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Life Time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35초

양성자 치료에서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Off Line PET의 효율성 검증 (The Effect of PET Scan Time on the Off-Line PET Image Quality in Proton Therapy)

  • 홍건철;장준영;박세준;차은선;이혁
    • 핵의학기술
    • /
    • 제21권2호
    • /
    • pp.74-79
    • /
    • 2017
  • 양성자선을 이용한 치료는 기존의 광자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병소 주위 정상 조직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고 암세포를 치료할 수 있는 정밀한 방사선 치료법이다. 양성자선 조사 시 인체 내 조직과의 상호작용으로 양전자 방출 핵종이 발생하며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은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양성자 치료 후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그러나 이 때 발생하는 소멸복사선은 짧은 반감기로 인하여 영상 획득 시간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양성자선 조사 후 영상 획득 시간에 따른 영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증류수를 가득 채운 2001 IEC body 모형에 37, 28, 22 mm 구체를 삽입하고 구체의 중심에 양성자선이 조사되도록 CT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양성자선은 wobbling technique, gantry $0^{\circ}$, 100 MU, 구체 크기별로 범위는 각각 16.4, 14.7, 9.3 cm로 조사하였다. 조사를 마친 모형은 약 5분의 거리를 이동하여 PET/CT로 1 분씩 50 개의 영상을 획득하여 1에서 10. 11에서 21, 21에서 30, 31에서 40, 41에서 50으로 10개씩 영상을 합산하여 재구성 하였다. 합산된 영상에서 열소 부위와 배후 방사능에 ROI를 그린 후 방사능 농도 값을 산출하고 대조도 잡음비를 계산하여 영상의 질을 평가하였다. 전체 영상의 CNR은 37 mm 구체에서 0.43, 0.42, 0.40, 0.31, 0.21로 나타났으며, 28 mm 구체는 0.36, 0.32, 0.27, 0.19, 0.09로 측정되었다. 22 mm의 구체는 0.25, 0.25, 0.19, 0.11, 0.08로 측정되었다. CNR은 37 mm 구체에서는 30분 이후에 빠르게 감소하였고, 28 mm와 22 mm 에서는 20분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PET 촬영에서 양성자선 조사 후 데이터의 획득 시점과 총 획득 시간이 매우 중요하다. 실험 결과에서 병소의 크기가 22 mm 이상이라고 가정한다면 영상 획득은 조사 후 25분 내에 완료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양의 크기가 작거나 저 선량이 조사될 경우에는 보다 긴 영상 획득 시간을 적용한다면 도움을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annase를 이용한 녹차의 생물학적 전환의 최적 조건 마련 및 라디칼 소거능 (Optimal Reaction Condition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or the Bioconversion of Green Tea Using Tannase)

  • 홍양희;연유경;정은영;신광순;유광원;김태영;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01-1506
    • /
    • 2011
  • 본 연구는 tannase를 이용하여 녹차의 생물학적 전환에 대한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 최적 추출 조건으로 마련된 녹차 추출물에 대해 라디칼 소거능 검증을 통해 항산화력의 향상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tannase의 반응은 0.5시간 내에 대부분 이루어지며 처리 1시간까지도 일부 작용이 이루어져 최적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한 tannase의 반응 시간을 1시간으로 결정하였다. 기질 농도 1% 이상의 경우에서는 EC 및 EGC 전환율이 오히려 낮아져 tannase 작용을 위한 기질 농도는 1%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tanna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C, EGC 및 gallic acid는 증가되었으며 일정 농도(30 U/mL)에서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이 농도부터는 통계적으로 EC와 EGC 전환율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tannase의 적정 반응 농도는 30 U/mL으로 판단되었다. 위의 조건으로 마련된 최적의 tannase 처리 녹차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은 tannase 처리 전 녹차 추출물에 비해 ABTS와 DPPH 라디칼에 있어 모두 유의하게 소거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tannase 처리 최적 추출 조건에 의해 녹차의 항산화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6례의 Angiosarcoma 환자에 대한 경과 분석 (A Retrospective Analysis of Six Cases of Angiosarcoma)

