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Fusion-in-Decoder for Open Domain Multi-Modal Question Answering (FiD를 이용한 멀티 모달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 Eunhwan Park;Sung-Min Lee;Daeryong Seo;Donghyeon Jeon;Inho Kang;Seung-Hoon N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95-99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ODQA,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은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업으로서 질문과 관련있는 지식을 찾는 "검색" 단계를 필요로 한다. 최근 이미지, 테이블 등의 검색을 요구하는 멀티 모달 ODQA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산업에서의 중요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여러 종류의 멀티 모달 ODQA 중에서도 테이블 - 텍스트 기반 멀티 모달 ODQA 데이터 집합으로 Fusion-in-Decoder (FiD)를 이용한 멀티 모달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연구를 제안하며 베이스라인 대비 최대 EM 20.5, F1 23.2 향상을 보였다.

  • PDF

Graph Reasoning and Context Fusion for Multi-Task, Multi-Hop Question Answering (다중 작업, 다중 홉 질문 응답을 위한 그래프 추론 및 맥락 융합)

  • Lee, Sangui;Kim, Incheo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0 no.8
    • /
    • pp.319-330
    • /
    • 2021
  • Recently, in the field of open domain natural language question answering, multi-task, multi-hop question answering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deep neural network model using hierarchical graphs to answer effectively such multi-task, multi-hop questions. The proposed model extracts different levels of contextual information from multiple paragraphs using hierarchical graphs and graph neural networks, and then utilize them to predict answer type, supporting sentences and answer spans simultaneously. Conducting experiments with the HotpotQA benchmark dataset, we show high performance and positive effects of the proposed model.

Towards a small language model powered chain-of-reasoning for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 Jihyeon Roh;Minho Kim;Kyoungman Bae
    • ETRI Journal
    • /
    • v.46 no.1
    • /
    • pp.11-21
    • /
    • 2024
  • We focus on open-domain question-answering tasks that involve a chain-of-reasoning, which are primarily implemented using large language models. With an emphasis on cost-effectiveness, we designed EffiChainQA, an architecture centered on the use of small language models. We employed a retrieval-based language model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large language models, such as the hallucination issue and the lack of updated knowledge. To enhance reasoning capabilities, we introduced a question decomposer that leverages a generative language model and serves as a key component in the chain-of-reasoning process. To generate training data for our question decomposer, we leveraged ChatGPT, which is known for its data augmentation ability. Comprehens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HotpotQA dataset. Our method outperformed several established approaches, including the Chain-of-Thoughts approach, which is based on large language models. Moreover, our results are on par with those of state-of-the-art Retrieve-then-Read methods that utilize large language models.

Bilinear Graph Neural Network-Based Reasoning for Multi-Hop Question Answering (다중 홉 질문 응답을 위한 쌍 선형 그래프 신경망 기반 추론)

  • Lee, Sangui;Kim, Incheo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9 no.8
    • /
    • pp.243-250
    • /
    • 2020
  • Knowledge graph-based question answering not only requires deep understanding of the given natural language questions, but it also needs effective reasoning to find the correct answers on a large knowledge graph.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neural network model for effective reasoning on a knowledge graph, which can find correct answers to complex questions requiring multi-hop inference. The proposed model makes use of highly expressive bilinear graph neural network (BGNN), which can utilize context information between a pair of neighboring nodes, as well as allows bidirectional feature propagation between each entity node and one of its neighboring nodes on a knowledge graph. Performing experiments with an open-domain knowledge base (Freebase) and two natural-language question answering benchmark datasets(WebQuestionsSP and MetaQA),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R2FID: Joint Reranker in Fusion-In-Decoder for 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 over Tables (R2FID: Joint Reranker기반 Fusion-In-Decoder를 이용한 오픈 도메인 테이블 질의 응답)

  • Sung-Min Lee;Eunhwan Park;Seung-Hoon Na;Daeryong Seo;Donghyeon Jeon;Inho K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00-104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은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단서가 주어지지 않은 환경에서 정답을 도출해 내는 어려운 문제이다. 최근 테이블 데이터와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에서의 질의응답 시스템에 대한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본 논문에서는 위키피디아에 등장하는 테이블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테이블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시스템을 구성하기로 한다. 또한, 테이블 검색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Joint Reranker 기반 Fusion-In-Decoder를 제안하고 적용하여 질의응답 Task에서 베이스라인에 대비하여 EM 3.36, F1-Score 3.25 향상을 이루어냈다.

