratio and Regeneration Efficiency of Orchardgrass Varieties Developed in Korea)

  • 김기용;강경민;배은경;이인애;임용우;최기준;박근제;손대영;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64
    • /
    • 2003
  • 국내육생 품종인 Hapsung 2, Jangbeol 101, Jangbeol 102와 대비품종인 Potomac의 종자로부터의 캘러스 형성율, 캘러스 크기, 식물체 재 분화율 및 재분화 효율을 4주령 및 6주령의 캘러스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캘러스 형성율은 4주령 캘려스에서는 Jangbeol 102가 가장 높았고, 6주령 캘러스에서는 대비 품종인 Potomac아 가장 높았다. 캘러스 크기는 4주령 캘러스에서 대비품종인 Potomac (3.93cm)이 가장 컸으며, 6주령 캘러스에서는 Jangbeol 101 (4.32cm)이 가장 컸지만, 품종간의 차이는 적은 편이었다. 식물체 재분화율운은4주령 캘러스에서 10.3~17.7%의 넓은 범위의 차이를 보였는데, Jangbeol 101이 가장 높았으며 6주령 캘러스에서도 역시 11.2~37.4%로서 품종간에 큰편차를 보였으며, 특히 대비품종인 Potomac은 월등하게 재분화율이 높았다. 식물체 재분화 효율은 4주령 캘러스에서 그 범위가 6.8~11.5%로서 Jangbeol 102가 가장 높았으며, 6주령 캘러스에서는 범위가 7.2~25.6%로서 Potomac이 가장 높았다.

수분 장애시 종자 전처리가 오차드그라스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Accelerated Germination of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Seed Under Water Stress by Seed Pre-treatments)

  • 백성범;김건엽;김흥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37
    • /
    • 1993
  • 수분장애조건에서 오차드그라스(cv. Potomac) 종자의 발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olyethylene glycol 6,000(PEG) 및 생장조절제(GA$_3$, Kinetin, NAA)를 종자에 전처리하여 0 bar와 -5 bar의 두 수분조건하에서 17일간 발아양상을 비교,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처리를 하지 않은 종자는 수분 삼투압 -5bar 조건에서 대조구(0 bar)에 비해 총 발아율은 감소되었으며 평균발아 소요일수와 발아종료 일은 지연되었다. 2. 대조구에서 PEG 종자 전처리는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평균발아소요일 수는 -10 bar와 -15 bar에서 각각 5일 및 7일 처리한 것이 효과가 있었다. 3. 수분삼투압 -5 bar 조건에서는 PEG 종자 전처리시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평균발아 소요일수가 단축되었는데 특히, -10 bar에서 7일 전처리 했을 경우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이 1.9배로 향상되었고, 평균발아 소요일수는 모든 PEG 처리구에서 5일과 7일 전처리한 것이 단축되었다. 4. 대조구에서 생장조절제의 전처리는 GA$_3$와 NAA 공히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Kinetin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을 감소시켰다. 평균발아 소요일수는 NAA와 Kinetin 전처리시 효과가 없었으나, GA$_3$ 전처리시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단축되었다. 5. 수분삼투압 -5 bar 조건에서는 각각의 생장조절제가 공히 발아율과 평균발아 소요일수에 있어서 무처리에 비해 유의차가 인정되었는데, Kinetin과 NAA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을 감소시켰고 반면, GA$_3$는 농도에 관계없이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평균발아 소요일수에 있어서도 Kinetin 과 NAA는 무처리보다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나 GA$_3$는 100 ppm 전처리시 무처리 대비 2.0일이 단축되었다. 6. PEG나 GA3의 종자 전처리는 수분장애 조건에서 공히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평균발아 소요일수도 단축되어, 수분장애시 오차드그라스의 균일한 발아 유도와 발아속도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어떠한 처리에 있어서도 대조구의 무처리구 발아율(79.0%)을 능가하지 못하여 오차드그라스의 발아에 관한 수분장애 요소를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었다.

