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ygiene environment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5초

IT 시대에서의 자연추출물 사용으로 인한 구강환경 효과연구 (Study on The Oral Health Effects of Natural Extracts Among the IT Age)

  • 최영숙;성정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01-706
    • /
    • 2016
  • 구강세치제의 사용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알레르기, 치아의 변색, 작열감 등의 화학약제 외 자몽이나 녹차 추출물 등과 같은 식물추출물 등에서도 항균효과, 소취작용 등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연추출물인 Centella asiatica 사용하여 구강환경 개선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이중맹검법으로 치면세균막 지수, 치은염 지수, 치주낭 깊이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파악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근로자의 구강환경요인에 따른 구강세균 발생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oral bacteria in workers according to oral environment)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37-545
    • /
    • 2016
  • 본 연구는 구강환경요인을 살펴보고, 구강환경이 구강세균 검출에 미치는 위험요인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2월 15일~ 2월 28일까지 성인 근로자 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변수로는 안정시, 자극시 타액분비율, 타액완충능, 타액 pH, 설배와 설하 구강건조도, 구취 설태량을 측정하였다. 구강세균의 검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안정시 타액분비율의 gDNA를 추출하여 균을 검출하였다. 그 결과, S.mutans균은 흡연자 15배, 자극시, 안정시 타액분비율 1.3~1.6배 위험도가 더 높았으며, P.intermedia는 흡연자 13배, 설하 구강건조도 4.3배, 설태량 4배 TM7은 설하 구강건조도 5.5배 더 높은 위험도를 나타냈다. 구강 내 세균을 줄이기 위해서는 타액분비율을 촉진시키는 습관을 형성하고, 금연교육을 시행함이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구강위생이 깨끗하고 관리가 잘되는 성인에서는 구강세균이 많이 줄어들고, 구강질환을 좀 더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보건소)실습 실태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 김연주;한양금;김영경;임현주;권양옥;김한미;박정란;김남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obtained to identify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Methods: It was designed cross section and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Survey monkey). It was performed probability sampling by targeting 82 dental hygiene schools(each one faculty member) in charge of community dental hygiene curriculum and 254 community health centers's community dental hygienists whom was working at oral health section. The response rate was 60% and 53%,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ime, duration, practice group, evaluation method, and practice contents including 63 learning objectives of dental hygiene. Results: Nearly half of these schools conduct such community field work practice in the spring semester of the junior year. This practice was mainly progressed based on average 4 students as one team per each one school for 7-8 hours a day during the period of more than 5 weeks(p<0.05). However, in case of both school and community health center, almost half of feedback after practice was not achiev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needs for practice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health center. Conclusions: We should be considered that a sufficient consultation for the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content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health centers. It wa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practice manual reflecting such requirement.

치과위생사의 의료서비스가 환자만족도 및 병원재이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medical service of the dental hygienist upon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hospital revisit)

  • 김수경;윤혜정;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65-1172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of the dental hygienist upon patients'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of hospital revisit in order to figure out the role of the dental hygienist to improve patients' satisfaction. Methods :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patients in dental hospital and clinics in Seoul and Gyeonggi-do. Total 301 sheets except for insufficient on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 As fo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ffecting patients' satisfaction, every variable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medical treatment level of the dental hygienist and patients' satisfaction had the strongest positive (+) relation (p<0.001). Oral health education satisfaction by the dental hygienist and the medical treatment satisfaction by the dental hygienis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tients' satisfaction, a dependent variable (p<0.001). Hospital environment (p<0.000), oral health education satisfaction by the dental hygienist (p<0.05), the satisfaction of medical treatment level by the dental hygienist (p<0.05) and patients' satisfaction (p<0.001)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hospital revisit. Conclusions : In order to improve dental medical service quality and the intention of hospital revisit, the role of the dental hygienist is important. Thus, it seems necessary to prepare specific education plan on the medical service by the dental hygienist.