  • PDF

Question Answering that leverage the inherent knowledge of large language models (거대 언어 모델의 내재된 지식을 활용한 질의 응답 방법)

  • Myoseop Sim;Kyungkoo Min;Minjun Park;Jooyoung Choi;Haemin Jung;Stanley Jungkyu Cho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1-35
    • /
    • 2023
  • 최근에는 질의응답(Question Answering, QA) 분야에서 거대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s, LLMs)의 파라미터에 내재된 지식을 활용하는 방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Open Domain QA(ODQA) 분야에서는 기존에 정보 검색기(retriever)-독해기(reader) 파이프라인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거대 언어 모델이 독해 뿐만 아니라 정보 검색기의 역할까지 대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거대 언어 모델의 내재된 지식을 사용해서 질의 응답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하기 전에 질문과 관련된 구절을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Closed-Book QA 분야에서 기존 프롬프팅 방법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대형 언어 모델에 내재된 지식을 활용하여 질의 응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한다.

  • PDF

Inverse Document Frequency-Based Word Embedding of Unseen Words for Question Answering Systems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처음 보는 단어의 역문헌빈도 기반 단어 임베딩 기법)

  • Lee, Wooin;Song, Gwangho;Shim, Kyuseok
    • Journal of KIISE
    • /
    • v.43 no.8
    • /
    • pp.902-909
    • /
    • 2016
  • Question answering system (QA system) is a system that finds an actual answer to the question posed by a user, whereas a typical search engine would only find the links to the relevant documents. Recent works related to the open domain QA systems are receiving much attention in the field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mining. However, the prior works on QA systems simply replace all words that are not in the training data with a single token, even though such unseen words are likely to play crucial roles in differentiating the candidate answers from the actual answ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ompute vectors of such unseen words by taking into account the context in which the words have occurred. Next, we also propose a model which utilizes inverse document frequencies (IDF) to efficiently process unseen words by expanding the system's vocabulary. Finally, we validate that the proposed method and model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QA system through experiments.

Bayesian Model Uncertainty for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베이지안 모델 불확실성에 기반한 오픈도메인 질의응답)

  • Lee, Young-Hoon;Na, Seung-Hoon;Choi, Yun-Su;Chang, Du-S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93-96
    • /
    • 2019
  • 최근 딥러닝 모델을 다양한 도메인에 적용하여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딥러닝 모델은 정답으로 제시된 결과가 정상적으로 예측된 결과인지, 단순히 오버피팅에 의해 예측된 결과인지를 구분하기 어렵다. 이러한 불확실성(Uncertainty)을 측정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베이지안 딥러닝 방법 중 하나인 변분추론(Variational Inference)과 몬테카를로 Dropout을 오픈도메인(Open-Domain) 태스크에 적용하고, 예측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측정하여 예측결과에 영향을 주는 모델의 성능을 측정해 효과성을 보인다.

  • PDF

R3 : 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 System Using Structure Information of Tables (R3 : 테이블의 구조 정보를 활용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

  • Deokhyung Kang;Gary 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55-460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에서 질의에 대한 답변은 질의에 대한 관련 문서를 검색한 다음 질의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는 검색된 문서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진다. 문서내의 테이블이 질의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주로 문서의 텍스트 부분만을 검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에 테이블과 텍스트를 모두 고려하는 질의응답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가 손실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를 모델의 추가적인 임베딩을 통해 활용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인 R3를 제안한다. R3는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데이터셋인 NQ에 기반한 새로운 데이터셋인 NQ-Open-Multi를 이용해 학습 및 평가하였으며,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를 활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해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LUKE based Korean Dense Passage Retriever (LUKE 기반의 한국어 문서 검색 모델 )

  • Dongryul Ko;Changwon Kim;Jaieun Kim;Sanghyun Par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31-134
    • /
    • 2022
  • 자연어처리 분야 중 질의응답 태스크는 전통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분야이며, 최근 밀집 벡터를 사용한 리트리버(Dense Retriever)가 성공함에 따라 위키피디아와 같은 방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답변하는 오픈 도메인 QA(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검색 모델인 DPR(Dense Passage Retriever)은 바이 인코더(Bi-encoder) 구조의 리트리버로서, BERT 모델 기반의 질의 인코더(Query Encoder) 및 문단 인코더(Passage Encoder)를 통해 임베딩한 벡터 간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문서를 검색한다. 하지만, BERT와 같이 엔티티(Entity) 정보에 대해 추가적인 학습을 하지 않은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한 리트리버는 엔티티 정보가 중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 성능이 저조하다. 본 논문에서는 엔티티 중심의 질문에 대한 답변 성능 향상을 위해, 엔티티를 잘 이해할 수 있는 LUKE 모델 기반의 리트리버를 제안한다. KorQuAD 1.0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한국어 리트리버의 학습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모델별 리트리버의 검색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 향상을 입증한다.

  • PDF