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phioglossacea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Divergence time estimation of an ancient relict genus Mankyua (Ophioglossaceae) on the young volcanic Jejudo Island in Korea

  • GIL, Hee-Young;KIM, Seung-Chul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8
    • /
    • 2018
  • Mankyua chejuense is the only member of the monotypic genus Mankyua (Ophioglossaceae) and is endemic to Jejudo Island, Korea. To determine the precise phylogenetic position of M. chejuense, two cpDNA regions of 42 accessions representing major members of lycophytes are obtained from GenBank and analyzed using three phylogenetic analyses (maximum parsimony, maximum likelihood, and Bayesian inference). In addition, the divergence time is estimated based on a relaxed molecular clock using four fossil calibration points.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Mankyua still appears to be uncertain, representing either the earliest diverged lineage within Ophioglossaceae or a sister to the clade containing Ophioglossum and Helminthostachys. The most recent common ancestor of Ophioglossaceae and its sister lineage, Psilotum, was estimated to be 256 Ma, while the earliest divergence of Mankyua was estimated to be 195 Ma in the early Jurassic.

고사리삼과 식물 수 종의 포자 형태 (Spore Morphology of Some Ophioglossaceous Species)

  • 선병윤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1호
    • /
    • pp.43-51
    • /
    • 1994
  • 고사리삼목,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2속 14종과 이들과의 비교를 위하여 마라티아목(Marattiales)의 Angiopteris 1종 및 고비목의 고비속(Osmunda) 3종 등 18종류의 포자의 극면의 형태를 비교한 결과 고사리삼속(Botrychium) 식물은 둥근 삼각형 또는 변이 오목한 둥근 삼각형으로,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과 Angioptris 및 고비속은 원형으로 나타났다. 고사리삼속은 표벽의 미세 무늬에 따라 세 군으로 유집이 가능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분류체계와 잘 일치하였다. 표벽의 미세 형태는 고사리삼속에 있어 아속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나 이러한 차이가 나도고사리삼속이나 Angiopteris 혹은 고비속과의 차이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서 고사리삼속내 분류는 Clausen(1938)의 견해를 지지하고 있었다. 나도고사리삼속은 극면의 형태가 구형이며 추문상 혹은 유공상의 표벽무늬를 가져 한 군으로 뚜렷히 구분되었다. 그러나 속내에서는 포자의 특징으로 유집이 불가능하였으며 따라서 Clausen(1938)이나 kato(1987)의 견해를 지지하고 있었다. 아울러 조사된 11종류에 대한 포자 형태의 기재와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PDF

제주고사리삼을 중심으로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 (Phylogeny of the family Ophioglossaceae with special emphasis on genus Mankyua)

  • 선병윤;백태규;김영동;김찬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5-142
    • /
    • 2009
  • 엽록체 rbcL gene의 염기서열과 포자의 형태를 바탕으로 고사리삼과 식물의 계통과 제주고사리삼속의 계통학적 위치를 추정하였다. 엽록체 DNA rbcL 염기서열의 분석 결과 고사리삼과는 뚜렷하게 고사리삼계보 (Botrychioid lineage)와 나도고사리삼계보 (Ophioglossoid lineage)의 두 군으로 구분되었다. 고사리삼계보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Mankyua)은 Helmintostachys속과 함께 분계의 기저에서 고사리삼속(Botrychium)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으나, 이들 고사리삼속(Botrychium), 제주고사리삼속(Mankyua), 및 Helmintostachys속 사이의 계통적 유연관계는 결정되지 못했다. 고사리삼속의 경우 Sceptridium아속과 Botrychium아속이 뚜렷한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나, Botrypus아속에 속한 분류군들은 고사리삼속의 기저에서 다른 고사리삼속 분류군의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면서 단계통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나도고사리삼계보를 형성하는 나도고사리삼속(Ophioglossum)의 경우, Ophioglossum아속은 단계통을 형성하였으며, Ophioglossum아속에 대해 Cheiroglossa아속 및 Ophioderma 아속이 차례로 자매분류군으로 분지하였다. 염기서열 계통수, 포자의 형태 및 외부형태의 고찰에 있어 제주고사리삼속은 Helminthostachys와 유사하지만, 계통수에서 patristic distance 뿐 아니라 포자소엽의 형태가 뚜렷이 구분되어 이들 2속은 독립된 속으로 판단된다.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고사리삼과): 한반도 미기록 식물의 형태로 본 계통적 위치 (Sceptridium atrovirens and S. microphyllum (Ophioglossaceae): First report in Korea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based on morphology)

