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API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32초

원문제공서비스(Document Delivery Service) 공동 활용을 위한 OpenAPI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OpenAPI for Common-Using Document Delivery Service)

  • 현미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3-254
    • /
    • 2012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scovery for Science Leaders)에서는 논문, 특허, 연구보고서, 표준 등에 대한 원문제공서비스(Document Delivery Service)를 수행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문제공서비스를 다른 기관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OpenAPI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학술자원 링킹을 위한 링크리졸버 OpenAPI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LinkResolver OpenAPI for Resource Linking Service)

  • 현미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18-1320
    • /
    • 2012
  • 최근에는 도서관 웹사이트보다는 상용 검색엔진이나 포털사이트를 통해 학술정보 검색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링크리졸버는 검색엔진과 도서관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한 번의 클릭으로 소속 도서관에서 구독하고 있는 자료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와 외부의 학술자원을 링킹할 수 있는 링크리졸버를 OpenAPI 형태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Open API를 활용한 국내외 코로나 정보 Inforgraphic 제공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Infographic Method providing Global Corona Information using Open API)

  • 최효현;이연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13-51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에 대한 국내외 코로나 확진자 정보에 대한 Infographic 제공 방법 개발을 제안한다. 코로나-19에 대한 국내외 코로나 정보는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공공 데이터 포털의 open API를 사용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Text 형식으로 제공되는 코로나-19 정보를 다양한 Infographic 방법으로 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 PDF

모바일 3D API 기술 표준화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for the Technology of Mobile 3D API)

  • 이범렬;류성원;이은주;박재형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4호통권94호
    • /
    • pp.110-119
    • /
    • 2005
  • 본 고에서는 모바일 3D 그래픽스 기술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연구 활동과 표준화 발전전망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모바일 3D API 표준으로는 국제사실표준으로서 크로노스 그룹에서 OpenGL|ES를 제안하고 있어 국내에 많은 모바일 3D 콘텐츠 개발사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자바진영의 M3G(JSR-184) 표준은 응용 콘텐트에 사용하는 상위레벨의 API를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는 모바일 3D 표준화 포럼을 중심으로 MPEG-4SNHC의 3D 압축 프로파일 제안을 위한 TFT 활동과 국내 모바일 3D API 표준을 위한 TFT를 운영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 표준화 활동 및 크로노스 그룹과의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모바일 3D 표준화의 향후 전망으로는 프로그래머블 그래픽 파이프라인에 대한 API의 표준화와 데이터의 압축을 포함한 모바일 게임 데이터 포맷의 표준화, 모바일 3D 그래픽 API를 기반으로 한 상위 수준의 애니메이션, 3D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API에 대한 표준화 및 미디어 프로세싱의 표준화 일환으로 진행되는 크로노스 그룹의 OpenMAX의 표준화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GPS와 Open API를 이용한 모바일 일정관리 매쉬업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Mash-up Service for Scheduling Using GPS and OpenAPI)

  • 고윤미;오기남;권경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D)
    • /
    • pp.281-28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GPS모듈을 지원하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이동성이 높은 구성원들의 위치와 일정들을 관리하는 매쉬업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구성원들의 위치와 일정들을 손쉽게 관리, 제어 할 수 있게 되었다. GPS모듈을 지원하는 휴대전화는 KTF에서 제공하는 에뮬레이터와 GPS모듈을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매쉬업 서버는 네이버 지도 OpenAPI와 구글 캘린더 OpenAPI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OpenAPI와 웹서비스의 통합 모델을 통한 효율적인 서비스 검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Efficient Service Retrieval System for the Integrated Model of OpenAPI and Web Service)

  • 천동석;차승준;김경옥;이규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05-408
    • /
    • 2008
  • 오늘날 웹에서는 OpenAPI, 웹서비스등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양의 서비스로부터 적합한 서비스들을 발견해 내는 문제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penAPI와 웹서비스의 통합 모델을 제안하고 이 통합 모델에 알맞은 검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서비스 검색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키워드 질의를 통해 순위화 된 서비스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A Study on Optimizing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 Gaeun Kim;Byungjo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4호
    • /
    • pp.35-43
    • /
    • 2023
  • This paper emphasizes that information received in disaster situations can lead to disparities i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potentially causing damage.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mong citizens. A user-centered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 is designed to address the rapid dissemination of disaster and safety-related information, bridge information gaps, and alleviate anxiety. Through the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we can obtain clear information about the weather, air quality, and guidelines for disaster-related actions. Using chatbots, we can provide users with information and support decision-making based on their queries and choices, utilizing cloud APIs, public data portal open APIs, and solution knowledge bases. Additionally, through Mashup techniques with the Google Maps API and Twitter API, we can extract various disaster-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and location of disaster occurrences, update this information in the disaster database, and share it with users.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의 소액 지불 서비스 (A Micro Payment Service based on Open API)

  • 임선환;이재용;김병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357-35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cro payment service based on Open API (Payment & Account Management API). To support a business model that enables operators to offer integrated billing, a payment and an account management API is crucial. This service is based on the architecture of Parlay X web services[1, 2]. We described the network architecture and the logic procedure for a micro payment service.

  • PDF

약재 온톨로지를 활용한 약재 검색 매쉬업 시스템 (Mash-up System for Searching Herb using Herb Ontology)

  • 김상균;김철;장현철;예상준;송미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173-18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Open API를 이용한 매쉬업 검색서비스를 통해 한의 분야의 약재 정보를 검색하는 약재 검색 매쉬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Open API외에도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한의 분야의 논문과 연구개발과제 서비스에 대한 2개의 Open API를 개발하고 공개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쉽게 공유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의 분야의 약재 정보는 다른 분야와는 다르게 정보의 출전이 어디냐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설명들을 가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검색 방법과 같이 한 두 개의 검색어를 이용해서는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에 한의 약재 100건의 정보를 온톨로지로 구축한 약재 온톨로지를 이용해서 검색어를 확장하고 이를 여러 Open API를 통해 검색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정확하고 포괄적인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지능형 IoT 애플리케이션의 공개 API 기반 대화형 음성 상호작용 기법 (Open API-based Conversational Voice Interaction Scheme for Intelligent IoT Applications for the Digital Underprivileged)

  • 장준혁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10호
    • /
    • pp.22-29
    • /
    • 2022
  • 음성 상호작용은 스마트 기기의 활용에 능숙하지 못한 디지털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공개 API를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들은 기존의 터치스크린 중심의 UI와 제공되는 API의 한계로 인해 음성 신호를 짧고 단편적인 입출력에만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 지능형 모바일/IoT 애플리케이션의 대화형 음성 상호작용 모델을 설계하고, 편집 거리(Levenshtein distance) 기반 키워드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 및 기법은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구현되었으며, 편집 거리 기반 키워드 탐지 기법은 음성인식을 통해 부정확하게 인식된 키워드에 대해 기존 기법보다 높은 인식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