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1초

Comorbid Psychiatric Symptom Associated With Oppositional Defiant Symptom in Community School-Age Children

  • Yong Hun Kim;Duk-Soo Moon;Na Ri Ka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3호
    • /
    • pp.169-174
    • /
    • 2023
  • Objectives: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is often comorbid with other psychiatric disorders in childhoo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orbid psychiatric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ymptoms of ODD.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5 mother-offspring pairs. Psychiatric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Diagnostic Predictive Scales an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Psychiatric comorbid symptoms were compared between children with ODD symptom and those without ODD symptom.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 of psychiatric symptom on ODD. Results: ODD group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p=0.001, p<0.001, respectively). ODD group were more comorbid with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Among psychiatric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djusted odds ratio [AOR]=18.620, p<0.001) and conduct disorder (AOR=9.529, p=0.014) were associated with ODD symptom.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ith ODD symptom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comorbid psychiatric symptoms. And GAD and conduct disorder are related to ODD symptom.

청소년의 품행장애와 반항성 장애에서 보이는 우울증상과 연관된 특성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pression in Adolescent Conduct Disorder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이문인;김상훈;김학렬;박상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3호
    • /
    • pp.156-161
    • /
    • 2011
  • Objectives: Externalized behavioral problems are prevalent in adolescents, due to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is developmental stage. Conduct Disorder (CD)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as well as other 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ult in the manifestation of many behavioral problems during adolescence. Methods: For this report, we analyzed a sample of 31 adolescents, each of whom had presented with CD or ODD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2 and 2010. We separated subjects into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according to their Beck Depression Inventory scores (BDI<10, non-depressed ; BDI${\geq}$10, depressed). Then we analyzed for neuro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Results: In our sample, adolescents in the depressed group showed less of a stealing (deceitfulness and/or theft) behavioral pattern and presented with more anxiety symptoms, lower self-esteem, and greater sensitivi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compared to the non-depressed group. Conclusion: When adolescents exhibit disruptive behavior, clinicians should consider the underlying causes of the behavior.

아동·청소년 문제행동평가척도를 이용한 반항성 도전장애의 선별 : 공격성 및 비행 하위척도의 역할 (Screening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with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 The Role of the Subscales of Aggressive and Delinquent Behavior)

  • 이소영;박준호;임은지;정한용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2호
    • /
    • pp.95-102
    • /
    • 2011
  • Objectives : This present study examined the power of the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ubscales to predict a DSM-IV diagnosi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Methods : The sample included 37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ODD and 46 normal controls. The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were interviewed for clinical diagnosis using the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 (K-SADS-PL) and the parents completed the K-CBC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predict the diagnosis of ODD. Results : Among the CBCL subscales, Delinquent and Aggressive Behavior scales significantly predicted ODD diagnosis. The means of these CBCL subsc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DD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s. Conclusion:Two CBCL subscales (Deliquent and Aggressive Behavior) displayed good diagnostic efficiency for assessing OD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rough combining information from the CBCL, an empirical-quantitative approach to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the DSM-IV diagnostic criteri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clinical diagnostic approach is an effective diagnostic paradigm for children with ODD.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에서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유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의 변별력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in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선희;하은혜;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1호
    • /
    • pp.30-37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clinical cutoff score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 (CBCL 1.5-5) for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s: 44 ASD infants and 100 normal infants participated. T-test, discriminant analysi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and odds ratio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Result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ean differences and discriminant analysis 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and al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oriented scales between the two groups. ROC curve analysis showed that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and DSM oppositional defiant problems significantly predicted ASD infants compared to normal infants. In addition, the clinical cutoff score criteria adopted in the Korean CBCL 1.5-5 for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and DSM oppositional defiant problems were shown to be valid. Conclusi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and DSM oppositional defiant problems significantly discriminated for the diagnosis of ASD.

반항성 도전 장애 아동과 연관된 공존 증상 및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연구 - (COMORBIDIT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 WHO HAVE THE SYMPTOM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 COMMUNITY BASED STUDY -)