  • PDF

주요 북방형목초의 건물수량 , 화학성분 및 New Energy 축적에 관한 연구 II. 비구조성탄수화물의 합성 및 축적형태 (Studies on Dry Matter Yields , Chemical Composition and Net Energy Accumulation in Three Leading Temperate Grass Species II. Synthesis and accumulation pattern of nonstructural carbohydrate)

  • 김정갑;한흥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1-118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주요북방형(主要北方型) 목초(牧草)에 있어서 기상환경(氣象環境)과 예취방법(刈取方法)이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한국(韓國)의 Suweon, Cheju 및 Taekwalyong과 서독(西獨)의 Freising 및 Braunschweig에서 $1975{\sim}'79$년간(年間) 실시(實施)되었다. 공시초종(供試草種)은 orchardgrass, perennial ryegrass 및 meadow fescue를, 예취관리(刈取管理)는 방목기(放牧期)(년(年) $6{\sim}7$회(回)), silage 기(期)(년(年)$4{\sim}5$ 회(回)) 및 건초기이용(乾草期利用)(년(年) 3 회(回))으로 구분(區分) 분할구배치법(分割區配置法) 4반복(反復)으로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는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북방형(北方型) 목초(牧草)에 있어서 비구조성탄수화물(非構造性炭水化物)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는 초종(草種) 및 재배지역(栽培地域)에 따라 차이(差異)가 크다. 초종별(草種別) total nonstructural carbohydrates (TNC) 함량(含量) meadow fescue가 8.0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perennial ryegrass 6.08% 및 orchardgrass 4.39%의 순(順)이었다. 이같은 결과(結果)는 서독지방(西獨地方)의 TNC 함량(含量) 12.73%(meadow fescue), 18.02%(perennial ryegrass) 및 10.42% (orchardgrass) 보다 낮은 수준(水準)으로 지역간(地域間)에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Orchardgrass의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은 fructosan .34%, mono- 및 disaccharose 3.04%로 mono- 및 disaccharose 형태(形態)로 다량(多量) 축적(蓄積)되는데 반(反)해 perennial ryegrass에서는 fructosan 3.25%, mono- 및 disaccharose 2.83%로 fructosan 함량(含量)이 약간(若干) 높은 편이었다. Meadow fescue 식물(植物)의 축적형태별(蓄積形態別)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fructosan 3.93%, mono- 및 disaccharose 4.08%이었다. 3.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다($P{\leqq}0.1%$). 이같은 원인(原因)으로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계절별(季節別) mono- 및 disaccharose와 fructosan 함량(含量)은 봄철의 2.69% 및 1.34%에서 고온건조(高溫乾燥)한 여름철에는 각각(各各) 1.28% (mono- 및 disaccharose) 및 0.34% (fructosan)로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여름철 기온(氣溫)이 낮은 Freising 및 Braunschweig에서는 계절간(季節間)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함량변화(含量變化)가 한국(韓國)에서와 같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4.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목초(牧草)의 잦은 예취(刈取)에서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이와같은 원인(原因)으로 여름철 고온기간중(高溫期間中) 잦은 예취이용(刈取利用)은 식물체내(植物體內)의 TNC 함량(含量)을 감소(減少)시켜 예취후(刈取後)의 재생력(再生力)이 크게 약화(弱化)된다. 그러나 기온(氣溫)이 낮은 조건(條件)에서는 예취관리(刈取管理)에 따른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함량변화(含量變化)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 PDF

Effects of Plantain (Plantago lanceolata L.) Herb and Heat Exposure on Plasma Glucose Metabolism in Sheep

