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care habit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1초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한 노인(老人)의 구강건강(口腔健康) 관련요인(關聯要因) 분석(分析) (Oral Health and Related Factors for the Elderly)

  • 성정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91-95
    • /
    • 2004
  • 본 연구는 구강보건실태와 관련요인을 분석하고 관련요인의 인자구조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2002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실시한 지역가입자 건강검진(1차)을 받은 65세 이상 노인 9,340명이다. 대상자는 구강검진을 포함한 모든 검진을 받고 문진표를 작성한 노인들이다. 분석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성개념타당성에 대한 검토체위검사, 요 검사, 혈액검사, 식 습관, 음주 흡연, 치료 예방, 구강증상, 구강건강상태 등 인자구조모델의 구성개념타당성은 적합도 지수 GFI, CFI, TLI, RMSE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적합한 범위에 있었으므로 구성개념타당성은 인정되었다. 2. 각 요인과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보기 위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한 결과 요 검사를 제외한 모든 요인이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를 설명할 종합적인 구조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치과 방문과 치면세마 경험이 적은 농촌지역이 도시지역에 비해 치아우식증, 치아 결손을, 의치필요자율이 높았으며, 음주 흡연이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치아결손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치주질환은 전체의 3.2%에서 관찰되었으며 낮은 연령에서 많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구강질환은 올바른 구강건강행동의 실천으로 예방 가능하므로 전국 각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구강보건전문가에 의해 바른 식 습관과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노인구강보건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경제적, 지리적인 장애로 인해 치과기관을 방문하지 못하거나 치면세마, 의치장착 등의 구강 건강행위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치과 의료서비스 접근도를 높히는 정책전환이 요구된다. 또한, 구강건강상태와 전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설명하기 위해 구조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검사방법과 효과적인 지표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개발한 항목을 그대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모델 구성에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근로자들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따른 구강건강 실천요인 (Relationship of health-promotion life style to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 among workers)

  • 송지연;박지영;김남송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621-629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oral-health practice of adult workers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health-promotion life style to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 in an attempt to determine the impact of health-promotion life style.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0 workers who worked in Seoul, North-Jeolla and South-Jeolla Province, and were at the age of 20 and up.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July 20, 2011. Results :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to the factors of their health-promotion practice, gend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oothbrushing female (3.24),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concern according to more than college(2.72) scored higher academic credential(p<0.05). The group of the workers whose health-promotion life style was better in terms of all the toothbrushing(3.35), use of oral hygiene supplies(2.19), regular dental-clinic visit(2.70), dietary control(2.84) and education/concern(3.20) scored higher,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education/concern(p<0.05). Their health-promotion life style had an impact on regular dental-clinic visit among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p<0.05),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ealth-promotion life style and tooth brushing, dietary control(p<0.05), regular dental-clinic visit, education and concern(p<0.01) the factors of oral-health practice. Conclusions : Workers should be stimulated to get into sound life habits to change their behavior, and they should be urged to improve their preventive health care, to get a dental checkup and ultimately to promote their health as well. Companies should take measures to accelerate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workers and provide more dental checkup programs for them to be more concerned about their oral health, to promote their oral health and to maintain the best oral health.

부산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 태도, 행동과 구강건강상태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the Dental Health and the Dental Health Conditions in Elementary Students in the Pusan Area)

  • 김숙진;안숙희;김영혜;정은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8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ctual dental care status,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dental health, and dental health conditions in elementary student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and dental health conditions for 427 students in their sixth grade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in Pusan area from November 1st to December 5th, 2002.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study questionnaire and through dental checkups by dentists and was analyzed into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about dental health was found to be high as mean score 18.75 points (64.7%) in knowledge, 17.86 points (59.5%) in attitudes, and 31.64 points (67.3%) in behaviors. Therefore they were found to care a lot about their dental health. The indices of dental health conditions were found to be low as mean score 0.87 pieces (3.1%) of treated teeth, 1.27 pieces (4.5%) of teeth to be treated, 7.64% of the DMFT rate and 0.43 points (7.2%) of the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Therefore their condition of dental health was found to be very clean. 2)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dental health showed a weak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conditions of dental health, treated teeth and the DMFT rate showed a moderate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and treated teeth and the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showed weak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3) The condition of dental health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found to be good and dental care was properly done when there was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school health educators in dental care. It tells us that dental education is required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their parents. A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children's dental heath, school health educat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have continuous dental care habits for lifelong dental health with repetitive education, rather than to deliver simple knowledge to students during dental health education.