  • 김붕년;정광모;조수철;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79-89
    • /
    • 2005
  •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반항성 도전장애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이하 ODD)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역학적 특징, 공존 정신병리 및 환경적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울 근교의 지방도시(부천시)에서 무작위로 선정된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초등학생 98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모든 정보는 부모로부터 얻었다. 우선 DSM-III-R과 DSM-IV에 의한 파탄적 행동 평가척도를 통해 대상군을 선정하였고, 나머지 군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소아행동조사표, 아동성격척도를 통해 아동 문제 및 기질을 조사하였다. 또한 가족적응/결속척도, 가족기능/만족도척도를 통해 가족 기능을 평가하였고, 동시에 임신-분만-주산기 문제들을 조사하였다. 두 군간의 차이는 t-검정과 $\chi^2$-검정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 ODD군 아동은 대조군에 비해 아동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의 모든 소항목과 파탄적행동장애평가표(disruptive behavior disorder scale : DBDS)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 전반적인 공존 정신병리가 심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가족 결속력, 가족 기능/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임신-분만-주산기 문제 중에서는 임신기의 심한 정서적 스트레스, 임신 중 약물 복용, 산후 우울증 빈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성격척도에서는 ODD군이 보다 높은 위험회피성, 새것추구성을 보이는 것에 반해 보상의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ODD를 독립된 대상군으로 선정하여 시행된 첫번째 지역사회 연구라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반항성 도전장애 아동들에게 임신-분만-주산기의 생물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과 가족 기능으로 대표되는 심리-사회학적인 환경적 위험 요인이 동시에 증상 발현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수준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우울, 불안 등의 다양한 공존 병리를 보여 ODD에 동반된 증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ODD의 질병 경과를 파악하고 위험 요인간의 상호관계를 밝히며 공존 병리 존재 시 치료 모델을 확립하기 위한 보다 자세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주의산만 ${\cdot}$ 과잉운동을 주소로 소아정신과를 방문한 아동의 진단적 분류와 평가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SYCHIATRICALLY REFERRED CHILDREN WITH INATTENTION OR HYPERACTIVITY)

  • 홍강의;김종흔;신민섭;안동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190-202
    • /
    • 1996
  • 본 논문은 주의산만이나 과잉운동을 주소로 대학병원 정신과에 내원한 5세에서 13세 사이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과 주진단 및 공존질병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그 중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DHD)로 진단 받은 환아들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공존질병이 있는 집단과 ADHD만 있는 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ADHD군과 외향적장애군 및 내향적장애군 등 세집단간의 임상특성과 심리검사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주진단은 ADHD가 가장 많았고. 불안장애, 정신지체, 우울증, 반항장애, 발달성언어장애 등의 순이었다. 두 가지 이상의 진단이 내려진 경우가 48.9% 이었고, 부진단으로는 유뇨증, 품행장애, 발달성언어장애 등이 있었다. 주진단을 ADHD로 받은 환아들에서 공존질병이 있는 경우가 55.3%에 달했고. 공존질병은 특수발달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불안장애 등의 순이었다. 순수 ADHD군에 비해서 공존질병 수반군에서는 동작성 지능검사와 연속과제수행검사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외향적장애군은 ADHD군에 비해 지능검사의 상식 소검사 및 같은 그림찾기 검사와 연속과제수행검사에서 수행의 저하를 보였다. 내향적장애군은 ADHD군에 비해 교사 평정척도 점수가 낮았고, 아동행동조사표의 소통불능요인이 높았으며 연속과제수행검사에서는 카드 오류수가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주의산만이나 과잉운동이 주증상으로 나타날 경우 각종 평가 및 신경심리검사도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ADHD 외에도 외향적 및 내향적장애군 등 다양한 질환을 감별하여야 하며, ADHD 진단을 내리는 경우에도 수반된 공존질병의 유무를 확인하여 이를 치료계획에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주의산만과 과잉운동을 주소로 하는 정신과 내원 아동들의 임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CHILDREN WITH INATTENTION AND HYPERACTIVITY IN A PSYCHIATRIC CLINIC)

