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iate dependenc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사람 Neuroblastoma SH-SY5Y 세포주에서 Opiate 내성에 의한 c-myc 유전자 표현 (The c-myc Expression on the Opioid Tolerance in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 박창교;권지윤;서성일;김수경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권6호
    • /
    • pp.691-697
    • /
    • 1997
  • The mechanisms underlying opiate tolerance and dependence are not fully understood. We used human neuroblastoma SH-SY5Y cells as a model system for studying effects of morphine tolerance and withdrawal on c-myc induction and cAMP levels. It has been reported that regulation of c-fos by acute and chronic morphine withdrawal is mediated through alterations in CREB transcription facto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morphine tolerance on c-myc expression and cAMP concentrations. The activation of opiate receptors by an acute morphine administra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c-myc mRNA and a decrease in cAMP concentrat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5,\;10,\;15,\;and\;20\;{\mu}M)$. On the other hand, the chronic treatment of morphine $(10\;{\mu}M\;for\;six\;days)$ did not induce the elevated expression of c-myc mRNA. The c-myc expression was slightly inhibit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acute morphine response. However, cAMP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with regard to morphine withdrawal respon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lterations in c-myc expression might imply a significant opiate regulation relating to morphine tolerance. This observation differs from increased expression of c-fos via regulation of cAMP pathway.

  • PDF

정신질환에 있어서의 신경펩타이드 연구 - Endorphin과 cholecystokinin을 중심으로 - (Neuropeptides in Clinical Psychiatric Research : Endorphins and Cholecystokinins)

  • 김영훈;심주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34-45
    • /
    • 1998
  •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과 신경펩타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합성과정에 있다. 시냅스에서의 활동과 비활성화 과정에서도 양자의 차이는 뚜렷하다.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은 매우 단시간 내에 일어나며, 대개는 재흡수기전을 통해 활동이 정지되고, 일부가 효소반응에 의해 비활성물질로 대사된다. 또한 이들은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들과 마찬가지로 presynaptic peptidergic receptor를 갖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신경펩타이드 분비를 조절하는 자가수용체도 갖고 있다. 신경펩타이드의 시냅스전 세포로의 재흡수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신경펩타이드들도 시냅스 후막의 수용체로 확산되어 이차전령, 삼차전령을 통해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단가아민 신경전달 물질과 동일하다. 본래 신경세포는 자극에 의해 glycoproteins, enzymes, inorganic ions, metal ions, phospholipids, purines, amines, peptides 등의 물질들을 함께 분비한다. 이들 중에는 신경전달물질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도 있으나, 대다수는 기능이 없다. 때로는 수 종류의 신경전달물질들과 신경신경펩타이드들이 한가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관여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현재 임상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두가지 신경펩타이드들에 대해 그 신경생물학적 측면과 임상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알코올의 신경생리에 있어 가장 흥미있는 것은 아마 강화기전일 것이다. 내인성 opioid계 물질들이 알코올의 강화효과와 관계가 있다는 근거들은 많다. Naltrexone은 수용체 차단을 통해 이러한 강화기전을 차단함으로서 음주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Opioid reinforcement는 변연계의 도파민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알코올의 강화에 도파민이 관여한다는 사실과도 관계된다. 이를 도파민-알코올 강화 가설이라 한다. 기타 세로토닌도 알코올의 강화를 중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5-HT_3$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면 음주욕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전달물질계간에는 중요한 상호작용이 있다. 알코올이 측중격핵에서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기전에도 여러 신경전달계의 상호작용이 관여된다. 이의 기전에 생리적 수준에서 관여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1) opiates, (2) serotonin, (3) amino acids, (4) 기타 neuropeptide들을 들 수 있다. Opiate 수용체 길항제들은 측중격핵에서 도파민 분비를 차단하고, $5-HT_3$ 수용체 효현제는 이를 자극한다. 이들을 총체적으로 종합하면, 도파민, 세로토닌, opiate 수용체들을 조절하면 알콜리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CCK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밝혀지고 있으며, 진통 및 morphine에 대한 내성형성, 포만, 기억 등의 정신병리에 일부 관여하나, 역시 최근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CCK계가 불안의 병리에 관여한다는 소견이다. 이 분야의 연구에 기폭제가 된 것은 CCK-4가 공황발작을 유발한다는 임상 연구결과로부터 비롯된다. 이에 의한 불안반응은 자연유발된 공황발작과 거의 같으며, 정상인과 공황장애 환자를 구별하는 민감도를 갖고 있다. 이 CCK-4에 의해 유발된 공황발작은 $CCK_B$ 길항제들에 의해 차단된다. 즉 공황불안의 기전에 $CCK_B$ 수용체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CCK_B$ 수용체의 민감도 결함으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반응은 imipramine과 benzodiazepine계 약물들에 의해 차단됨이 알려져 있다. 이 공황 불안의 형성 기전에 다른 신경전달계와의 상호작용이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benzodiazepine계와의 상호작용 및 5-HT계와의 상호작용을 거론하였다. 향후 CCK 길항제들이 항불안제로 개발될 전망이다. 이들은 내성형성, 금단증상, 진정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새로운 항불안제로 기대된다.

  • PDF

Mouse뇌에서 Opioid 수용체 결합력에 미치는 인삼의 영향 (Effect of Total Ginseng Saponin on the Opioid Receptor Binding in Mouse Brain)

  • Kim, Soo-Kyung;Lee, Seong-Ryong;Park, Chang-Gy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19-224
    • /
    • 1995
  • The modulatory effects of total ginseng saponin (TGS) on the 1, 6, and opioid receptor binding in morphine tolerance and dependenc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specific [$^{3}H$]DAGO ([D-$Ala^2$, N-$Mephe^4$, $Glyco^4$] enkephalin) bind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hronic morphine (10 mg/kg, i.p.) treated mouse striatum. The specific [$^{3}H$]DPDPE ([D-$Pen^2$, D-$Pen^5$] enkephalin) binding was 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morphine treatment in the mouse striatum and cortex. Also, an apparent decrease in the affinity of [$^{3}H$]DPN (diprenorphine) was observed after chronic morphine treatment in mouse striatum and cortex. 7GS produced a sleight increase of specific [$^{3}H$]DAGO, [$^{3}H$]DPDPE binding and a significant increase of specific [$^{3}H$]DPN binding in the mouse brain striatum. In cortex, TGS produced an inhibition of specific [$^{3}H$]DAGO and [$^{3}H$]DPDPE binding and increase of the specific [$^{3}H$]DPN binding. The prolonged administration of TGS (25, 50, 100, and 150 mg/kg, i.p., 3 wks) produced an inhibition of increased [$^{3}H$]DAGO specific binding following morphine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agonist binding to and receptors in mouse striatum and cortex. These contracted alterations in $\mu$, $\gamma$ and $\kappa$ opiate receptor binding were dependent in TGS dogs and brain si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