Natural Blue Pigment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Rubiaceae) as a Dental Plaque Disclosant

  • Kim, Myoung-Hee;Lee, Min-Ho;Hwang, Young Su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8-44
    • /
    • 2021
  • Background: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are bacterial infectious disease, mainly caused by plaque, a bacterial colony deposited on the tooth surface and gum tissue. Dental plaque disclosants easily stain the dental plaque, making them effective for scaling and tooth brushing education. As the erythrosine typically contained in dental plaque disclosants is highly cytotoxic, a low toxicity additive is needed.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the natural pigments with negligible cytotoxicity but can effectively stain the dental plaques for use in dental plaque disclosants. Methods: The pigmentation of eight types of natural pigments was tested on bovine tongue and teeth, as well as on head and neck tissue sections of experimental ICR mice. The cytotoxicity of gingival epithelial cells was measured via MTT assay. Pigmentation was performed on the bovine tongue and tooth surface. Pigmentation in the oral environment was observed in four mandibular incisors. A 2 Tone was used as a control. Results: Of the eight types of natural pigments, purple and blue pigments were effective in coloring dental plaques on the enamel surface as well as in the head and neck tissue sections. Additionally, purple and blue pigments were visible on the surface of the bovine tongue. Red, pink, orange, green, purple, and yellow pigments showed strong cytotoxicity, whereas brown and blue pigments had relatively low cytotoxicity. Blue pigment was effective in staining the dental plaque of four mandibular incisors.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blue pigment derived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Rubiaceae), which is effective for coloring dental plaques and has low cytotoxicity, is useful as a naturally derived dental disclosant.

도라지 추출물의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Against Oral Microbes)

  • 정소영;이천희;안선하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5-142
    • /
    • 2019
  • Objectives: 도라지 추출액을 이용하여 구강미생물에 대한 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실험하고자 한다. Methods: 항균 활성 및 최소 저해 농도는 한천 희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 (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물과 껍질이 없는 Platycodon grandiflorum 추출물)을 준비하고 0.0625 mg/ml, 0.125 mg/ml, 0.25 mg/ml, 0.5 mg/ml, 1 mg/ml의 농도로 한천 플레이트를 만들었다. Results: 치아우식균보다 치은염을 유발시키는 A. naeslundii, A. odontolyticus, A. viscosus 세 균주에서 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껍질이 없는 도라지 추출물 보다 사포닌 함량이 더 많은 껍질이 있는 도라지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s: 도라지 추출물 결과에서 보듯이 천연 추출물이 구강질환을 유발시키는 치아우식균 및 잇몸질환균에 대해 항균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초등학교 6학년의 구강보건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Recognition and Practices of Sixth Graders)

  • 류혜겸;최성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71-579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의 구강보건인식과 구강보건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6학년 수준에 맞추어진 지속적인 동기유발로 인한 실천 가능한 구강보건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창원시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총 25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기기입 방식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ver.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보건인식의 전체 평균점수은 $3.19{\pm}0.41$점이고, 구강보건실천의 전체 평균점수는 $2.95{\pm}0.43$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p<0.01), 학생의 구강건강상태(p<0.01),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p<0.01),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p<0.001)에 따른 구강보건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이 '좋은' 학생이 '나쁜' 학생보다 구강보건인식의 평균이 높았고,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가 '있다'가 '없다' 또는 '모름'에서보다 구강보건 인식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p<0.01), 학생의 구강건강상태(p<0.001),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p<0.05), 자녀 칫솔질에 대한 부모의 관심(p<0.01), 구강보건교육의 유무(p<0.05),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p<0.001)에 따른 구강보건실천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학생의 주관적인 성적이 '좋은' 학생이 '나쁜' 학생보다 구강보건실천의 평균이 높았고,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가 '있다'가 '없다' 또는 '모름'에서 보다 구강보건실천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구강보건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구강보건실천, 구강보건교육의 참석의지, 자녀 칫솔질에 대한 부모의 관심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보건실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구강보건인식, 자녀 칫솔질에 대한 부모의 관심, 학생구강건강상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초등학교 6학년의 구강관리능력을 배양시키기 위해서는 6학년 수준에 알맞은 동기유발을 위한 학생들의 주변 환경, 구강관리에 대한 태도, 구강관련 관심사, 현재 구강질병상태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교육내용으로 구성된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구강 프로바이오틱스와 에센셜 오일 함유 양치액의 구강환경변화 (Changes of Oral Environment Between Probiotics and a Mouthwash Containing Essential Oil)

