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Impact Profil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3초

외국인 유학생과 국내 대학생의 구강건강관리실태에 따른 주관적 구강상태인식도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의 관계 (Subjective oral status perception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management amo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 윤성욱;이은숙;박영남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87-694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oral status perception and OHIP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managementamong international and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Methods: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76 domestic and 175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from August 25 to November 1, 2014. The informed consent was received after explanation of the purpose of the study by the researcher.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othbrushing behavior, oral health management, subjective oral status perception.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The subjective oral status perception and OHIP was measured by Likert 5 point scale. Results: The international students tended to have higher subjective oral status perception when they had longer stay with the roommate in Korea. The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tended to have higher OHIP than the male students. The domestic students with lower grades and roommates showed higher OHIP. The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poorer practice of oral health management than domestic students. The overall mean of subjective oral status perception was 3.13 in domestic students, and 3.09 and 3.22 in international students. The overall mean of OHIP was 4.21 in domestic students and 4.25 and 4.16 in the international students, Conclusions: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higher subjective oral status perception than domestic students, but their wrong oral health management lowered their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oral health management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continuously.

부산지역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OHIP-14) (Influence of oral health status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OHIP-14) among elderly people in Busan)

  • 윤현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59-767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and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in Busan. A total of 479 elderly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general hospital, two research institutes, eight dental clinics, six welfare institutions, sixteen senior centers, and three nursing home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OHIP-14) was used in the routine dental checkups of the elderly people. Results : Those who had no oral symptoms had a bett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OHIP-1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functional limitation(p=0.001), physical pain(p<0.001), emotional discomfort(p<0.001), physical disability(p=0.001), emotional disability (p=0.001), social disability(p=0.005), physical handicap(p=0.003) and total OHIP-14(p<0.001). Those who had 18 sound teeth(natural teeth) or more had a bett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the OHIP-1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functional limitation(p<0.001), physical pain(p=0.007), emotional discomfort(p=0.019), physical disability(p=0.018), Emotional disability(p=.032) and total OHIP-14 (p=0.006). Conclusions : The results reveal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number of sound teeth(natural teeth) and frequency of toothbrushing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Therefore oral health programs for the elderly people can preserve remaining teeth. Toothbrushing is the best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교정치료의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14)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of orthodontic treatment on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OHIP-14))

  • 유경자;황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3-242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 and the factors affecting OHIP for orthodontic pati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orthodontic patients in accordance with oral health. Methods: The study explained the purpose and purport of this study to orthodontic patients who visit dental clinics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for about two months from July 01, 2019, and conduct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for 220 participa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data of 197 subjec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23 that were inadequate. Results: As for orthodontic treat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ceived oral health and OHIP,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spondents who were 'very healthy' and 'not healthy' (p<0.05). The higher the supplementary servic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orthodontic treatment satisfaction, and the higher the perceived oral health, the OHIP was found to be the higher. The factors affecting OHI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al health. The explanatory power was 15.6%. Conclusions: Active and ongoing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dental hygienists to ensure that the patient's oral cavity is healthy, and although additional services need to be improved, it is more important to have management strategies for patients to improve orthodontic treatment satisfaction.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High Schoolers in Some Regions)

  • 이덕혜;구민지;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9-113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기 위해 일부 고등학교 학생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현재 인지하고 있는 구강상태 정도는 '건강하다'가 34.8%, 그렇지 않은 경우가 65.2%로 나타났으며,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정도는 '아주 관심이 많다' 15.7%, '조금 관심이 있다' 52.6%인 반면, 별로 관심이 없거나 전혀 관심이 없는 경우는 31.7%로 나타났다. 2. OHIP 세부영역 중 신체적 동통영역이 2.2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불리영역이 1.35로 가장 낮았고, 전체 구강건강영향지수는 1.66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OHIP 세부영역 중 남자가 사회적 불리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치과방문경험이 있는 경우가 신체적 동통영역과 정신적 불안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구강건강관심도에 따른 OHIP 세부영역별 차이에 있어서는 매우 관심이 있는 경우가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5. OHIP 세부영역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가 소아 환자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or Intravenous Sedat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diatric Dental Patients)

  • 송지수;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35
    • /
    • 2016
  • 본 연구는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가 주 양육자가 인식하는 환아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과 환아 가족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10세 이하의 건강한 환아와 그 환아의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환아가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를 위해 내원한 당일, 치료 시작 전에 환아의 주 양육자가 설문지를 작성하고, 치료 후 6개월 이내에 동일한 주 양육자가 동일한 설문지를 다시 작성하였다. 총 43명의 환아가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Child Oral Health Impact Profile(COHIP)과 Family Impact Scale(FIS)의 대한민국 버전이 설문에 사용되었다. COHIP과 FIS 점수 모두 술 전에 비하여 술 후에 개선되었다. 성별은 COHIP 및 FIS 점수의 개선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연령은 COHIP 점수의 개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어린 환아의 경우 술 전 FIS 점수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수치료를 한 경우에는 COHIP 점수가 더 크게 개선되었으며, 구치부 기성금속관 수복을 한 경우에는 FIS 점수의 개선 정도가 적었다. 전치부 심미수복 여부와 전치부 조기 발거 여부는 COHIP 및 FIS 점수의 개선 정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전신마취 또는 정주진정 하 치과치료는 주 양육자가 인식하는 환아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개선시킨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평가 (Quality of Life in Korean Patients with Burning Mouth Syndrome)