  • 송경호;남수봉;김경훈;최치원;오흥찬;최수종;배용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791-797
    • /
    • 2011
  • Purpose: Angiosarcoma is a rare and aggressive malignant soft tissue tumor. Due to a lack of the established optimal treatment modalities, however, an extensive resection followed by an early detection has been reported to be the best treatment of choice. We analyzed the clinical course of six patients, hence attempted to contribute to making a treatment plan for patients with angiosarcoma. Methods: Six patients who have been surgically treated between 2005 and 2010 are included. Through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medical records, we evaluated the pattern of disease detection, a past history, time span between the detection and the primary surgery, surgical treatment modalities, time span between the primary surgery and the recurrence/metastasis, the sites of metastasis and the secondary treatment modalities.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70.5 years; all male; and the sites were the scalp. Four patients underwent the reconstruction using a local flap with a skin graft and two patients using a free flap. The mean period elapsed until the primary operation since the identification was 7.3 months and until a recurrence or a metastasis occurred following the primary operation was 12 months. Four patients had pulmonary metastasis. As a secondary therapy, four patients underwent the radiotherapy and one was treated with the chemotherapy. At the present, five patients died and one undergoes a monitoring of the clinical course. Conclusion: It would be mandatory to shorten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nd to return patients to their daily lives as the earliest as possible using relatively simpler surgical methods, thus attempting to give them opportunity to resume their previous normal life.

Prevalence and Survival Patterns of Patients with Bone Metastasis from Common Cancers in Thailand

  • Phanphaisarn, Areerak;Patumanond, Jayantorn;Settakorn, Jongkolnee;Chaiyawat, Parunya;Klangjorhor, Jeerawan;Pruksakorn, Dumnoens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9호
    • /
    • pp.4335-4340
    • /
    • 2016
  • Background: Bone metastasis is a single condition but presents with various patterns and severities. Skeletal-related events (SREs) deteriorate overall performance status and reduce quality of life. However, guidelines for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are limited. This study includes a survey of the prevalence of bone metastasis in cases with common cancers in Thailand as well as a focus on survival patterns and SRE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database of the Chiang Mai Cancer Registry and the Musculoskeletal Tumor Registry of the OLARN Center, Chiang Mai University. The prevalence of bone metastasis from each type of primary cancer was noted and time-to-ev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cancer survival rates after bone metastasis. Results: There were 29,447 cases of the ten most common cancers in Thailand, accounting for 82.2% of the entire cancer registry entries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those cases, there were 2,263 with bone metastases, accounting for 7.68% of entries. Bone metastasis from lung, liver, breast, cervix and prostate are common in the Thai population, accounting for 83.4% of all positive cases. The median survival time of all was 6 months. Of the bone metastases, 48.9% required therapeutic intervention, including treatment of spinal cord and nerve root compression, pathological fractures, and bone pain. Conclusions: The frequency of the top five types of bone metastasis in Thailand were different from the frequencies in other countries, but corresponded to the relative prevalence of the cancers in Thailand and osteophilic properties of each canc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country specific guidelines for primary cancer identification with skeletal lesions of unknown origin. In addition, further clinical studies of the top five bone metastases should be performed to develop guidelines for optimal patient management during palliative care.

소 수정란의 할구 분리방법에 따른 생존율 및 성판별 PCR의 개선 (The Improvement of Sexing PCR Conditions and Survival Rate of Blastomere Separation Method in the Bovine Embryo)

  • 김상환;김경래;이호준;;;정덕원;김대은;이득환;윤종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9-205
    • /
    • 201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on embryo survival rates by blastomere isolation methods, and establish the optimal PCR procedure for perform the sexing of bovine blastocysts produced by IVF. IVF embryos used in the study was used the Bisected or Sliced methods for blastomere isolation, and the survival rates of blastocyst with rapid way of sexing PCR was assessed. In the present study for survival rates in blastocyst was the total cleavage rate was 75% and a blastocyst development among cleaved embryos was 40%. Survival rate of embryos treated with intact, bisected or sliced method was 100, 63.3 or 81.3%, respectively. Therefore, survival rate of embryos treated with sliced method was higher compared to that of embryos treated with bisected method. The sexing rate of female or ma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4BFBR primer and BSY + BSP primer (1.75 : 1 vs. 1.43 : 1), respectively. Because of the PCR amplification using the S4BFBR primer was simpler method than multiplex PCR amplification method. Furthermore, the accuracy of sexing rate and reduction of PCR work time between 2-step and 3-step of PCR methods was 98.0% / 1.5 hr and 97.0% / 3.5 hr,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sliced and PCR methods we developed was very effective method to reduce time consuming and procedure of PCR amplification for sexing with the increase of survival rate on the blastocyst.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김치 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 특성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Chitosan and Chitosan Oligosaccharides on the Microorganism related to Kimchi)