국내의 암관련 간호연구논문 분석 (An Integrative Review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 1980-1998)

  • 최선혜;남영화;류은정;백명화;서동희;서순림;최귀윤;최경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86-800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systemically 18 years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in Korea and suggest it's direction in future. 149 nursing studies published from 1980 to 1998 were selected for the present study. There were examined the source and the design of study, type of subjects, measurement variables, the intervention outcome of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m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121 of 149 studies were composed of master thesis and dissertation of graduate school. There were 55 correlations, 30 descriptions, 19 comparisons, 19 qualitative studies and 2 Q-methods as the type of research design. 2. Cancer patients without describing specified diagnosis as subjects' characteristic were 44 of total studies. The others had various diagnoses such as gastric cancer, uterine cancer, breast cancer, leukemia, lymphoma, colorectal cancer, and lung cancer. According to treatment type,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were the highest number distribution as 53 of all researches. 3. Most measurement instruments used for research were translated it into Korean that developed by foreigners, such as Zung's depression, Spielberg's anxiety, and Wallston's locus of control. 4. Quality of life was shown the most frequently among correlational researches. the next one was depression, the third was hope, and so on. 5. There was the most frequent comparison between cancer and non-cancer patients in comparative researches. It was surveyed those variables as diet habits, risk factors, stressful life events, anxiety and depression, and self-care capacity between two groups. 6. The subjects were mostly chemotherapy patients as 15 of 24 experimental studies. Oral care and education were respectively the highest experimental interventions. 7. Qualitative researches about cancer were reported since 1991. Their themes were illness experience, adaptation process, dying experience, family experience, hope, caring, experience of health behavior, meaning of chemotherapy and experience of cancer survivor. Phenomenologic methodology was designed above 50% of qualitative researches.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cancer research had increased since 1990 and done mostly by descriptive design but a few experimental studies. A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mparison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internationally, the replication to establish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and the family care of cancer patient.

  • PDF

입원 치료로 호전된 전신 아토피 피부염 한방치험 3례 (3 Cases of Systemic Atopic Dermatitis Patients Improved by Korean Medicine Hospitalization Care)

  • 송지훈;김종한;최정화;정민영;박수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6-88
    • /
    • 2021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report 3 cases of systemic atopic dermatitis improved by Korean medicine hospitalization care. Methods : Unlike outpatients, inpatients were supervised their lifestyle including dietary habits by physicians every morning and daily treated with acupuncture, herbal medicine including Bangpungtongseongsan-gagam, and Hwangryunhaedok-tang wet dressing therapy during all week. For dressing preparation, Hwangryunhaedok-tang was used to skin lesion except face. Mixed decoction of Lonicerae Flos and Forsythiae Fructus was used to facial lesion. Hwangryunhaedok-tang pharmacopuncture was injected to 2 patients. Western oral medicine and injection such as antihistamine or corticosteroids were prescribed by physician depending on each patient's condition. Symptoms were assessed with SCORAD index, IGA, and taking photos. Results : All patients showed the decrease in SCORAD index, IGA, skin lesion amelioration, and patient-subjective improvement. As time passes, dependence on western treatment also decreased and patients were able to endure pruritus without antihistamine injection during hospitaliz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medicine hospitalization care including acupuncture, herbal medicine, external therapy is effective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through decrease SCORAD index, IGA and ameliorating skin lesion.

18개월 유아 조기 우식의 원인 고찰 (A STUDY ON THE ETIOLOGIC FACTORS OF EARLY CHILDHOOD CARIES IN 18-MONTH OLD INFANTS)

  • 이창한;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4-184
    • /
    • 2005
  • 이번 연구는 18개월 이전에 발생한 우식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일신기독병원에 육아상담과 예방접종을 위해 내원한 생후 18개월 유아 234명과 그 보호자를 대상으로 직접면담과 구강검진을 시행하였으며 우식군과 비우식군 유아들에 대해 우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사항들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유아의 유아기 우식증 유병율은 27.4%였다. 2. 우식군에서의 맏이의 비율과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경제수준이 더 낮았다. 3. 이 시기의 이유여부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나, 우식군에서 연장된 모유수유 비율이 더 높았고 수유회수가 많았다. 4. 간식습관에서는 우식군에서 초콜렛, 사탕 등의 우식성 간식의 섭취비율이 높았고 과일과 우유의 섭취 비율이 낮았으며 불규칙한 간식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5. 우식군에서 구강위생관리가 시행되는 비율이 더 낮았으며 잇솔질 시작 시기가 더 늦은 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이 시기의 유아기 우식증은 사회, 경제적인 수준과 연장된 모유수유, 불량한 간식의 종류와 습관에 의해 발현된다고 생각된다.