  • Al-Mamun, M.;Tanaka, C.;Hanai, Y.;Tamura, Y.;Sano,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894-899
    • /
    • 2007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6, 6-$^2H$]glucose isotope dilution metho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lantain (Plantago lanceolata L.) on plasma glucose metabolism in sheep taken from a thermoneutral environment and exposed to a hot environment. The sheep were fed either mixed hay (MH)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and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at a 60:40 ratio or MH and plantain (PL) at a 9:1 ratio in a crossover design for each 23-day period. In both dietary treatments the metabolizable energy (ME) and crude protein intake were designed to be isoenergetic and isoproteinous at around maintenance level. The sheep were taken from a thermoneutral environment ($20^{\circ}C$, 70% RH) and exposed to a hot environment ($28-30^{\circ}C$, 70% RH) for 5 days. The isotope dilution method using a single injection of [6, 6-$^2H$]glucose was performed on the $18^{th}$ day of the thermoneutral environment and on the $5^{th}$ day of heat exposure. Plasma glucose pool size was numerically lower (p = 0.26) during heat exposure on both dietary treatments, and numerically higher (p = 0.13) on the MH diet irrespective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Plasma NEFA concentration (p = 0.01) and glucose turnover rate (p = 0.03) were decreased during heat exposure, but remained similar between die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although no positive impact of plantain on glucose metabolism was found under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s (plantain constituted only 10% of basal diet), plantain herb is an alternative to MH for rearing sheep in both thermoneutral and hot environments.

Effects of Grass Lipid and Its Fatty Acid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Microbial Growth In Vitro

  • Yang, U.M.;Fujita, H.;Chung, T.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76-181
    • /
    • 2000
  • In order to clarify the inhibitory effects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lipid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digestion,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vitro. Experiment 1 was carried out using residues of grass hay from which the lipid fraction was removed by ether extraction. To ground grass samples were added 0, 1.5, 3.0, 4.5 and 6.0% lipids and incubated anaerobically at $39^{\circ}C$ for 24 h, with the mixtures of artificial saliva and rumen fluid. Increasing grass lipid levels remarkably reduced DM and NDF disappearances.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3.0, 4.5 and 6.0% lipid levels. Microbial nitrogen proportion to total nitrogen tended to decrease by the addition of the lipid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rass lipids have a marked inhibitory effect on ruminal fermentation and digestion, especially when to the substrate was added 3% or more grass lipids as ether extracts.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free fatty acids and changes in the fermentation traits. Samples were incubated for 3, 6, 9, 12, 15, 18, 21 and 24 h as a sole substrate.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teadily decreased during incubation, whereas the saturated fatty acid ($C_{18:0}$) increased. It was suggested that the hydrogenation was extende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incubation. The unsaturated fatty acids ($C_{18:2}$, $C_{18:3}$) produced at the initial stage of incub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microbial N and DM disappearance, indicating that polyunsaturated fatty acids had the possibility to show an inhibiting effect on ruminal fermentation and digestion.

Influence of β 1-4 Galacto-oligosaccharides Supplementation on Nitrogen Utilizati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Nitrogen Supply in Dairy Cows Fed Silage

  • Santoso, B.;Kume, S.;Nonaka, K.;Gamo, Y.;Kimura, K.;Takahashi,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137-1142
    • /
    • 2003
  • In a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 two dry Holstein cow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ta$ 1-4 galactooligosaccharides (GOS) supplementation on nitrogen (N) utilizati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N supply in the rumen. During the experiment, cows were fed four diets: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silage (OS), OS with GOS supplementation (OSG), OS mixed with alfalfa (Medicago sativa L.) silage (MS) and MS with GOS supplementation (MSG). GOS was supplemented at 2% of dry matter intake. Diets were fed at maintenance level of protein and energy. Results showed that N digestion was affected by silage and interaction of silage and GOS supplementation. Cows fed OSG had the highest N digested (p<0.05) followed by MS, OS and MSG. Supplementation of GOS to OS or MS diets tended to improve N utilization through reducing the N losses on dairy cows. There was no effect of GOS supplementation on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i.e. pH, $NH_3$-N and total VFA) at 1 h and 6 h after feeding. Compared to cows fed MS, cows fed OS silage had higher (p<0.05) allantoin excretion (80.8 vs. 67.1 mmol/d) and higher (p<0.05) total purine derivatives excretion (92.9 vs. 78.5 mmol/d). The microbial N supply in cows fed OSG was higher (p<0.05) than those fed OS, MS and MSG.