  • 김명희;오세욱;홍상필;윤석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39-1447
    • /
    • 1998
  •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김치관련 미생물에 대한 항균특성을 검토하였다. 분자량 및 탈아세틸화도가 다른 5종의 키토산을 조제하여 김치에 첨가한 후, 관능검사, pH 및 산도를 검토한 결과, C-4 및 C-5(탈아세틸화도 $92{\sim}99%$, 분자량 $16,700{\sim}32,000)$가 우수한 조직감을 나타내었고 숙성적기로 평가된 대조구의 pH 4.1, 산도 0.50% 시점에서 pH 4.9 및 산도 0.35%를 나타내었다. 한편, C-4 키토산(분자량: 16,000, 탈아세틸화도: 99%)으로부터 $5{\sim}7$량체의 함량이 높은 키토산 올리고당을 조제하고 B. subtilis, B. cereus, Pse. fluorescens, E. coli, Lac. plantarum, Leu. mesenteroides, Lac. brevis, Ent. faecalis에 대하여 항균력을 측정한 바, 3.0% (w/v) 키토산은 $9{\sim}20mm$, 5.0% (w/v) 키토산 올리고당은 $8{\sim}24mm$의 성장억제환을 나타내었으며 키토산의 MIC는 $0.01{\sim}0.05%$ (w/v), 키토산 올리고당의 MIC는 $0.05{\sim}0.2%$로 나타났다. C-4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또한 초기, 적기 및 후기의 김치 유래 총 microflora에 대해서도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특히 적숙기의 microflora에 대해서 가장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따라서 C-4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김치의 저장성 개선제로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얼룩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의 산란행동 및 난발생에 관한 연구 (The Spawning Behavior and Egg Development of Odontobutis interrupta IWATA and JEON, 1985)

  • 최신석;나영언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23-330
    • /
    • 2000
  • 얼룩동사리의 자연서식지 및 산란조건을 관찰한 바 수심은 0.3-0.6m범위, 유속은 0.1-0.3m/sec, 난괴의 정착면적은 2.75-19.56cm였다. 난소의 성숙도는 체장 80mm 이상에서 점점 증가하며 100mm 정도 되어서는 최고의 성숙도를 보였다. 또한 산란행동은 인공수조에서 수컷이 산란장소를 마련한 후 강한 세력권을 형성하고, 암컷을 유인한 후 방란 촉진 구애행동을 보였다. 그리고 난 후 배를 거꾸로 뒤집은 자세로 방란 방정을 마친 후 암컷을 쫓아냈으며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류를 일으킴으로써 알에 신선한 물을 공급하였다. 난발생과정은 수정 후 1시간 17분에 배반이 형성되고 이후 약 36분의 간격으로 난할이 규칙적으로 일어났으며 7시간 12분에 포배기, 11시간 11분에 낭배기가 시작, 32시간 48분에 난황전을 형성하였다. 수정 후 33시간 45분에 배체가 형성되었고, 47시간 27분에 안포가 형성되며 체절은 30-31개가 되었다. 65시간 15분에 심장의 원기가 형성되고 박동수는 44-48time/min이 되었다. 수정 후 138시간 40분에 가슴지느러미가 형성되었고, 170시간 45분에 부레의 형성과 자어의 몸통 하단에 흑색소포가 관찰되었다. 수정후 248시간 05분에 난각을 뚫고 부화하였으며 이때 자어의 전장은 5.8$\pm$0.2mm, 무게는 3.0$\pm$0.5mg이었다. 몸은 투명하며 흑색소포가 산재하여 있었고 난황이 남아 있었다.

  • PDF

유색미 제조용 감귤과피 물추출 균질액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al Condition for Manufacturing Water Extract from Mandarin Orange Peel for Colored Rice by Coating)