  • PDF

정신지체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에 따른 구강보건 행태 변화 (Oral Health Behavior Changes Based on Oral Health Education of Mental Disabilities)

  • 최주현;이명희;서화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4-412
    • /
    • 2012
  • 본 연구는 장애인의 구강건강을 위해 특수교사 및 보호자의 구강건강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장애인 스스로 올바른 구강용품 사용과 행위로 구강청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 지역 H 장애인 복지시설과 E 장애인 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정신지체 장애인 총 93명을 대상으로 보호자 및 특수교사로부터의 설문지 응답과,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잇솔질 교육, 식이조절, 구강보조용품 사용 등의 구강보건 교육과 간이구강위생지수, 치면세균막 지수, 개량 구강위생상태를 확인하는 구강검진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신지체 1급과 2급, 3급의 잇솔질 교육 후 실천도를 조사한 결과, 정신지체 1급의 경우, 아침식사 전에는 변함이 없었다. 아침식사 후는 2차 교육 이후에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지만 3차 교육 후에는 다시 교육 전과 같았다. 둘째, 장애유형과 교육 횟수에 따른 간이구강환경지수의 변화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으나 장애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횟수와 간이구강환경지수의 차이가 있는지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간이구강환경지수는 시간에 의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961, p<.01). 넷째, 장애유형별 치면 세균막 상태의 변화는 시간에 의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사후검증결과 1차와 4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5.126, p<.05).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 인식도 변화는 성별, 연령, 장애유형, 교육기관, 학력 정도 등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인의 잇솔질은 2차교육 때까지 잇솔질 횟수의 증가를 보였으나 그 이후 잇솔질 횟수의 감소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잇솔질 교육을 받은 후, 처음에는 흥미를 갖고 잘 실천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흥미를 잃어 원래의 생활 패턴으로 돌아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간이구강환경지수나 치면 세균막 지수 등의 결과로 볼 때 올바른 잇솔질 방법으로 구강청결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장애인의 구강보건 교육은 잇솔질 교육을 장기간 하는 것보다는 주기적으로 흥미를 유발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장애인의 구강건강 향상을 증진시키는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자료 활용 (The effect of restrictions on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of adults in Korea on quality of life: Using the 8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정;임차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3-182
    • /
    • 2023
  • 서론: 본 연구 우리나라 성인 청년, 중년, 장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성인의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과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8기 1차년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였으며, 우리나라 성인 청년 만19~29세, 중년 만30~49세, 장년 만50~6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EQ-5D, HINT-8과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로는 치통 경험 여부, 저작 불편 호소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의 구강 관련 활동 제한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차이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분산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청년, 중년, 장년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제한에 따른 EQ-5D와 HINT-8 차이는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전체 성인의 EQ-5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읍,면,동),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전체 성인의 HINT-8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 성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준비된 노년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하여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성인의 구강건강증진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성인구강보건사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생활습관과 치주건강상태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 류혜겸;이정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18-425
    • /
    • 2013
  • 본 연구는 생활습관과 치주건강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올바른 생활습관을 통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일부지역 치과의원에 내원한 40~50대 성인 남녀 총 326명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화된 설문지와 치주건강상태를 측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여부는 치은염 지수(p<0.01), 치주낭 깊이(p<0.001), 임상적 부착소실(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일일 흡연량은 치은염 지수(p<0.05), 치주낭 깊이(p<0.01), 임상적 부착소실(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흡연기간은 치은염 지수(p<0.05), 치주낭 깊이(p<0.01), 임상적 부착소실(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음주주기는 치은염 지수(p<0.05), 임상적 부착소실(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흡연을 하는 경우(p<0.05) 임상적 부착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과진료기관은 환자들에게 건강한 치주상태를 예방 및 유지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흡연과 음주는 치주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체계적인 금연과 절주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