제초제에 의한 초지개량시험 III. Glyphsate 살포후의 관목제거간격이 겉뿌림 목초의 정착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asture Improvement with Herbicides III. Effect of different cutting intervals of shrubs after glyphosate application on establishment and teild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 김동암;권찬호;서성;이무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
    • /
    • 1986
  • 본 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초지개량시험(草地改良試驗)의 일환으로서 ha당 2.9kga,i의 Glyphosate를 철포(撤布)한 후(後)에 선점관목(先占灌木)을 그대로 방치한 것과 또 살포후 관목을 10, 20, 30, 40일 간격으로 예취제거(刈取除去)하였을 때 이러한 처리가 겉뿌림한 오차드그라스 및 라디노클로버 유식물(幼植物)의 정착(定着)과 생육(生育)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3{\sim}1984$년에 실시되었다. Glyphosate살포후 기존관목에 대한 다른 예취간격은 겉뿌림 목초(牧草)의 정착(定着), 유식물(幼植物)의 활력(活力), 건물수량(乾物收量) 및 개량초지(改良草地) 식생비율(植生比率)는 하둥의 상이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本)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의하면 목초(牧草)의 겉뿌림을 위한 기존(旣存) 관목(灌木)의 제거(除去)는 Glyphosate살포후 $10{\sim}40$일 사이에 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사방향이 목초의 수량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I. 주요목초에 대한 남북향 사면의 건물수량 비교 (Influences of Exposures on Dry Matter Yields and Nutrient Contents of Grasses I. Comparative studies of south and north exposure on dry matter yield of temperate grasses)

  • 이필상;박근제;신재순;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2-96
    • /
    • 1987
  • 남북향 사면에 대한 목장의 생산성을 구명코자 orchardgrass, tall fescue, timothy, redtop, ladino clover 등 5 초종을 남사면과 북사면에 각각 난괴법 4반복으로 보양배치하여 1983년 9월부터 1986년 10월까지 본 실험을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 동안의 3년 평균 지표온도는 남사면이 북사면보다 2.0^{\circ}C$ 높았으며, 토양 10cm 깊이의 지중온도는 남향지가 북향지보다 0.8^{\circ}C$ 높았으나 이절에 따라서는 서로 대차없었다. 2. 토양 목장의 초기생육 상태는 북사면이 남사면보다 준수하였다. 3. 화본과 목장의 건물생산량은 남향지보다 북향지가 많았으나 이에 반하여 ladino clover는 남사면이 월등히 많았다. 4. 화본과 목장중에서 orchardgrass와 tall fescue의 건물수량은 북사면이 남사면보다 다소 많았으나 대차없었으며, timothy와 red top은 북사면에서 현저히 많은 수량을 생산하였다.

  • PDF

주요북방형 목초의 건물수량 , 화학성분 및 Net Energy 축적에 관한 연구 III. 예취관리에 화학성분의 계절적 변화 (Studies on Dry Matter Yield s, Chmical Composition And Net Energy Accumlation in Three Leading Temperate Grass Species III. Seasonal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under dfferent cutting managements)