  • 이수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9-226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of salivary flow rat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S. mutans after using a mouthwash containing essential oil or probiotics widely used as oral lactic acid bacteria in the oral environment. Methods : Fifty-three healthy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they were informed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group treated with probiotics (L. reuteri) and a group treated with mouthwash containing essential oil. To evaluate changes in the oral environment, salivary flow rat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S. mutans test were performed at baseline and 4 weeks later. Unstimulated and stimulated salivary flow samples were collected for 5 minutes and results were recorded in ml per minut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was divided into scores of 1 (low), 2 (moderate) and 3 (high)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trip. The amount of S. mutans was classified as scores of 0, 1, 2, and 3 according to the decision tabl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at the 95 % significance level using the SPSS Version 23.0 program. Results : Both the un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and the stimulated salivary flow rate increased statistically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those before intervention in the probiotics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obiotics group and the mouthwash group.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S. mutans resul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obiotics group and the mouthwash group either. Th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d the salivary flow rat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 To improve the oral environment, such as salivary flow rate and salivary buffering capacity, an optimal product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preference and cost-effectiveness.

일부지역 보건 및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university students in some areas)

  • 윤성욱;장선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7-104
    • /
    • 2016
  • 본 연구는 보건계열 198명과 비보건계열 203명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행태는 학년에서 3,4학년, 학과는 보건계열, 치과정기검진과 치과교육경험은 받은 경우 높았다. 구강보건교육의 경로는 친구가 가장 높았다. 구강보건지식의 '칫솔질 시 혀를 닦는 것이 구취예방에 효과가 있다'가 94.5%로 가장 높았다. '불소는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된다'에서 보건계열이 높았다. 구강보건행태의 '혀닦기를 한다'가 평균 4.20으로 가장 높았다. '자신에게 맞는 칫솔질 방법을 알고, 시행하고 있다'와 '치주병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스켈링을 한다'가 보건계열이 높았다. 일반적인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 구강보건행태의회귀분석 결과 Y(구강보건행태)=2.692+0.377(치과정기검진)+0.145(치과교육경험)+0.215(구강보건교육경로)+0.045(구강보건지식)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및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구강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흡연여부 연계성 조사 (Convergence study of Effects on Oral Health Awareness and Smoking Status)

  • 김일신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73-77
    • /
    • 2023
  • 본 논문연구는 20-40대 성인을 대상으로 흡연 유.무에 따른 구강환경 변화에 관한 지식수준을 파악하여 성인에 대한 구강보건교육 시 치주질환과 흡연과의 연관성 및 금연에 관한 교육 병행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2022년 8월과 9월에 걸쳐 편의표본 추출된 대상 500명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인 구강상태 분석에서 비흡연자 가운데 매우 좋거나 좋다고 생각한 비율은 65.4%, 흡연자 그룹은 59.0%를 보였다. 또한, 비흡연자와 흡연자 그룹 모두에서 비흡연자의 청결도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금연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비흡연자 그룹의 63.9%, 흡연자 그룹의 76.1%가 '있다'라고 답하였다. '흡연 유무에 따라 구강환경에 변화를 보인다.'는 교육은 비흡연자군에서는 '없다'가, 흡연자군에서는 '있다'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구강보건교육시 흡연과의 연관성 및 예방을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교육방법이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