  • 권용실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93-103
    • /
    • 2002
  • 저자는 소아정신과 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주의산만과 과잉운동을 주소로 하는 아동들의 진단특성과 이와 관련된 임상변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학병원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아동들에서 주의력과 과잉운동 문제를 보이는 5세에서 14세 사이 총 71명(남자 63 명, 여자 8명)을 대상으로 하여, KEDI-WISC, KPI-C, ADS를 시행하였고 진단 분류에 따라 1) ADHD만 있는 군 2) 공존 질환이 있는 ADHD군 3) ADHD 이외의 진단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DHD 단독 진단군이 17명(23.9%), 공존질환이 ADHD는 26명(38.0%)이었으며 공존질환은 틱장애가 가장 많고 발달성 언어장애, 경계성 지능, 적대적 반항/품행장애, 경계성 지적능력, 학습장애의 순서를 보였으며, ADHD 이외의 진단군 27명(38.0%)은 틱장애, 경계성 지능, 우울/불안장애, 적대적 반항/품행장애의 진단 분포를 나타냈다. 2) 지능검사에서 전체지능,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 모두 군별 차이를 보였고 ADHD만 있는 군에서 공존질환 ADHD군보다 전체지능과 언어지능이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KPI-C 임상 척도는 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S 시각자극 검사에서 누락오류(omission)와 민감도(d')가 세 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고, 공존질환이 있는 ADHD 군이 ADHD이외의 진단군에 비해 유의하게 누락오류가 많고 민감도는 낮았다. 본 연구 결과를 볼때 아동의 주의산만과 과잉운동 증상은 주 진단인 ADHD 이외에도 다양한 정신과 질환으로 진단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며, 또한 공존질환이 있는 ADHD군이 ADHD만 있는 군이나 기타 질환군보다 주의력에 문제가 많고 지능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학습 및 학교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더 많을 것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에 대한 한의학적 접근 (Oriental Medical Approach to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 장규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1-165
    • /
    • 2001
  •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one of the most common childhood-onset psychlatric disorders. It is distinguished by symptoms of inattention,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ADHD may be accompanied by learning disabilities, depression, anxiety, conduct disorder,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The etiology of ADHD is unknown, and the disorder may have several different causes. Individual with ADHD present in childhood and may continue to show symptoms as they enter adolescence and adult life. Public interest in ADHD has increased along with debate in the media concerning the diagnostic process and treatment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riental medical approach to ADHD. This study was progressed for oriental diagnosis and treatment for ADHD. In oriental medicine, the reason of ADHD was deficiency of the kidney, hyperactivity of the liver(腎虛肝亢), deficiency of the heart and the spleen(心脾不足), heart disturbed by phlegm and heat(痰熱擾心). The method of medical treatment was nourishing the kidney and checking exuberance of yang(滋腎潛陽), relieving mental stress and promoting wisdom(寧神益智), nourishing the heart and strengthening the spleen(養心健脾), tranquilzation(安神定志). removing heat-phlegm(淸熱化痰), inducing resuscitation and tranquilzation(開窮安神). The prescription was commonly used as Liuwei Dihuang Wan jiajian(六味地黃丸加減), Guipi Tang he Ganmai Dazao Tang jiajian(歸脾湯合甘麥大棗湯加減), Huanglian Wendan Tang jiawei(溫黃連溫膽湯加味). It should help primary care providers in their assessment of a common child health problem.

  • PDF

행동장애에 있어서 Serotonin계의 개체발생적인 과정과 정신병리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TOGENY OF SEROTONIN SYSTEM AND PSYCHOPATHOLOGY IN CONDUCT DISORDER)

  • 신성웅;신민섭;황준원;김붕년;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112-122
    • /
    • 2003
  • 목 적:행동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연령 및 정신병리와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혈장내의 5-HT와 5-HIAA 농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고, 정신병리, 연령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였다. 방 법:1999년 3월부터 2002년 3월 사이 서울대학교병원 소아 ${\cdot}$ 청소년정신과를 방문한 환아중 행동장애라고 판단되는 소아 또는 청소년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격적인 행동, 규칙위반, 반항행동의 평가에는 DSM-IV 진단기준에 입각한 부모평가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혈장내의 5-HT 및 5-HIAA 농도의 측정에는 HPLC를 사용하였다. 결 과:1) 소아형 ${\cdot}$ 행동장애, 청소년형 ${\cdot}$ 행동장애, 그리고 대조군간에 혈장내의 5-HT 및 5-HIAA농도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5-HT, F=2.37, df 2, 61, p>0.05). 2) 혈장내의 5-HT와 5-HIAA의 농도와 공격성(aggression) 및 규칙위반(rule violation)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3) 혈장내의 5-HT농도와 반항행동(oppositional behavior)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었다.(소아형, Pearson 상관계수 0.43, p<0.05, 청소년형, Pearson 상관계수 0.48, p<0.05). 4) 행동장애군에서(소아형, 청소년형 모두 포함) 연령과 5-HT 및 5-HIAA농도간의 의미 있는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도 역시 의미 있는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이러한 소견은 행동장애의 생물학적 원인 중의 하나로 serotonin계의 기능장애라는 가설은 지지하지 못하는 소견이다. 공격성 또는 규칙위반보다는 반항행동이 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개체발생적인 과정에 있어서도 행동장애군에서 상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반항장애와 serotonin 계와의 상관성이 연구되어야 한다.

  • PDF

어머니의 인성특성과 아동의 병리적 특성 및 진단유형의 연관성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Diagnostic/Clinical Pathology)

  • 최인숙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1
    • /
    • 2008
  • This research explored links between mother/chil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ir diagnostic and clinical pathology. The 232 participants, selected from mother-child pairs receiving psychological care in a hospital setting, were tested and interviewed by clinical practitioners.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others' Psychopathic Deviate, Paranoia, Psychasthenia, and Schizophrenia and sons' Psychasthenia, aggression, alienation, depression, and anger. Mothers classified with Hysteria were likely to have aggressive children. Mothers with low self-esteem, repression, frustration, and strong levels of extroversion had daughters with anger/rage issues. Sons of mothers diagnosed with Hypochondriasis, Depression, Hysteria, Psychopathic Deviate, Paranoia, and Psychasthenia had high rate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nd ADHD. Children of mothers diagnosed with depression had high rates of ADHD. Specifically, mothers with Hypochondriasis, Hysteria, and Psychopathic Deviate had daughters with high rates of ADH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