  • 이창숙;김유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8-75
    • /
    • 2012
  • 제주도 서귀포시 도순동에서 우리나라 고사리삼과의 미기록 분류군, 숲고사리삼과 애기고사리삼이 새로이 발견되었다. 숲고사리삼(Sceptridium atrovirens)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굵은 땅속줄기와 뿌리를 갖으며, 불규칙하고 거친 톱니가 있으며, 비교적 길이가 작은 포자낭이삭을 갖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서식지의 특징을 고려하여 '숲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또한, 애기고사리삼(Sceptridium microphyllum)은 고사리삼속의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작고, 영양엽의 우편이 빽빽한 잎몸, 겨울에 부분적으로 벽돌색을 띠는 점에서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전체적으로 작은 특징을 고려하여 '애기고사리삼'으로 신칭하였다. 이들 미기록 식물들의 계통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 식물과 유연종들의 형태적 형질 27개를 분석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형질에 대한 분류군의 기재 및 종의 해부도와 서식지 식물사진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한국산 고사리삼속 식물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의 생장 형태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 (Growth Pattern and Phenology of Mankyua chejuense B.Y. Sun, M.H. Kim & C.H. Kim)

  • 현화자;문명옥;최형순;김찬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5-101
    • /
    • 2014
  • 본 연구는 고사리삼과에 속하는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장 패턴 및 식물계절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고사리삼은 지하경을 이용하여 무성번식 하는 종으로서 한 클론의 길이는 52 cm까지 자랐으며, 뿌리가 생장하는 동안 새로운 근경과 잎이 형성되었다. 제주고사리삼 잎은 7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생장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7월 ~ 9월 동안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잎은 10월까지 생장을 마치고 이후 성숙된 포자낭에서 포자가 방출되기 시작하였으며, 11월부터 잎의 노화가 시작되어 이듬해 2월이 되면 대부분의 포자엽과 영양엽이 노화되고 4월 이후에는 잎 전체가 시들어 없어졌다. 이와 같이 제주고사리삼 잎의 생육기간은 7월에서부터 이듬해 4월까지 10개월이었으며, 노화의 시기는 자생지 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자생지의 미세 환경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 종 고사리삼과 식물 지상부의 가도관 구조 (Tracheid Structure in Aerial System of Several Ophioglossaceous Plants)

  • 김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37-343
    • /
    • 1993
  • Tracheid structure of aerial system in five species of Ophioglossaceae and one species of Osmundaceae was examined with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pecies were Botrichium multifidum var. robustrum, B. ternatum, strictum, B. virginianum, Ophioglossum vulgatum, and Osmunda japonica. Three types of tracheids could be recognized by the pattern of secondary wall thickening; helical, irregular reticulate and circular bordered pitted tracheids. Among them, the appearance of circular bordered pitted tracheids supported that ophioglossaceous plants might have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progymnosperm-seed plant line. Circular and elliptical bordered pits in shape were observed in five ophioglossaceous species; the former was subdivided into large and small types in size. In conclusion, three types of bordered pits were found: (1) large circular type- O. vulgatum, (2) small circular type- B. multifidum var. robustrum, B. ternatum and (3) elliptical type-B. strictum, B. virginianum. B. strictum and B. virginianum belong to subgenus Osmundopteris had the elliptical bordered pits. Therefore, this group might be interpreted as the most primitive in this family; however, such suggestion did subgenus Osmundopteris was classified into the most advanc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