  • 박주현;권정승;최종훈;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6권2호
    • /
    • pp.81-89
    • /
    • 2011
  • 만성 통증의 양상을 보이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은 환자들의 신체적, 심리적인 면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과의 연관성도 많은 연구들에서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연구들에서는 구강작열감환자에게 있어서 총괄적인 건강상태와 관련된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에는 부족한 면이 있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내과에 내원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Medical Outcome Short Form Health Survey Questionnaire (SF-36)과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49)를 이용한 평가를 시행하여, 시행 결과를 대조군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총 60명의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 및 60명의 건강한 대조군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군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설문인 SF-36과 구강 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설문인 OHIP-49를 시행하였다. 구강작열감증후군과 전반적인 삶의 질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SF-36의 모든 항목에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점수를 보여 전반적인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OHIP-49 설문의 결과, 각 항목의 평균에서 구강작열감증후군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점수를 보여 구강 건강과 관련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 건강 결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OHQoL) and Oral Health Outcome in Adults over 50 Years Old)

  • 조영식;임순연;황혜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05-310
    • /
    • 2011
  • 50대 이상 장 노년층 성인들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Oral-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HRQoL)과 건강 결과(health outcome)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148명을 편의추출하여 구강검사와 면접조사를 통해 OHIP-14(Oral health impact profile-14)와 인지 건강 및 구강건강 상태를 측정하고,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교차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OHIP-14의 모든 문항에 대해 조사 대상자 중 9.5%가 전혀 문제나 불편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가장 문제를 많이 느끼는 차원은 '신체적 통증'(69,8%)과 '심리적 불편감'(63.5%)으로 나타났다. 2. 평가 구강건강 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을 비교한 결과 우식경험치아수, 잔존치아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045), 치주상태와 틀니사용여부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조사 대상자의 43.9%(N=65)가 자신이 '건강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43.9%(N=65)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고 있고, 54.7%(N=81)가 자신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4. 조사 대상자가 느끼는 인지 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인지 건강상태, 인지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5. 조사 대상자의 인지 건강상태와 OHIP-14 점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나(r=0.326, p<0.01), 인지 건강상태와 우식경험치아수, 잔존치아수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서울시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이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ental Preventive Health Services for Childre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송지수;정호정;임대근;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27-437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이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2018년 사업의 전체 대상자인 20,802명 중 무작위로 선정된 110명의 10세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업 시행 전과 후에 Child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HIP) 설문 문항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업 전후 설문을 모두 작성한 107명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COHIP 점수와 우식 치아의 수, 결손 치아의 수, 부정교합, 구강위생상태와 같은 임상검사 결과들이 분석되었으며, 응답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COHIP 점수는 사업 시행 후 증가되었으며(p < 0.001, effect size 1.05), 우식 치아와 결손 치아가 있는 어린이들은 낮은 COHIP 점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서울시 학생치과주치의 사업은 10세 초등학생들의 구강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일부 농촌노인들의 구강건강영향지수(Oral Health Impact Profile)14 평가 (A Study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 14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 이가령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6
    • /
    • 2010
  • 본 연구는 2006년과 2007년 경상북도 성주군과 영양군 내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증진에 관여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지역 내 2개군 지역을 선정하여 지역 내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영향지수(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14)를 활용하여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설문조사하였다. 최종 수합된 546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각 세부요인 중 사회적 능력저하는 평균 4.61점, 정신적 능력저하는 평균 4.53점, 신체적 능력저하는 평균 3.99점, 정신적 불편감은 평균 3.98점, 사회적 불리는 평균 3.82점, 신체적 동통은 평균 3.77점, 그리고 기능적 제한은 평균 3.44점으로 조사되었다. 2.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중 기능적 제한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및 직업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신체적 동통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동거가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정신적 불편감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직업유무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신체적 능력저하는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월수입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정신적 능력저하는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회적 능력저하는 조사된 특성 중 교육수준, 직업유무, 월수입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사회적 불리는 조사된 특성 중 연령, 직업유무,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조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 총합은 조사된 특성 중 성별, 교육수준, 직업유무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일부 농촌노인들의 구강건강 영향지수를 측정하고 각 세부항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구강건강 영향지수에 대한 세부요인 별 관련성을 볼 때, 구강건강과 삶의 질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노인들의 복지정책과 효과적인 노인건강 관리가 이루어져야한다고 본다. 또한 구강건강 영향지수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대구 지역 일부 중고등학교 학생의 구강상태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s)

  • 정윤숙;최순례;정은경;최연희;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42-649
    • /
    • 2015
  • 이 연구는 대구 지역 일부 청소년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청소년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 중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에 대해서 나쁘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24명(20.2%), 보통은 67명(56.3%), 좋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28명(23.5%)이었고, 1년 내 구강 내 통증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72명(60.5%), '없다'는 47명(39.5%)이었다.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의 점수는 최하 14~70점까지로 연구 대상자의 평균 총 점수는 $64.76({\pm}6.71)$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구강 문제로 인한 삶의 질의 영향이 낮은 것이다. 청소년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년 내 구강 내 통증 경험이 있을수록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학년 순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생 동안 신체적, 정신적 변화가 가장 많은 청소년 시기의 삶의 질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삶의 질에 구강건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연구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며, 청소년의 구강건강 불편 증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