  • 김정갑;양종성;한흥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7-163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주요북방형(主要北方形) 목초(牧草)에 있어서 기상환경(氣象環境) 및 예취관리(刈取管理)가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975{\sim}'79$년간(年間) 한국(韓國)과 서독(西獨)에서 실시(實施)되었다. 공시재료(供試材料)는 orchardgrass(cv. Potomac, Baraula), perennial ryegrass (cv. Reveille, Semperweide) 및 meadow fescue (Cosmos 11, N.F.G.)등 3초종(草種) 6품종(品種)종을, 예취방법(刈取方法)은 방목기(放牧期)(년(年)6-7회(回)), silage기(期)(4-5회(回)) 및 건초기(乾草期)(3회(回))로 구분(區分) 분할구(分割區) 배치법(配置法) 4반복(反復)으로 실시(實施)하였는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목초(牧草)의 Weender 각(各) 성분함량(成分含量)은 기상요인(氣象要因) 중(中) 특(特)히 온도(溫度),강수량(降水量) 및 일조(日照)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았다. 이상(以上)과 같은 원인(原因)으로 공시목초(供試牧草)의 조섬유(粗纖維) 및 세포막구성물질(細胞膜構成物質)(NDF) 함량(含量)은 봄철의 27.2% 및 42.9%에서 고온건조(高溫乾燥)한 여름철에는 각각(各各) 30.1%(조섬유(粗纖維)) 및 48.7%(NDF)로 증가(增加)된 반면(反面) TNC함량(含量)은 4.01%(봄)에서 1.52%(여름)으로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서독지방(西獨地方)의 경우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계절간(季節間)에 큰 차익(差異)가 없었다. 2. Orchardgrass 는 perennial ryegrass 및 meadow fescue에 비해 조섬유(粗纖維) 및 NDF 함량(含量)이 높은 반면(反面)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TNC 축적(蓄積)이 낮아 energy 가치(價値)가 감소(減少)되었다. 지역별(地域別) orchardgrass의 net energy함량(含量)은 Suweon 524 StE, Cheju 431 StE 및 Freising 575 StE로 perennial ryegrass 의 624 (Suweon), 491(Cheju) 및 657(StE(Freising)보다 현저(顯著)히 낮았다. 3.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목초(牧草)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공시초총(供試草種)의 평균(平均) 조섬유(粗纖維) 및 NDF함량(含量)은 방목기(放牧期)의 23.9% 및 37.8%에서 건초기(乾草期)에는 각각(各各) 30.3% 및 49.1%로 증가(增加)된데 반(反)해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TNC함량(含量)은 식물생육(植物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결과(結果)였다.

  • PDF

파종방법 및 여름철 관리가 Orchargrass채초지의 그루터기 저장탄수화물 함량 및 미기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Method and Summer Management on Stubbli Carbohydrate Reserves and Microclimate of Orchargrass Meadow)

  • 권찬호;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84
    • /
    • 1992
  • 본 시험은 장마후 예취시에 많은 그루터기의 고사가 일어나 초지가 황폐화하는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장마기간에 목초의 생육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인 그루터기내 저장탄수화물 함량의 변화- 토양중의 수분함량 및 온도 초지내의 온도, 습도 빛 광도와 같은 미기 상을 장마기간동안에 조사하였다. 조사는 1984년 6월부터 7월사이에 실시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갇다. l 목초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장마전 예취시 예취후 3일째에 약 2.9%로 떨어졌으나 점차 회복되어 장마가 끝난 후에는 10%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장마후 예취구의 경우 장마중에는 약 5.5 %의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예취후 3일째의 함량은 3%로 장마전 예취구와 비슷한 수준이였다. 2 유효토양수분함량은 배수처리구가 약간낮았고 장마전 예취구가 장마후 예취구보다 약간 높았으나 장마후 예취를 한 후에는 장마전 예취구에서 함량이 낮았다. 3 초지의 지중 10cm에서의 오전 10시 온도는 장마전 예취구가 장마후 예취구보다 높았다. 4 초지 지표면의 일 최고온도는 장마전 예취구가 장마후 예취구에 비해 높았으며 변이도 컸다. 5. 초지내 지상 3cm에서의 상대습도의 변화는 장마전 예취구에셔는 강우중을 제외하고는 70% 이하였으며 장마후 예취구는 75-90 %의 높은 습도 를 기록하였다. 6 초지 지표면의 상대조도는 장마전 예취구가 50-90 %, 장마후 예취구가 10% 미만으로 장마전 예취구가 높았다. 7. 본 시험 결과 오차드그라스 채초지의 여름철 그루터기 고사는 초지내의 상대습도의 증가와 입사 광량의 감소로 인한 식물병의 발생과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