  • 서성수;윤광섭;신승렬;김순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84-892
    • /
    • 2003
  • 균질화 속도와 시간, 그리고 온도, 물 첨가량에 따른 감귤과피 물균질액의 제조공정시 최적조건을 찾기 위하여 물균질액의 추출효율지수를 나타내는 EI와 감귤과피 물균질액으로 코팅한 유색미의 색도를 나타내는 b value를 변수로 하여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감귤과피를 이용한 물균질액 제조시 EI는 추출온도를 제외한 균질화 속도와 시간, 물 첨가량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수립된 회귀식에 대한 적합성 결여 분석결과 EI, b value에 대해 유의성이 없어 반응표면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최적조건을 선정하기 위하여 비교적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는 균질화 시간과 온도를 중심점으로 고정하고 제한 변수를 최대로 하는(EI을 400이상, b value를 24이상) 물균질액 제조의 최적조건은 물 첨가량 42mL, 균질화 속도 8,500rpm이었다. 다음으로 첨가량과 균질화 속도를 이 조건으로 고정하고서 EI을 400이상, b value를 24이상으로 하는 감귤과피 물균질액의 제조조건으로는 물의 온도는 $53^{\circ}C$ 및 균질화 시간은 2.8분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염색조건에 따른 양파껍질의 염색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yeing Effects of Onion′s Outer Shell under the Different Dyeing Conditions)

  • 정나영;이전숙;최경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1-6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est dyeing conditions using onion's outer shell. and to apply to the method in practical daily life. To do this. we extracted quercetin from onion's outer shell and dyed several natural fabrics such as cotton, slack mercerized cotton, ramie. and silk.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Dyed fabrics were Investigated in the aspect of dyeability and colorfastness. The effective conditions for the light-fastness and washing-fastness also have been studi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varied with such conditions as temperature. time. pH degree. and treatment and types of mord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Fabrics dyed with onion's outer shell showed excellent dyeability even though there were no mordants, and the silk fabric dyed better than both cotton and ramie fabric. Furthermore, in the cases of repeated dyeing and treatment of mordants using AIK(SO$_4$)$_2$.12$H_2O$ and CuSO$_4$,.5$H_2O$ dyeability of specimen had been improved 2. Cellulose fabrics such as cotton, mercerized cotton and ramie showed the best dyeability under relatively low temperature in the range of 20~4$0^{\circ}C$. On the contrary to cellulose fabric, silk fabric showed the best dyeability under higher dyeing temperature. All fabrics had the higest K/S value at pH 3 regardless of the kind of fiber 3. Dyeing colors varied with the kind of mordants. Colors were turned into yellow in AIK(SO$_4$)$_2$.12$H_2O$ into Yellow-red in CuSO$_4$,.5$H_2O$ , and into green-Yellow in FeSO$_4$.7$H_2O$. As mordants, AIK(SO$_4$)$_2$.12$H_2O$, CuSO$_4$,. 5$H_2O$. FeSO$_4$.7$H_2O$. gallic acid and tartaric acid were used and especially AIK(SO$_4$)$_2$.12$H_2O$ showed the best dyeability and colorfastness in repeated dyeing. Mordants such as AIK(SO$_4$)$_2$.12$H_2O$ made fabrics have better chroma and washing-fastness though the light-fastness was poorer than non mordanting. 4. Repeated dyeing brought us deep color. When fresh dyebath was used each time, the dyeability was increased as the experiment was repeated more. When dyed with used dyebath several times, improved dyeability could not be expected. The optimal using times of the used dyebath was twice.

  • PDF

황토를 이용한 인견직물의 천연염색 (Natural Dyeing of Rayon Fabric using Loess)

  • 정양숙;배도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193-19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황토를 이용한 인견직물의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인견직물의 카티온화가 이루어졌으며, 여러가지 염색조건 즉 염색온도, 염색시간, 염색 pH와 욕비에 따른 염착특성을 평가하여 적정 염색조건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염색된 인견직물의 견뢰도 평가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비법으로 얻은 황토분말의 입자 크기는 $0.4{\sim}1.7{\mu}m$ 범위로 나타났으며 $1.1{\sim}1.4{\mu}m$범위내의 분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토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이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견 직물의 암모늄기의 도입에 의한 양이온화는 FT-IR 흡수스펙트럼에서 $1,540cm^{-1}$ 부근의 N-H bending에 의한 출현 peak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염색 pH에 따른 K/S 값은 pH 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염색시간에 따른 K/S 값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색시간 30분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황토농도에 따른 K/S 값은 20% 이하의 농도에서는 약간 증가하지만 30%에서 최고값을 보여준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콩즙의 전처리농도에 따른 K/S 값은 처리농도 30% 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황토염색직물의 황토염착 분포 및 염착 상태를 관찰한 결과 황토 염색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황토입자의 부착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양이온화 처리에 의해서도 황토의 부착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콩즙을 처리하면 콩즙이 직물의 표면을 감싸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콩즙을 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콩즙을 전처리한 시료에 더 많은 양의 황토입자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